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세대와 Z세대의 직장선택 인식유형 연구

        장예원,이영민 한국비즈니스학회 2024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M세대와 Z세대의 직장선택 기준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유형화하여 세대 간 유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세대와 Z세대는 향후 국내 사회·경제의 주축이 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이들이 안정적으로 노동시장에 정착하여 기업과 국가의 생산성과 성장잠재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직장선택 시 고려하는 요소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다만 개인의 가치관과 성향에 따라 직장선택의 기준이 상이할 것으로 판단하여 개인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연구하기에 용이한 Q 방법론(Q methodology)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M세대는 근로조건 중시형, 기업가치 분석형, 외적보상 중시형, 자아실현형, 워라밸 중시형, Z세대는 근로조건 중시형, 자아실현형, 외적보상 중시형, 근무환경 중시형, 동기유발형이 도출되었다. 근로조건 중시형, 외적보상 중시형, 자아실현형은 M세대와 Z세대 모두에게서 도출된 유형이었으나 동일한 명칭의 유형 내에서도 공통점과 차이점이 모두 발견되었고, 각 세대별로 독립된 유형 역시 도출되어 세대 간 직장선택의 인식이 구분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세대별 대표 진술문을 비교한 결과, M세대와 Z세대 모두 만족도가 높은 일을 하는 직장, 법정근로시간을 적용하거나 자유로운 연차 사용이 가능한 직장과 같이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는 직장을 선호한다는 점이 공통되었으나, 이외에 M세대는 사생활을 보장하는 직장, Z세대는 연봉이 높은 직장을 우선적으로 확인한다는 점에서 세대별로 직장선택 시 상이한 요인을 고려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에 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더불어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categorize the perceptions of Generations M and Z regarding their criteria for choosing a workplace, and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tional types. Given that Generations M and Z are expected to become the mainstay of domestic socio-economic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factors they consider when selecting a workplace to ensure they can settle stably in the labor market and enhance the productivity and growth potential of companies and the nation. However, as the criteria for workplace selection may vary according to individual values and tendencies, the study employed Q methodology, which is suitable for capturing subjective perceptions and studying correla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Generation M is characterized by types such as employment conditions-focused, corporate value analysis, external rewards-focused, self-fulfillment, and work-life balance-focused; Generation Z is characterized by employment conditions-focused, self-fulfillment, external rewards-focused, work environment-focused, and motivation-driven types. Employment conditions-focused, external rewards-focused, and self-fulfillment were types found in both Generations M and Z, but even within these common type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and unique types for each generation were also identified, highlighting distinct perceptions in workplace selection between the generations. Furthermore, when comparing representative statements by generation, both Generations M and Z prefer workplaces that offer high job satisfaction, comply with legal working hours, and allow flexible use of annual leave, adhering to labor laws. However, apart from these commonalities, Generation M prioritizes workplaces that ensure privacy, while Generation Z prioritizes high-salary workplaces, indicating that different factors are considered in workplace selection by each generation. The conclusion presen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OpenCV를 활용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과 마커 기반 증강현실

        장예원,이성령,쪼이 탈리,김성호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3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내학술대회 논문집 Vol.2023 No.6

        These Augmented reality is a technology that combines virtual content with the real world. We studied camera calibration and geometric image projection to create augmented reality. And we implement marker-based augmented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using OpenCV and ArUco marker. Finally, we discuss applications of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in industry.

      • KCI등재

        놀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모자 보호시설 아동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장예원 한국예술치료학회 201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놀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모자 보호시설 아동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결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J도 G시에 소재한 S모자원의 초등학교 3학년에서 5학년 학생 8명으로 2010년 11월부터 2011년 4월까지 6개월에 걸쳐 모의임상 실시, 대상자 선정, 사전검사, 놀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실시,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정서지능 검사와 또래관계 검사를 사용하였고 사전·사후 변화를 비모수 검증인Wilcoxon signed rank test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으며 투사검사인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이용하여 그림의 사전과 사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 놀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모자 보호시설 아동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자 보호시설 아동의 놀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수용하여 정서지능을 향상하고 원만한 또래관계를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 KCI등재후보

        Emicizumab의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실사용 근거 생성: 체계적 문헌고찰

        장예원,이한길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 2023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지 Vol.11 No.2

