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로컬과 서발턴이라는 경계

        슬기(Jang, Seul-G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2

        본고는 기왕의 보편적이고 국제적인 영화문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장률 영화를 독해하고자 한다. 단일한 국민국가의 서사나 보편적 스펙터클의 이미지의 체계화로 회수되지 않는 장률 영화는 기존의 영화 미학적 이해나 서사 구조의 분석으로 해소되지 않는 일종의 잉여 지점을 남긴다. 그리하여 본고는 ‘로컬’과 ‘서발턴’이라는 ‘아래로부터의 시선’을 그의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비판적 입론으로 받아들인다. 이 같은 위치에서 영화를 사고하게 되면 영화는 더 이상 보편적 커뮤니케이션이나 커뮤니티를 (재)생산하는 자본기계가 아니며, 이질성과 차이에 주목하는 공통기계로 이동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본고는 우선 극영화와 다큐멘터리라는 영화적 경계를 횡단하는 장률의 영화 문법을 살펴본다. 그의 카메라는 종종 허구에서 실제로, 실제에서 허구로의 전환을 꾀한다. 장률은 이 차원을 두드러지게 함으로써 오히려 영화적 경계를 넘어설 때에만 로컬과 로컬주체를 혼종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투영한다. 장률은 영화적 경계를 넘는 것과 같이 텍스트 내부에서도 장소의 경계를 넘는다. 특히 장률은 사막, 강과 같은 자연의 경계 위를 이동?이주하는 인물들에 주목한다. 이 이동은 최종 목적지가 정치적 헤게모니에서 우위에 있는 국가로 설정되어 있지 않고, 다만 타자와 만나고 그와 삶을 공유하기 위해서라는 점에서 자연의 경계에 선 삶은 긍정된다. 이를테면 자연의 경계를 넘는 힘겨움은 이동성에 내재된 전지구적 신자유주의의 폭압성, 강요성과 같은 배제의 원리로 이끌도록 하지만, 이곳은 그 폭압을 언제든 거부하고 타자성을 공유할 수 있는 장소로 의미화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률의 영화는 이러한 자연의 경계를 넘는 영화 속 주체들 중에서도 특히 여성에 주목한다. 그의 영화는 여성을 남성보다 더욱 주요한 주체로 승격시켜 그들의 목소리-의식을 중요하게 포착한다. 특히 장률은 이들을 능동적으로 말 하지 않는 주체로 설정함으로써, 그들이 침묵하거나 혹은 외침/비명을 발설하는 순간을 주목할 만한 것으로 그린다. 카메라는 여성을 시각적 대상으로 포착하던 기존의 재현체계로부터 미끄러져나가, 여성으로 하여금 공간의 역사와 현재를 기억하고 각인하는 증인의 자리에 위치시킨다. 주변부적 존재인 여성은 장률 영화 속 장소인 로컬과 공명하며 장률이 가진 경계의 사유를 드러내는 긍정적?보편적 주체로 구성된다. This article aimed to comprehend the Zhang Lu’s movie in a different way from past universal and international grammar of a film. The movie by Zhang Lu that cannot be recalled by a description of a single nation-state or systematization of universal spectacle image leaves a sort of surplus point that cannot be resolved by an aesthetic comprehension of movie or structural analysis.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accepts ‘view from below’ which are ‘local’ and ‘subaltern’ as a critical argument to understand his movie. When we consider the movie from this perspective, the movie is no longer a capital machine that (re)produces universal communication or community because it can transfer to a common machine that focuses on the heterogeneity and differences. Based on such critical mind,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grammar of Zhang Lu’s movie that traverses a cinematic boundary of film drama and documentary. His camera often plots the switch from fiction to reality and from reality to fiction. Zhang Lu, by emphasizing this dimension, projects a critical mind that going beyond the cinematic boundary rather can catch the local and local subject. Zhang Lu even goes beyond the local boundary within the text just as how he goes beyond the cinematic boundary. Especially, Zhang Lu pays attention to the figures that transfer/move above the natural boundary like desert and a river, etc. This transfer does not set its final destination as a nation superior at the political hegemony, but a life by the boundary of nature is affirmed to a point to meet other and share life with him. For example, the difficult to go beyond the boundary of nature makes one to lead by the exclusion principle such as oppression of global neo-liberalism inherent in mobility and coerciveness, but this place is signified as a place where we can reject the oppression and share the otherness. Lastly, Zhang Lu’s movie focuses on women, in particular, among the subjects of movies that cross the boundary of nature. His movies capture the women’s voice and awareness as important by promoting women as a subject more important than men. Especially, Zhang Lu sets them as subjects who don’t actively speak in order to draw the moment they get silent or let out their cry as something to focus on. The camera slips off from existing system of reappearance that captured women as a visual object, and positions them as a witness who remembers and carves the history of space and present. Women of marginal existence resonates with a local, which is a place inside the Zhang Lu’s movie and is composed as a positive, universal subject that shows the reason of boundary Zhang Lu had.

