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의 쟁점과 과제: 다자협력의 관점에서

        장영덕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1 평화학연구 Vol.22 No.4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issues and tasks of the Northeast Asia Cooperation Initiative for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ublic Health launched by president Moon Jae-in on the 75th UN General Assembly. Despite negative factors such as economic asymmetry, security threats, different political systems, and value systems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multilateral cooperation for regional stability have continued. At a time when covid 19 spreading, the Initiative can present new multilater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promoting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body through health security issues such as quarantine and health and is looking forward to establish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idea of the Initiative through multilateral cooperation resolves conflict by increasing mutual dependence and shares the goals and principles of achieving security and prosperity. However, the Initiative has issues such as intensifying U.S.-China relations,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s participation, conflict of interest among participating countries. It also has tasks such as South Korea's initiative issue in cooperation, American support of the Korea initiative, and to induce North Korea's participation.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take the initiative and prevent conflicts of interest among participating countries and realize the Initiative's formation by inducing North Korea to the stage of dialogue. 본 논문은 2020년 9월, 제75차 UN총회 기조연설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의 쟁점과 과제는 무엇인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북아 국가 간 경제 규모의 비대칭성과 상존하는 안보 위협, 상이한 정치체제와 가치체계 등의 부정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역내 안정과 평화, 발전을 위한 다자협력 논의는 지속되어 왔다. 코로나19가 확산하고 있는 시점에서 협력체는 동북아 지역의 새로운 다자협력 가능성을 제시한다. 한국 정부는 방역과 보건이라는 새로운 보건 안보이슈를 통해 협력체 구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협력체를 통한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기대하고 있다. 협력체 구상은 상호협력을 통해 상호의존을 증대시킴으로써 경쟁과 갈등을 해소하고, 협력을 통해 안보와 번영을 달성한다는 목표와 원칙을 공유한다. 하지만 협력체는 미·중관계의 격화, 북한의 참여 가능성, 참여국 간 이해관계 충돌 등의 쟁점이 존재하며, 협력체 내 한국의 주도권 문제, 주도권 확보를 위한 미국의 지지, 북한의 참여 유도 등에 대한 실현 과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주도권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참여국 간 이해관계의 충돌을 방지하며,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 냄으로써 협력체 구상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 Preliminary Study on the Hymenopterous Parasites of Rice Stem Borers with Description of Two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form Korea

        장영덕,Chang Young Duc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1978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17 No.1

        1973-75년까지 5개년간 수도에서 채집한 표본과문헌을 통하여 이화명충의 기생봉만을 중점하여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richogrammatidae 2종, Scelionidae 1종, Braconidae 5종, Ichneumonidae 7종 등 모두 15종이 발견되었다. 2. 이중 Apanteles chlonis와 Microgaster russata 등 2종은 한국미기록종임이 밝혀졌다. 3. Trichogramma chilonis, Eriborus terberans 그리고 Gambrus ruficoxatus 등의 3종은 문헌에만 기록되었을 뿐 본조사기간중 실제로 표본을 확인할 수 없었다. An intensive survey of rice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with special references on parasites of rice stem-borers was made during the last 5 years(1973-77).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15 species of hymenopterous parasites from the rice stem-borers were identified; Trichogrammatidae-2 spp, Scelionidae-1 sp, Braconidae-5 spp, Ichneumonidae-7spp. 2. The two Trichogrammatids species, Apanteles chilonis and Microgaster russata are first records from Korea. 3. Museum presence specimens of the 3 species: Trichogramma chilonis, Eriborus terebrans and Gombrus ruficoxatus, we previously identified in Korea, could not be located in this periods of study.

      • KCI등재

        복숭아흑진딧물에 기생(寄生)하는 진디벌에 관(關)하여

        장영덕,윤영남,Chang, Young Duck,Youn, Young Nam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6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13 No.2