        Backgrounds: Emicizumab, a bispecific monoclonal antibody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 2017 for the treatment of hemophilia, has seen growing usage in South Korea. However, a systematic review of its effectiveness and safety in real-world settings is lacking. Methods: We performed a systematic review follow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guideline, searching the PubMed and Cochrane Library databases. Two researchers independently searched and reviewed the literature in two stages, applying predefined inclusion/exclusion criteria and extracting key information from the selected studies. We assessed the quality of studies with the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ies (RoBANS). We evaluated emicizumab’s effectiveness and safety using the annual bleeding rate (ABR) and serious adverse events (SAEs) like thrombotic events. Results: Out of 491 relevant studies, 28 studies (1,359 patients) conducted in 14 countries from 2015 to 2022 were included. Among the 17 studies reporting pre- and post-emicizumab ABR changes, 16 demonstrated a decline in ABR, with five indicating a reduction of over 90%. The post-emicizumab ABR varied from 0.09 to 1.4, with 87.1% of cases showing fewer than two bleeds. Among 17 studies (782 patients) examining SAEs, thrombotic events occurred in two studies, affecting four patients (0.51%). The quality assessment by the RoBANS identified a high risk in outcome blinding but low in other domains. Conclusion: The real-world effectiveness and safety of emicizumab are consistent with its clinical trial outcomes, suggesting the need for larger and long-term observational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김조규 시의 ‘기차’에 나타난 아이러니: 북행열차를 중심으로

        장예원,이성천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irony through the train of Kim Jo-gyu’s poem. Among the trai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bound train in particular is a factor that reveals the oppression of modernization that the Japanese wanted to hide. The concept of modernization extended its body and territory by means of trains. The modern times that came to us with trains gave us a sense of freedom and wonder to overcome the time of nature, but the standardized sense of time rapidly extinguished the locality and loc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naturally embodying the imperialist logic of choice and exclusion. The colonial identity that is formed in the process is a contradiction and irony that our people have faced. Kim Jo-gyu is free from a series of charges that modernists of the 1930s denied and turned a blind eye to the reality as they were awakened by novelty, poetic portraying the train (North Train), which symbolizes the anxiety and cracks of the modernity itself. Kim Jo-gyu tried to bring to the surface the irony of modern times hidden behind the new landscape created by the modern product. 본 연구는 김조규 시의 ‘기차’를 통해 아이러니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민지 조선에서의 ‘기차’, 그 중에서도 특히 북행열차는 일제가 은폐하고자 했던 근대의 모순성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근대화라는 개념은 기차를 수단으로 그 몸체와 영역을 확장했다. 기차를 앞세워서 우리에게 온 근대는 자연의 시간을 극복하는 해방과 경이감을 안겨주었지만 기차로 인해 표준화된 시간감각은 한반도의 지역성과 향토성을 급격하게 소멸시켜 선택과 배제라는 제국주의의 논리를 자연스럽게 체화시키기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 형성되는 식민지적 정체성이 우리 민족이 처했던 모순이자 아이러니이다. 김조규는 ‘모더니티’ 자체가 지닌 불안과 균열을 상징하는 ‘기차’(북행열차)를 시적으로 형상화하면서 1930년대 당대 모더니스트들이 새로움에 경도된 나머지 현실을 부정하고 외면하였다는 일련의 혐의에서 벗어난다. 김조규는 근대적 풍물인 기차가 창출해낸 새로운 풍경의 이면에 감추어진 근대의 아이러니를 표면화하고자 했다.