      • 중국 가융장족(嘉絨藏族)의 산간취락 연구

        아름(A-reum Ja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3 江原民俗學 Vol.27 No.-

        가융장족은 티벳족의 한 민족으로 2세기 동안 실크로드를 지배하다가 몽골의 칭기즈칸에 의해 멸망한 서하(西夏, 1032~1227) 왕조의 후예라고 전한다. 당나라 때 존재한 동녀국(東女國)으로도 알려진 가융장족들의 풍부한 고고유적, 민속자원 가운데 장족건축의 절정인 장채(藏寨)와 조루(碉樓)등 취락 구조물은 연구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고대 중국의 유구한 취락고고(聚落考古, Settlement Archaeology) 잔존물로서 이곳에서는 구석기, 신석기 유물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지금부터 5,500년 전 석기문화를 형성한 가융장족의 선조들이 고대취락을 형성하여 약 3천 년 전부터 이곳으로 이주하여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의 석조취락은 중국의 6대 고대촌락이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으며, 목조가옥과 달리 그 전통이나 형식에서 독창성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장족문화의 범주에 들어가지만, 특별히 가융장족만의 고유한 문화전통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 이들은 3천 년 전부터 이곳에서 집단취락을 형성한 것으로 고고유물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본고는 아시아의 산간민속의 하나로서 단파 가융장족의 취락구조물을 소개하고, 미인곡(美人谷)의 특징을 논하고자 하였다. It is known that Jiāróng Zàngzú, an ethnic group of Tibetan, is the descendants of Xi Xia Dynasty that ruled Silk Road for 2 centuries and ruined by Jinghis Khan of Mongolia. The structures of settlement such as Zàngzhài (藏寨) and Zhoru (碉樓) that showed the peak of architecture of Zàngzú had high value of research among abundant archaeological sites and folklore resources of Jiāróng Zàngzú, known as Dongyeoguk (東女國) that was existed in Tang Dynasty. Here, there were found Paleolithic and Neolithic relic as remains of settlement archaeology (聚落考古) in ancient China. It was assumed that the ancients of Jiāróng Zàngzú who established Neolithic culture 5,500 years ago and moved into here approximately 3,000 years ago. These stone settlements had reputation of the Sixth ancient Chinese village and the tradition and shape were unique, contrary to wooden houses. Even thought it was included in the range of Zàngzú’s culture, it was valuable with the fact that it maintained its unique cultural tradition of Jiāróng Zàngzú. It was investigated through archaeological remains that they established the group settlement in here 3,000 years ago. This study introduced the structure of settlement of Jiāróng Zàngzú in Danba as one of mountain folklore in Asia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Miingok (美人谷).

      • KCI등재

        1960년대 아동문학 장(場)의 형성과 상업적 재편의 상관성 연구 전집 선집을 중심으로

        영미 ( Jang Youngm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8 동화와 번역 Vol.35 No.-

        본고는 1960년대 아동문학의 상업적 재편과 아동문학의 분화라는 측면에서 주목하였다. 한국아동문학사에서 1960년대는 본격 아동문학의 시대 혹은 아동문학의 번성기라고 할 정도로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가 산출된 시기이다. 각종 아동 전문 일간지 창간과 다양한 형태의 잡지들이 간행되면서 아동문학 장(場)이 한층 풍성하고 새롭게 재편되었고, 그 결과 아동문학은 이전 시기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활기를 갖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아동문학의 상업적 재편이 진행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는데, 특히 전집과 선집 발행을 통해 1960년대 아동문학장이 형성되고 전개되었다는 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960년대 다종다수의 전집 선집 발행은, 당대 아동문학과 그 장 형성에 일정 정도 영향을 끼쳤다. 이는 다방면에서 진행된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이 아동 전집 선집의 발행을 추동한 것이기도 하지만 아동문학가들이 다양한 작품으로 아동에게 접근한 것은 사실이다. 그것이 상업화라는 사회 문화적 환경에 빚어진 것이라 하여도 아동문학(장)을 문학으로 접근하고 사회에 영향력을 미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편찬자와 친분이 있는 작가는 작품의 질과는 상관없이 수록되었고, 또한 문단의 권력가인 작가가 선집을 주로 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작품의 질을 담보할 수 없다. 아울러 전집과 선집에 편중된 단편 수록도 예의주시하게 된다. 단편은 다종다수의 작품 수록으로 인해 다채로운 작품을 많이 읽힐 수 있는 힘을 갖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분량상 호흡이 긴 내용을 담기 힘들기 때문에 소재, 주제의 협소함 등은 부정적으로 여겨진다. It was noted in the 1960s in terms of commercial reorgan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e 1960s was a period of remarkable achievements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It is called such as the era of children's literature or the period of prosperity of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publication of various types of magazines, children's literature has become richer and redecorated; as a result, children's literature has become a new activity that has never been seen before. The commercial reorganiz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can be witnessed in this process, especially in the 1960s, whe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was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ublication of complete works and selections. In the 1960s,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collection and selection of various types of books had a certain effect on children's literature and its formation. While various reading campaigns and education combined the publication of complete works of children and selections, it is true that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have approached children with various works. Even if it is a result of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commercialization, it can not be denied that it developed children's literature with established literature and influenced on their society. However, the author, who has an acquaintance with the editors, is often included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work, and can not guarantee the quality of the work because the author, who is the authority of the literary circle, often makes selections. In addition, short stories that are concentrated on the complete works and selections will be closely investigated. These short stories have the power to read a lot of various works due to the number of work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not considered to contain long amounts of breathing, so they are considered to be limited in material and topic.

