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혁신학교 중학생 학부모의 학교 참여 결정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장우천(Woo Chun Jang),오혜근(Hye Geun Oh)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9 지방교육경영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학교의 조직 특성과 구성원의 개인특성이 중학교 학부모의 학교참여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다각도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교 환경 특성, 학교 구성원의 특성, 학생의 관계적 특성, 학부모의 심리적 특성이 학부모의 학교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학부모의 학교 참여를 “적극적 수준의 참여”로 규정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학교 구성원의 특성 중 교원이 인식하는 학교 혁신풍토(부적), 교원의 열정(정적), 학교장의 민주적 리더십(부적), 학교장의 개방적 리더십(정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특성 중 학생의 관계 특성에서는 부모와의 문화활동 경험 빈도(정적), 교사에 대한 학생의 애착(부적)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고, 학부모의 심리적 특성 변수 중에서는 학생역량개발만족도(정적), 학교환경 만족도(정적) 요인이 학부모의 학교 참여 영향요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첫째, 혁신학교 아카데미 리더 과정의 지속·발전 및 일반학교 확산방안 모색, 둘째, 교육문화시설 정보 홍보 및 학교교육 프로그램에 학생-학부모 공동 참여 독려 방안 모색, 셋째, 기초학력교육과 개별성 교육의 균형을 통한 학부모의 교육활동 증대방안 모색, 넷째, 교육생태계 구축을 위한 구성원 간 소통 기제 마련 방안 모색 등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schools and how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embers affect the decision of middle school par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To this end, the sixth year of the Gyeonggi Provincial Education Group study was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schoo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chool members' characteristics, students'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par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ir school participation. To this end,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is defined as "aggressive level of engagement" and the logistic reforma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chool's innovation climate, the passion of teachers, the democratic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and the open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 student's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frequency of his or her experience in cultural activities with parents, and the student's attachment to teachers were significant variables, and amo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parents, the factors of their ability to develop students' abilities and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were found to be the influences of their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ommission discussed suggestions such as how to continue and develop the innovative school's academy's leadership program, secondly, how to promote information on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courage joint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parents in school education programs, and thirdly, how to increase educational activities by balancing basic education with individual education, and how to develop communication mechanisms among members to establish the education ecosystem.

      • 국방전자분야 기술 동향

        김성일,장우,주철원,이경호,김해,Kim, S.I.,Jang, W.J.,Ju, C.W.,Lee, K.H.,Kim, H.C.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4 No.6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과 이를 둘러싼 주변국들간의 군사력 강화 움직임이 한반도의 안보에 심각한 위협요소가 되면서 다시금 자주 국방의 필요성에 대한 경각심이 고취되고 있다. 국방기술의 첨단화는 과학기술의 발명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향후 국가간 국방과학기술로서 기술력 우위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이 가속화 될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도 미래지향적인 국방기술의 중점육성분야를 분류하고 분야별 해당하는 무기체계와 핵심기술의 기술지도를 주축하여 장기간에 걸친 국방연구개발계획의 실행을 지속해오고 있다. 향후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도 해소하고 나아가 기술우위를 점하게 되면 자주국방이 가능하게 되고 기술력의 수출까지 가능해질 것이다. 본 고에서는 국내 국방 무기체계 및 특히 국방전자 분야의 기술과 개발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SPDT 단일고주파집적회로 스위치용 pHEMT 채널구조 설계

        문재경,임종원,장우,지흥구,안호균,김해,박종욱,Mun Jae Kyoung,Lim Jong Won,Jang Woo Jin,Ji, Hong Gu,Ahn Ho Kyun,Kim Hae Cheon,Park Chong Ook 한국진공학회 2005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4 No.4