        복숭아 혹 진딧물의 생물적(生物的) 방제(防除)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85년 4~10월(月)까지 대전근교(大田近郊)의 포장에서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寄生)하는 진디벌의 종류(種類)와 이에 기생하는 중기생벌을 조사하였고 진디벌과 중기생벌과의 관계, 주요 진디벌과 중기생벌의 mummy 형성 및 우화 등을 조사하였으며 진디벌의 생존기간(生存期間) 등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야외에서 채집(採集)된 201개(個)의 mummy 중 진디벌이 38.3% 중기생벌이 44.3%가 우화(羽化)되었다. 2. 복숭아 혹 진딧물에 기생하는 진디벌은 Lysiphlebia japonica와 Trioxys hokkaidenis가 가장 많았다. 3. 중기생벌은 Prataphelinus nikalskajae, Eucoila sp. Ardilea convexa가 많았다. 4. L. japonica가 T. hokkaidensis보다 중기생벌에게 더 많이 기생 당하고 있었다. 5. 종합적인 기생활동능력(寄生活動能力)은 T. hokkaidensis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6. L. japonica의 수명은 최대 3일이며 Glucose를 먹이로 하였을 때 가장 길었다. A biological study was done on primary parasites and hyperparasites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collected in Taejeon area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to September 1985 was. The results of mummification of primary parasites, host selectivity between primary parasites and hyperparasites, and longevity of important species were obtained as follows; 1. Among the 201 mummies collected in the field, adult primary parasites and adult hyperparasites were 38.3% and 44.3%, respectively. 2. Among the primary parasites, Lysiphlebia japonica and Trioxys hokkaidensis were most important species. 3. Among the hyperparasites, Prataphelinus nikalskajae, Eucoila sp. and Ardiles convexa were dominant species. 4. L. japonica was more parasitized by the hyperparasites than T. hokkaidensis. 5. T. hokkaidensis was higher than L. japonica in the ability of parasitism. 6. L. japonica had lived for 3 days by feeding glucose, the other foods had lived shorter than food.

      • Control of Overwintering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 in Straw Handicrafts with Phostoxin Fumigation

        장영덕,김홍선,유재기,Chang Y. D.,Kim H. S.,Yoo J. 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1978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17 No.1

        Overwintering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 larvae, pupae and adults in rice straw handicrafts were exposed to different doses and periods of phostoxin in gas chambers(ave.temp. 27C).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For 100 percent mortality, larvae required 48 hours, pupae 24 hours and adults only 8 hours of exposure. 2. The insecticidal effect of tile fumigant was more dependent upon the length of exposure than the dosage of fumigant. 수출 볏짚 제품내에 들어있는 월도 이화명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Phostoxin $30\%$ 훈증제를 $27^{\circ}C$ 기온상태에서 $1m^3$들이 프라스틱 chamber를 사용하여 농도 및 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동유충은 처리 48시간, 옹은 24시간, 성충은 8시간에서 $100\%$의 살충율 얻었다. 2. 약제의 사용농도 보다는 처리시간의 장단에 따라서 살충효과의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Anagrus incarnatus Haliday의 기주선택 및 교미행동과 이의 생식방법에 관한 연구

        장영덕,여윤수,김용헌 한국응용곤충학회 199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0 No.2

        멸구류의 난기생봉인 Anagrus incarnatus Haliday의 기주탐색, 고매행동, 산란습성 그리고 생색형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괴가 있는 엽초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188.5초였고 기주에 도달후 안테나의 drumming시간은 17.5초, tapping 72.4초, 삽입하여 산란하는데 206.7초 걸렸으며 교미 시간은 16~21초 정도였다. 본 종은 양성생식과 단위생식을 겸하며 교미시의 암수 비율은 약 3:1이었고 자성단위 생식형이었다. The host finding, ovipostition of Anagrus incarnafus Haliday and the sex ratio of its offsprings was determined. Both male and female mate immediately after emergence and the female parasitoid search for host eggs by drumming with antenna immediately after release on the rice seedings. Time required for the host searching, drumming with antenna, tapping and inserting with ovipositor, and ovipositing of A. incarnaws takes 188.5, 17.5, 72.4 and 206.7 seconds, respectively. The time required for mating takes 16-21 seconds. The sex ratio of offsprings between female and male was about 3: 1 in mated females and all the offsprings emerged from the eggs of unmated females were males. So, A. incarnafus can reproduce zygogenetically and parthenogenetically and the mode of parthenogenetic reproduction was an arrhenotokous parasitoid.