      • KCI등재

        다종 위성자료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고해상도 표층 염분 추정

        성태준,심성문,은나,임정호,Sung, Taejun,Sim, Seongmun,Jang, Eunna,Im, Jungho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5

        해양 염분은 전 지구 규모에서 해수 순환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연·근해 지역 저염분수가 어족자원 및 수산업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등 해양 식생환경의 변화를 줄 수 있다. 해수의 표면 특성인 sea surface salinity (SSS)에 따라 마이크로웨이브 영역의 방사율이 달라지며, 이를 통해 Soil Moisture Active Passive (SMAP) 등 위성 센서를 활용한 SSS 산출물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파 위성 센서 기반의 SSS 산출물은 낮은 시공간해상도로 자료를 생산하며, 연안지역과 고위도 지역에서 정확도가 낮다. 이러한 이유로 연·근해 지역 SSS의 상세한 시공간적 변화를 관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Jang et al. (2022)에서 제시한 기계학습 기반의 개선된 SMAP SSS (SMAP SSS (Jang))를 참조자료로 활용하여, 정지궤도해색센서(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영상으로부터 고해상도 SSS를 추정하는 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 (LGBM) 기반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3가지 입력변수 조합을 테스트하였고, Multi-scale Ultra-high 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자료가 추가된 scheme 3가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R<sup>2</sup> = 0.60, RMSE = 0.91 psu).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영역에서 SST가 SSS 모의에 효과적인 환경변수로 작용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LGBM 기반의 GOCI SSS는 SMAP SSS (Jang)와 비슷한 시공간적 패턴을 보였지만, 더 높은 공간해상도를 바탕으로 SSS의 보다 상세한 공간적 분포와 더불어 SMAP SSS (Jang)에서 산출하지 않는 연안 지역의 정보까지 모의하였다. 또한, 중국 남방지역에 대홍수가 발생하였던 2020년 8월을 대상으로 양자강 유출수(Changjiang Diluted Water)의 거동을 분석한 결과, GOCI SSS는 한국 해양수산연구원의 보도자료와 비교하여 일관성 있는 시공간적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연안 지역의 저염수 뿐 아니라, 원해 지역에서 광학위성 신호를 활용한 고해상도 SSS 산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Ocean salinity affects ocean circulation on a global scale and low salinity water around coastal areas often has an impact on aquaculture and fisheries. Microwave satellite sensors (e.g., Soil Moisture Active Passive [SMAP]) have provided sea surface salinity (SSS) based on the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water associated with SSS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this study, a 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 (LGBM)-based model for generating high resolution SSS from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data was proposed, having machine learning-based improved SMAP SSS by Jang et al. (2022) as reference data (SMAP SSS (Jang)). Three schemes with different input variables were tested, and scheme 3 with all variables including Multi-scale Ultra-high Resolution SST yielded the best performanc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 0.60, root mean square error = 0.91 psu). The proposed LGBM-based GOCI SSS had a similar spatiotemporal pattern with SMAP SSS (Jang), with much higher spatial resolution even in coastal areas, where SMAP SSS (Jang) was not available. In addition, when tested for the great flood occurred in Southern China in August 2020, GOCI SSS well simul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change of Changjiang Diluted Water. This research provided a potential that optical satellite data can be used to generate high resolution SSS associated with the improved microwave-based SSS especially in coastal areas.