        This paper presents a channel structure for promising high performance pseudo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pHEMT) switching device for design and fabricating of microwave control circuits, such as switches, phase shifters, attenuators, limiters, for application in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ing the designed epitaxial channel layer structure and ETRI's $0.5\mu$m pHEMT switch process, single pole double throw (SPDT) Tx/Rx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MIC) switch was fabricated for 2.4 GHz and 5 GHz b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s. The SPDT switch exhibits a low insertion loss of 0.849 dB, high isolation of 32.638 dB, return loss of 11.006 dB, power transfer capability of 25dBm, and 3rd order intercept point of 42dBm at frequency of 5.8GHz and control voltage of 0/-3V These performances are enough for an application to 5 GHz band WLAN systems. 본 연구에서는 스위치, 위상변위기, 감쇄기등 전파제어회로를 설계 및 제작할 수 있는 pHEMT스위치 소자에 적합한 에피구조를 설계하였다. 고성능의 스위치 소자를 위한 pHEMT 채널층 구조는 이중 면도핑층을 가지며 사용 중 게이트 전극의 전계강도가 약한 깊은 쪽 채널층의 Si 면농도가 상층부보다 약 1/4정도 낮을 경우 격리도등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설계된 에피구조와 ETRI의 $0.5\mu$m pHEMT MMIC 공정을 이용하여 2.4GHz 및 5GHz 대역 표준 무선랜 단말기에 활용 가능한 SPDT Tx/Rx MMIC 스위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SPDT형 스위치는 주파수 6.0 GHz, 동작전압 0/-3V에서 삽입손실 0.849 dB, 격리도 32.638 dB, 그리고 반사손실 11.006 dB의 특성을 보였으며, 전력전송능력인 $P\_{1dB}$는 약 25dBm, 그리고 선형성의 척도인 IIP3는 42 dBm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칩의 성능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SPDT 단일고주파집적회로 스위치가 2.4GHz뿐만 아니라 SGHB 대역 무선랜 단말기에 활용이 충분히 가능함을 말해준다.

      • KCI등재

        차량용 회전식 다채널 라이다의 정밀 시뮬레이터 개발과 검증

        이규석(Lee, Gyu Seok),장우(Cheon, Jang Wo),이임평(Lee, Im Pye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자율주행 시스템의 안전성 검증과 주행 시험에 시뮬레이터를 적극 활용한다.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하려면 차량 탑재 센서들에 대한 데이터 시뮬레이션이 정확해야 한다. 대표적인 차량 탑재 센서로써 라이다는 이미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시뮬레이터는 아직 많은 한계가 있다. 다양한 특성의 중저가 라이다 센서들이 출시되면서 예전에 개발된 단순화된 범용 시뮬레이터가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범용 시뮬레이터가 아닌 실제 차량에 탑재된 특정한 라이다를 정밀하게 모사하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자 한다. 라이다의 동작 특성에 대한 센서 모델을 기하 모델과 복사 모델로 구성하고, 각각에 대해 실측 라이다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차요소를 고려한 정밀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에 기반하여 유니티 엔진과 환경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통제된 실험 공간에서 취득한 실측 데이터를 개발된 시뮬레이터로 생성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시뮬레이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실측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제안된 정밀 모델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기하와 복사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유사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실측 기반 검증을 통해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를 위한 신뢰성 있는 라이다 센서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utonomous driving simulator is actively used for safety verification and driving tests of autonomous driving systems. To verify using an autonomous driving simulator, data simulation for vehicle sensors must be accurate. As a representative vehicle-mounted sensor, LIDAR is already widely used in the field, but the simulator for LIDAR sensors still has many limitations. As mid-to-low-priced LIDAR sensor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are released, the simplified general-purpose simulator developed in the past often fails to properly support it.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 to develop a simulator that precisely simulates a specific lidar mounted on an actual vehicle, not a general-purpose simulator. The sensor model for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LIDAR is composed of a geometric model and a radiometric model, and for each, a precise model is proposed considering the error factors included in the real LIDAR data. Based on the proposed model, an efficient simulator was implemented using the Unity engine. The performance of the simulator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al data acquired in the controlled experimental site with the data generated by the developed simulator.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actual data, the simulation data based on the proposed precise model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similarity in terms of geometry and radiation. It is expected that a reliable LIDAR sensor model for an autonomous driving simulator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actual measurement-based verification of this study.

      • 임베디드 리눅스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조명 네트워크 시스템 구현

        유영수(Young-Soo Roo),장우천(Woo-Cheon Jang)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7

        요즘 화두로 떠오르는 유비쿼터스(Ubiqitous)는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제어 할 수 있는 정보통신환경을 말한다. 산업화 이후 인간의 주 활동 공간이 실외에서 실내로 바뀌게 되면서 조명은 우리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조명에 대하여 센서 네트워크 중에 하나인 Zigbee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 하였다. 또한 PXA270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현하였다. GUI(Graphic User Interface)툴인 QT-Embedded를 이용하여 조명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램 하였다. 이를 TIT-LCD상에 표현하고 터치스크린에서 Zig-bee를 이용해 원격으로 조영에 대하여 제어하였다.