      • KCI등재

        김조규 시의 공간적 특성과 소재 상관성 연구 - 재만 시기(1939-1945)를 중심으로

        장예원,이성천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2 No.-

        Kim Jo-kyu's poems include repeatedly used poetic materials such as dusk, night, window, sea, port, train and station. Each material is organically linked in terms of the form and content of the poem, ultimately providing an important aesthetic characteristic of the Kim Jo-kyu’s poetry world. Nevertheless, prior studies are suspected of treating Kim Jo-kyu with a simplified version of his materi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in-depth features, intended by his poem, such as the placement of images, spatial meaning and correlation of the poetic diction’s affiliation are not fully revealed. This paper will examine carefully the spatial meaning of Kim Jo-kyu’s poetry and material correlation, focusing on works which is published when he was in Manchuria. First, the night space in Kim Jo-kyu’s poetry world frequently interacts trains and oceans, which, as Minkowski mentioned, works organically with the inherent “materialistic” nature of darkness to create a unique sentiment and poetic atmosphere. In addition, in the night space, the sea has a positive meaning that reveals both freedom and happy memories. Night reveals the oppression of negative reality itself, but night’s inherent features, such as “silence” and “desolate”, serve as the poetic subject to vent his sad feelings and immerse himself in the mood of that emotion, allowing him to forget his miserable identity as a wandering soul for a while and to be able to heal himself. Although Manchuria is also a place where Japan's doctored ideology is actively used, it is a place with a double meaning that exists as a solemn political system of a country for the people of the ruling class. For them, therefore, it is a place of life that has been subject to resistance and forced to adapt at the same time. Kim Jo-kyu poeticizes the contradictory reality of Manchuria as “daytime space”, and, in the process, he portrays negativity combining the ideology of Wang Do-nak-toh and Five Peoples Unity. Kim Jo-kyu’s poem about a train station in the “dusky space” reveals his compassion for the others and humanism most specifically. If “the night space” has the power and composure to forget for a while the hard life as a wandering person and restore its inner fullness and unique identity, so that it can withstand harsh reality “daytime sapce”, Kim Jo-kyu’s lyrical subjects show a attitude of community aim by showing empathy and compassion for the unfortunate others in the train station during the dim hours. 김조규의 시에는 황혼, 밤, 창, 바다, 항구, 기차, 역 등 반복적으로 활용되는 시적 소재들이 있다. 각각의 소재는 시의 형식과 내용 차원에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궁극에는 김조규 시세계의 중요한 미학적 특성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일부의 선행연구들은 김조규 시의 소재적 특성을 다소 단순화하여 취급한 혐의가 없지 않다. 그 결과 그의 시가 내장한 이미지의 배치, 공간적 의미, 시어 계열군의 상관성과 같은 심층적 요소들을 온전하게 드러내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를 보인다. 본고는 김조규의 만주체류 시절 발표 작품을 중심으로 그의 시의 공간적 의미와 소재적 상관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김조규의 시세계에서 밤의 공간은 기차와 바다를 자주 매개하는데, 이는 민코브스키가 언급한 대로 어둠이 지닌 고유의 <물질적> 특성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독특한 분위기 및 시적 정서를 창출한다. 뿐만 아니라 밤의 공간에서 바다는 구속이 없는 자유와 행복했던 추억을 동시에 드러내는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밤은 부정적인 현실의 억압 그 자체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그것의 본래적 특성인 <적막>과 <적요>는 서정적 주체의 우울한 감정 해소와 내면의 정화를 유도함으로써, 일시적으로나마 유랑민의 비극적 정체성을 잊게 하거나 스스로를 치유하는 기능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만주국은 일제의 조작된 이데올로기가 전 방위적으로 작동하는 장소이기도 하지만, 피지배층인 유랑민에게 그것은 엄연한 국체로서 존재하는 이중적 공간이다. 따라서 이들에게 만주국은 저항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순응할 수밖에 없었던 생활의 터전이다. 김조규는 이러한 만주국의 모순적 실체를 역설적이게도 <낮의 공간성>으로 시화하고, 이 과정에서 왕도낙토(王道樂土)와 오족협화(五族協和)라는 왜곡된 이데올로기를 적시하여 부정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어스름한 공간>에 놓인 기차역을 소재로 한 김조규의 시에는 타자에 대한 연민과 휴머니즘이 매우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밤의 공간(성)>이 유랑민으로서의 고단한 삶을 잠시 잊고 내적 충만함과 고유 정체성을 회복, 그리하여 가혹한 현실<낮의 공간(성)>을 버틸 수 있는 힘과 여유를 얻었다면, 어스름한 시공간의 기차역에서 김조규의 시적 주체들은 불행한 타자에 대한 공감과 연민을 드러내는 멜랑콜리한 모습을 보임으로써 최종적으로 공동체를 지향하는 태도를 보인다.