      • KCI등재

        정적효과를 포함한 자기지전류 자료의 효율적인 3차원 역산에 관하여

        한누리 ( Han Nu Ree Jang ),한길로 ( Han Gil Ro Jang ),김희준 ( Hee Joon Kim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4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7 No.2

        MT 자료에서 3차원 전기비저항 구조와 정적효과를 동시에 구하기 위한 실용적인 역산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감도행렬이 필요한 Gauss-Newton법을 기반으로 하고 반복과정에서 Broyden의 방식으로 감도를 수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합성 MT 자료에 대한 역산실험을 통해 근사역산법의 성능과 정적효과에 대한 가중치에 대해검토 하였다. 해석적으로 구해지는 초기감도를 Broyden의 방식으로 수정하는 역산법은 초기감도를 끝까지 쓰는 역산법보다 자료오차를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완전한 감도행렬을 반복 중간에서 단 한번만 사용하는 근사역산법으로서는 반복 전반부에서 완전한 감도를 사용할 때 자료오차를 가장 많이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적효과에 대한 가중치는 어느 특정 한계값 이하로 선택하면 최종 자료오차에는 결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합성 MT 자료에 대한 실험 결과이 역산법은 정적효과가 포함된 MT 자료로부터 3차원 전기비저항 구조를 재현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practical inversion method for recovering a three-dimensional (3D) resistivity model and static shifts simultaneously. Although this method is based on a Gauss-Newton approach that requires a sensitivity matrix, the computer time can be greatly reduced by implementing a simple and effective procedure for updating the sensitivity matrix using the Broyden`s algorithm. In this research, we examine the approximate inversion procedure and the weighting factor β for static shifts through inversion experiments using synthetic MT data. In methods using the full sensitivity matrix constructed only once in the iteration process, a procedure using the full sensitivity in the earlier stage is useful to produce the smallest rms data misfit. The choice of β is not critical below some threshold value. Synthetic examples demonstrate that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effective in reconstructing a 3D resistivity structure from staticshiftedMT data

      • KCI등재

        온라인 세종학당의 중급 한국어 강의 구성 방안과 실제

        미라 ( Jang Mira ) 이중언어학회 2022 이중언어학 Vol.8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intermediate Korean VOD in Online King Sejong Institute. To accomplish this, what is investigated are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Korean intermediate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main points of blended learning and micro learning required for VOD development, the sense of teaching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VOD, a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With above investigations, the instructional unit of the VOD wa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the language knowledge sections such as vocabulary and grammar, the language comprehension sections such as reading and listening, the language expression sections such as speaking and writing, and introduction and finishing parts of the unit. (Kyung Hee Cyber University)

      • KCI등재

        주파수영역 전자법의 3차원 모델링

        한누리 ( Han Nu Ree Jang ),김희준 ( Hee Joon Kim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4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7 No.3

        전자탐사 자료로부터 지하구조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모델링 기술이 필요하다. 본보에서는 주파수영역 전자탐사 3차원 모델링에 유한차분법이나 유한요소법을 이용할 경우 필요한 기초 사항에 대해 소개한다. 인공송신원에서 특이성을 피하기 위해 지배방정식을 전기장의 2차장으로 정식화하고 그 결과 유도되는 연립방정식을 풀기 위한반복해법과 직접해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반복해법에 발산보정을 도입하면 그 수렴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이는 유한차분법에서 지형효과를 모델링할 때 특히 유용하다. 마지막으로 여기서 소개한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3차원 모델링 알고리듬을 항공전자탐사에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Development of a modeling technique for accurately interpreting electromagnetic (EM) data is increasingly required. We introduce finite difference (FD) and finite-element (FE) methods for three-dimensional (3D) frequencydomainEM modeling. In the controlled-source EM methods, formulating the governing equations into a secondary electric field enables us to avoid a singularity problem at the source point. The secondary electric field is discretized using the FD or FE methods for the model region. We represent iterative and direct methods to solve the system of equations resulting from the FD or FE schemes. By applying the static divergence correction in the iterative method, the rate of convergence is dramatically improved, and it is particularly useful to compute a model including surface topography in the FD method. Finally, as an example of an airborne EM survey, we present 3D modeling using the FD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12주간 걷기 운동이 경도 비만 남자대학생의 동맥경직도, 혈중 산화질소 및 hs-CRP 농도에 미치는 영향

        경선(Kyung Sun Jang),김유미(You Mi Kim),이순미(Soun Mi Lee),윤진환(Jin Hwan Yoon) 한국사회체육학회 201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during 12 weeks on blood pressure level (SBP, DBP), arterial stiffness(PWV), blood nitric oxide(NO), C-reactive protein(CRP), and body fat(%fat) in mild obese 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people(2 groups; control, exercise group). The exercise group performed walking with moderate intensity for 12 weeks, 60 minutes, and 4 times per week. The data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easurement value pre and post of aerobic exercise. In the change of blood pressure, arterial stiffness, %body fat, and blood NO level, the walking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more than control group and pre exercise data(p<.001). But blood CRP level showed no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regular walking exercise program is supposed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and preventive method for the improvement in the cardiovascular function and the promotion of health in mild obese male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