      • LED 감성조명 제어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조성재(Sung-Jae Cho),장우천(Woo-Chun Jang),문철홍(Cheol-Hong Moon) 대한전기학회 2009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09 No.10

        친환경 및 에너지 절감이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조명 분야에서도 신 광원 개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조명 전문가들이 가장 유력한 광원으로 지목하고 있는 LED를 이용하여 LED 스탠드 감성조명을 구현하고, LED 스탠드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제어 시스템으로 PXA270 기반 리눅스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조명제어 시스템에는 QT기반의 GUI 애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명제어 시스템과 LED 스탠드간의 통신으로 Zigbee 통신을 이용한다. Zigbee 통신은 현재 홈 네트워크와 유비쿼터스 시대에 주목을 받고 있는 통신이며, 전력소모가 적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전공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활동 특성 분석

        문영진(Young Jin Moon),김희성(Hee Seong Kim),이광재(Kwang Jea Lee),장우천(Woo Chun Jang),이길재(Gil Jea Lee)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9 지방교육경영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학습성에 교수학습활동의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한 연구이다. 대학에서의 경험을 통해 학습자가 길러야하는 가장 중요한 역량이 전공교과 전문성이기 때문에 이에 초점을 둔 연구를 진행 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대학생 교수-학습과정 조사도구의 학생설문(NASEL)과 교수설문(NAFET) 두 개의 데이터를 위계적 회귀모형(Hierarchical Regression)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학습자 특성변수(모형1)에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신입생보다는 편입생이, 노트필기 활용을 선호하는 학생이 전공학습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 특성변수(모형2)에서는 소속 대학의 교수활동 지원에 대한 생각, 학습자에 대한 기대 수준, 교육과정 개편 노력에 대한 인식, 수업준비를 위한 시간 투자, 학습성과 중요도에 대한 교수인식 등 활용한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교수학습활동 특성변수(모형3)에서는 학습자의 적극적 수업참여, 협력 학습, 사고력 증진 활동, 수업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 교수학생 상호작용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생의 전공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ing outcomes in major of higher education with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study is focused on students’ capacity in major because higher education plays an increasingly central role for the students to be a profession in their major subject. To achieve the goals, the study analyzes the data collected by running a survey of 2015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NASEL) and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NAFET) using method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variables of students’ characteristics(model 1) including gender, admission type are shown to be associated with learning outcomes in major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P<0.001. Second of all, variables of faculty’s characteristics(model 2) such as the quality of learning support, positive recognition on attending students, the effort to improve curriculum, spending time for the lessons, and Faculty awareness of learning outcomes and importance was found to be related to learning outcoms in major. Third of all, variabl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learning(model 3) had an influence on learning outcoms in major. In terms of those variables, students who are more active in the class, critical thinking, teaching topic in the class to others, facuty-student inter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learning outcomes in major. On the other hand, cooperative learning had an nega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in major. Th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 for higher education to help their students to develop learning outcome in major.

      • KCI등재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과 참여 실태 분석: 교육행정·교원교육·교육재경·교육정치학회를 중심으로

        박상완(Park, Sang-wan),김민조(Kim, Min Jo),박소영(Park, So-Young),장우천(Jang, Woo-Ch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 및 학회 활동 참여에 대한 학회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학회의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행정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교육정치학회의 학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분석은 빈도분석과 평균값 등 기술통계를 주로 활용하되, 학회원의 배경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회원의 활동 참여는 회비 납부, 학술대회 단순참여, 논문투고, 학술대회 주제발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회의 역할에 대해 학회원들은 교육실제 개선보다 연구자의 학술활동 촉진 및 지원, 해당 분야 학문 발전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학회참여 실태 및 인식에서 학회원의 배경변인(박사학위취득 연도, 직업, 재학 시 학회 참여 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 구현, 학회 역할 인식 및 참여에 대한 집단별 차이, 학회 실천지향성 제고의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academic societies as academic communities and the perceptions of about participation in academic activities, and explor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academic societ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embers of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and the Korean Socie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average values, which focused on summarizing and describing the meaning and role of the society, were mainly used, but difference analysis between groups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embers’ participation activities were more frequent in the order of payment of membership fees, simple participation in academic conferences, thesis contribution, and presentation for academic conference. Second, regarding the role of the society, the members considered supporting researchers" academic activities and academic development in the field more important than improving the educational reality.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and perceptions on the socie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