      • KCI등재

        이병주 소설에 나타난 ‘예술’과 ‘아이러니’의 상관성 연구

        장예원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1

        The study analyzed Lee Byung-joo's novels, 「a folding fan」, 「magicians」, and an article written in sorrow to the deceased for the terrorist. These works looked at irony as a means of deriving critical responses to the social system through art. In a way that corresponds to the violence of the social system, it suggests a “private theory” of art. These works draw the concl usion that art can create its own ethical spaces and communities, and that a person with artistic talent can have both moral determination and practical ability at the same time. In the novel Jul-Bae, Jul-Bae is a product of artistic focus and soul. It is also the object of a memorial for lovers who were put to a tragic end by the social system. In this solemn and serious situation in the novel, the writer conjures up eroticism and presents the entertainment afforded by linking it to art. However, in his dilemma, the art and the attitude to man and art are paradoxically an expression of the author's sense of reference to it through art. His dilemma is more of a literary and global one as part of his “gray ideas,” reflecting human-centered ironies rather than mere entertainment lacking seriousness or self-consciousness. He believed that understanding worldly attributes and customs of humans was as important as serious and solemn under standing. If the inventiveness of enlightenment promotes the role and function of reason directly without any medium, romantic advances incorporate stimulating literature and art in real life by bringing out the romantic element within man. The romantic medium as an art is presented in the form of “Magic” in Lee Byung-joo's novel The Magic Story. Lee Byung-joo's novel “Everything for Terrorists” involves infinitely changing and creating a fiscal agenda for terrorists through irony using conceptual mixing. Especially by combining the character of a terrorist and an artist with a tungso, one creates an ironic-concept terrorist who can kill a person for greater love as a fictional character. 본 연구는 이병주의 소설, 「쥘부채」, 「마술사」, 「테러리스트를 위한 만사」에 나타난 ‘아이러니’를 분석하였다. 이 작품들은 ‘아이러니’를 활용하여 예술이 사회체제에 대한 비판적 대응을 실행하게 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주제의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사회체제가 지닌 폭력성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예술이라는 ‘사적 이론’을 내세운다고 볼 수 있다. 이 작품들은 사회체제를 비판하기 위한 윤리적 결단과 공동체 결성이 ‘정치’에 의해서가 아니라 ‘예술’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예술적 재능을 지닌 인물이 윤리적 결단력과 실행력을 동시에 지닐 수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내고 있다. 소설 「쥘부채」에서 쥘부채는 예술적 집념과 혼이 담긴 물건이다. 사회 체제에 의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은 연인들을 위한 위령의 물건이기도 하다. 엄숙하고 진지한 그 소설적 상황 속에서 작가는 에로티시즘을 떠올리며 그것을 예술과 연결시키는 유희를 보여준다. 그런데 이러한 딜레탕티즘과 예술, 그리고 인간에 대한 태도는 역설적으로 역사나 사회에 대한 작가의식을, 예술을 통해서 역사나 사회의식에 대해 언급하겠다는 작가의식의 발현이다. 그의 딜레탕티즘은 진지함이나 자의식이 결여된 단순한 유희라기보다는, 인간중심의 아이러니적 사고가 반영된 ‘회색의 사상’과 더불어 이병주 나름의 확고한 가치관이 내포된 문학관이자 세계관이다. 그는 인간에 대한 속된 속성과 세태에 대한 파악 역시 진지하고 엄숙한 이해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계몽의 진보성이 중간의 매개물이 없이 직접적으로 이성의 역할과 기능을 촉구한다면 낭만적 진보성은 문학/예술을 중간 역할물로 끼워 넣는다. 낭만주의는 인간의 내면에 있는 낭만성을 끌어내서 문학과 예술을 현실에서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예술로서의 낭만적 매개물은 이병주의 소설 「마술사」에서 ‘마술’이라는 형태로 제시된다. 이병주의 소설 「테러리스트를 위한 만사」에서는 개념적 혼성을 이용한 아이러니를 통해 테러리스트에 대한 무한 변이․생성되는 재정의가 이루어진다. 특히 테러리스트와 퉁소를 부는 예술가로서의 기질을 결합함으로써 더 큰 사랑을 위해 사람을 죽일 수 있는 아이러니한 개념의 테러리스트를 소설적 인물로서 창조하게 된다.

      • KCI등재

        노래 가사 감정 분석법이 보컬 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감정의 바퀴’를 활용하여

        장예원(Ye Won Jang),한경훈(Kyung Hoon Han) 한국대중음악학회 2022 대중음악 Vol.- No.30

        가사와 선율로 대중들과 소통하는 보컬은 가사와 선율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가사에 대한 집중도 향상과 가사를 통한 감정 전달력이 높아야 한다. 본 논문은 보컬의 감정 표현력 및 전달력 향상을 위해 노래 가사 감정 분석법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가사 속 정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노래 가사 감정 분석 프로그램을 위한 이론으로는 심리학자 로버트 플루치크(Robert Plutchik)의 감정의 바퀴(Emotions of Wheel)를 활용하여 가사 분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참여자들은 가창곡의 형식에 따라 두 가지 혼합 정서를 선택하였고, 이를 통해 가창자가 가사에서 표현해야 할 감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용음악학과 보컬 전공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참여자들은 가사 속 의미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가사와 감정에 대한 집중력 또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전 설문, 문답형식의 답변서, 그리고 효과성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도출되었다. Singing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through lyrics and melody. However, to effectively deliver lyrics and melody, concentration and the ability to convey emotions must be high. This thesis aims to develop a method of emotion analysis for song lyrics to improve vocal music’s emotional expression and delivery power. Furthermore, it will use it to understand the emotions conveyed by the lyrics. The lyrics analysis program used psychologist Robert Plutchik‘s as its theoretical underpinning. The participants could understand the emotions the singer should express in the lyrics through a mixture of two emotions selected according to the song’s form. The By applying the program to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and Vocal Major, the participants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lyrics. Moreover, their concentration on lyrics and emotions also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