      • KCI등재

        수교 전 한국 언론의 중국 인식 : 1981~1992년 신문 사설을 중심으로

        장영덕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4

        This paper analyzed how Korean newspaper media perceived China before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especially from 1981 to 1992. 1) Regarding the volume and subject, first, three newspapers devot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paper to Chinese politics. This is because China's domestic political factors were more important than economic factors in Korea-China relations. Second, as relations with China began to improve in the late 1980s, editorials on the theme of Korea-China relations increased rapidly. Third, editorials on related topics as US-China relations and North Korea-China relations were important in Korea-China relations. 2) Regarding the media's perception, first, China began to be recognized as a sovereign state. Second, it began recognizing China as a significant actor in peace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s relations with China improved, China's role in the Korean Peninsula increased. Third, it showed expectations for economic ties with China. China's reform and openness and establishment of a mutual trade representative were recognized as fundament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Korea's economic development. 본 논문은 한·중수교 이전, 특히 1981년부터 1992년 7월까지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등 한국의 신문 매체가 중국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사설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1) 사설의 보도량과 주제와 관련하여 첫째, 세 신문은 중국의 국내정치 상황에 대해 비교적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다. 이는 냉전 당시 한·중관계 혹은 한반도 문제에 있어 중국의 국내정치 요인이 미·중관계나 경제 요인보다 더 중요했기 때문이다. 둘째, 1980년대 후반 중국과의 관계 개선이 본격화되면서 한·중관계를 주제로 하는 사설이 급증하였다. 셋째, 한·중관계에 있어 미·중관계와 북·중관계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만큼 관련 주제의 사설이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 중국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첫째, 198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중국에 대한 호칭을 ‘중공’이 아닌 ‘중국’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중국을 하나의 주권국가로 인식하기 시작한다. 둘째, 중국을 북한 문제를 비롯해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주요 행위자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중국과의 경제교류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새로운 시장에 대한 인식을 보인다. 중국의 개혁개방, 상호 무역대표부 설치 등은 중국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중요한 도전이자 기회라고 인식하였고, 수교를 기점으로 경제 요인은 한·중관계를 규정하는 핵심 변수가 되었다.

      • KCI등재

        싸리진디벌을 이용한 하우스고추에서 발생하는 진딧물의 생물적 방제

        장영덕,전흥용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3 농업과학연구 Vol.30 No.1

        싸리진디벌 발육은 25℃와 30℃에서 각각 평균일수 11.9일과 12.1일로 가장 우수하였다. 그리고 싸리진디벌 성비는 암컷의 발생비율이 높은 20∼25℃가 가장 사육에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화는 10℃에서 58.8%, 15℃에서 88.1%, 20℃에서 99.1%, 25℃에서 98.2%로서 우화에 가장 적당한 온도는 20∼25℃였다. 싸리진디벌 성충의 활동력은 온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복숭아혹진딧물 무시약충의 발육기간은 온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시설내 고추에 발생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복숭아혹진딧물이 6.1∼1024.4마리로서 가장 많은 발생밀도를 보였으며, 담배나방은 3.3∼53.3%의 피해과율을 나타내었다. 싸리진디벌 방사구는 2000년 6월과 7월에 각각 진딧물 173.5마리, 1.8마리, 머미 10개, 17개, 2001년 5월과 6월에 진딧물 7.5마리, 27.1마리, 머미 0.4개, 2.1개로서 무처리구보다는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약처리구와는 방제 효과에서 차이가 없었다. The life-cycle of the aphid-parasite, Aphidius gifuensis, took 11.9 days at 25℃ and 12.1 days at 30℃. The female appearance rate of A. gifuensis was the best at 20∼25℃ compared to the other temperatures. Optimum rearing temperature of Aphidius gifuensis was 20∼25℃. Optimum temperatures for A. gifuensis emergence were 20℃ and 25℃ with 99.1% and 98.2%, respectively. However the emergence rate of Aphidius gifuensis was 58.8% at 10℃.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gifuensis adult activity and temperature, bu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al period of Myzus persicae nymph and temperature. Among the pests occurring in pepper greenhouse, dominant species was M. persicae and its density was 6∼1,024 per plant. The damaged fruit rate by Helicoverpa assulta was 3.3∼53.3%. The number of aphid and mummy in the A. gifuensis released plot were 173.5 and 10 in June, 1.8 and 17 in July, 2000, respectively. The numbers of Aphidius gifuensis were 7.5 and 0.4 in May, 27.1 and 2.1 in June, 2001, respectively. The suppressive effects on M. persicae in A. gifuensis released plot was better than the control plo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esticide­sprayed plot. The first leaf length and the stem width in the A. gifuensis released plot, the control plot, and the pesticide­sprayed plo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A. gifuensis released plot showed the highest yield among the plo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