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 유아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장유진,채진영,김헤라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trends in the domestic research regarding tradi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figure out aims for cultural globalization.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keywords in 637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2 to 2021 were analyz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With the advent of a new millennium, research of traditional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since the 2000s, but has recently been on the decline. The most frequent appearing keywords were ‘traditional song’, ‘traditional fairy tale’, ‘traditional play’, ‘young children’ and ‘orally transmitted play’. In terms of the closeness centrality which shows how a certain keyword would closely relate to other keywords, ‘prenatal education’ was ranked the highes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tradition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airy tale’ and ‘Korean classic music ability’ were ranked consequently. It meant that the role of prenatal education was considered very important. The CONCOR(CONvergence of iterated CORrealtion) results showed that four different groups were formed according to the connecting density: ‘Traditional Dependenace’, ’Sociality and Traditional Art’, ’Personality Education’, and ’Linguistic Development and Traditional Music’ and suggested that the more research regarding traditional manners were needed.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searchers need to have more interested in traditional early childhood for young children to be more exposed to the traditional activities such as traditional body expression or traditional art activity. 본 연구는 전통 유아교육 연구의 변화를 파악하고 문화적 세계화의 시대에 우리가 지향해야 할 전통 유아교육의 방향을 가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방법으로 2002년부터 2021년까지 20년간의 학술지 정규논문 637편을 이용, 방대한 빅데이터 속에서 ‘전통유아교육’과 관련한 텍스트의 핵심 개념을 추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로운 밀레니엄의 등장과 함께 2000년대 이후 전통유아교육 관련 연구가 증가하다가, 최근에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제와 관련하여 각 개념이 출현하는 빈도를 확인한 결과, ‘전래동요’, ‘전래동화’, ‘전통놀이’, ‘유아’, ‘전래놀이’ 순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안에서 특정 주제어가 다른 주제어들과 어느 정도 가까운지 그 정도를 나타내는 근접중심성 지수가 높은 주제어는 ‘태교’, ‘유아교육기관’, ‘유아전퉁문화교육’, ‘동화’, ‘국악능력’의 순이었다. 이는 전통 유아교육에서 태교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결의 밀집 정도를 분석하여 연구 키워드의 군집 간 관계를 파악한 결과 ‘전통풍속’, ‘사회성 및 전통예술’, ‘인성교육’, ‘언어발달 및 국악’의 4가지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4가지 군집 중, 전통풍속 군집의 크기와 연결이 가장 빈약하여 해당 분야의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전통육아나 전통적 부모역할, 유아와 관련한 풍속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전통유아교육에 있어 전통신체표현 활동, 전통미술 활동 등이 보강될 필요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화장품 소비자의 인지된 ESG 경영이 브랜드 이미지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브랜드 진정성의 조절효과

        장유진,민지홍,유재욱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3 경영경제연구 Vol.45 No.3

        Recently, consumers tend to make final purchases after reviewing not only the quality of products or services, but also the methods and processes through which products and services were produced. This means that ESG is acting as a factor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In other words, actively promoting ESG management and delivering the information to consumers can be a key strategy to strengthen a company's competitiveness and differentiate itself from competitors. In line with such environmental changes,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osmetic consumers' perceived ESG management on brand image and loyalty, and how brand authenticity modulates this relationship. The main results of analyzing a total of 333 survey data collected from April to May 2023 from cosmetics consumers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using SPSS/WIN 27.0 and Macro 4.1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consumer's perceived ESG management level, the higher the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brand authenticity strengthens the positive influence of governance (G) on brand imag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brand authenticity strengthens the positive influence of society (S) on brand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trategic establishment process of companies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to maintain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consumers 최근 소비자들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뿐만 아니라, 어떤 방식과 과정을 통해 제품과서비스가 생산되었는지를 검토한 후 최종적으로 구매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ESG가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소비자들에게 그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쟁사들과 차별화하기 위한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은 환경변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소비자들의 인지된 ESG 경영이 브랜드 이미지와 충성도에미치는 영향과, 브랜드의 진정성이 이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전국에 분포한 화장품 소비자들로부터 2023년 4월부터 5월까지 수집한 총 333부의 설문조사 자료를SPSS/WIN 27.0과 Macro 4.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인지된 ESG 경영 수준이 높을수록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브랜드 진정성은 지배구조(G)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강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브랜드 진정성은 사회(S)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기업들의 전략 수립 과정과 소비자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요소들에 대한 실무적 차원의 가치 있는 시사점들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ESG 필요성 인식이 중소기업의 동적역량에 미치는 영향: 혁신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유진,한가록,이재은 한국기업경영학회 2023 기업경영연구 Vol.30 No.5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SMEs' perceptions of ESG needs on dynamic capabiliti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data of 120 SM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MEs' perceptions of ESG need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ynamic capabil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e SMEs recognize the need for ESG, the more they can actively collect relevant knowledge and reconfigure the ESG-related knowledge they have acquired, which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dynamic capab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orientation, it was found that innovation orientation strengthens the effect of SMEs’ perceptions of ESG needs on dynamic capabilities. SMEs with high innovation orientation tend to solve problems in a different way than before, which can further promote the reconfiguration of ESG-related knowledg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novation orientation can further strengthe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ESG needs and dynamic capabil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esent meaning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identifi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ESG needs and dynamic capabilities based on strategic fit perspective and empirically identified tha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m can be strengthened by innovation orientation.

      • KCI등재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대마 추출물의 체중 감량 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

        장유진,임신원,우숙영,김수연,김도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0 신경정신의학 Vol.59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cannabis extract on weight loss in diet-induced obese mice. Methods A total of 12 C57BL/6 male mice (Orient Bio), aged 6 weeks, were fed a high-fat diet for 13 weeks to construct a diet-induced obesity model. During the following 5 weeks, diet-induced obese mice were daily administered cannabis extract or sesame seed oil orally along with the high-fat diet. The body weight of each subject was measured weekly. Venous blood was drawn for biochemistry, enzyme-linked immunoassay, and oral glucose tolerance test before and after treatment. Body fat was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the mesenteric adipose tissue was also measured after sacrifice. We used exact Wilcoxon’s two-sample analyses an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annabis-treated group and control.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weight loss (p=0.009) observed in the cannabis-treated mi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5 weeks of treatment. High-fat diet-induced glucose intolerance in the cannabis-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ameliorated (p=0.032), whereas there were no profou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other physiological markers, including corticosterone level.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orally administered cannabis extract had a pharmacological effect of weight loss in diet-induced obese mice. This weight loss might be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energy expenditure and regulation of glucose homeostasis.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방임,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이 인지 및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을 매개로

        장유진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ther’s overindulgence of smart devices and children’s immersion into smart devices to cognitiv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based on 'social interactionism,' To this, data of 246 4-year-old children were collected from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group with lower level of communicative competence show both lower level of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than higher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development. Second, the mother's overindulgence of smart devices for children had an effect on the children's immersion into smart devices. Children’s immersion into smart device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mediated by the teacher reported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s communicative competence may be a major variable that mediates the effect of immersion into smart devices on children’s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With this, these findings suggests the need for various programs to foster children’s communicative competence. 이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주의’에 근거하여,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사용방임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이 의사소통을 매개로 유아의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4세 유아 246명의 어머니와 교사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평정한 의사소통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이 모두 낮았다. 그러나 사회성 발달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방임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은 교사가 평정한 의사소통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의사소통을 매개로 유아의 인지·언어발달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부모의 미디어 중재 변수를 좀 더 세분화하고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더불어 이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이 스마트기기 몰입이 영유아의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주요 변수일 가능성을 제시하며, 유아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