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자莊子』를 통해 본 TV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 : 차이의 존재론에 대한 소고

        임홍남(Im, Hong-nam)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20 교육과 문화 Vol.2 No.2

        본 연구는 장자의 사상에 토대하여 TV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를 다시 봄으로써 드라마가 내포하고 있는 차이의 존재론에 대한 의미를 읽어보고자 한다. 이에 살펴본 장자에 나타난 차이의 존재론은 다음과 같다. 장자는 먼저, 무용지용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세상의 모든 존재 중 쓸모없는 존재란 없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장자는 만물제동을 논하며, 모든 존재는 각기 차이를 지니고 모두 다를 뿐, 가치에 있어서는 동등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장자는 일원론에 바탕하여 모든 존재는 양행하는 특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늘 변화의 경계에 놓여있는 사이-존재임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자의 시선으로 다시 본 TV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가 전하는 메시지는 흔히 이상하다고 간주되는 사람들은 이상한 것이 아니라 모두 다른 존재일 뿐이며, 그들이 드러내는 모습은 각자의 서사에 따른 이유가 있음을 살펴보게 한다. 그런 점에서 개별 존재는 정상과 비정상 중 나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개인 안에 정상과 비정상을 품고 있는 존재임을 알아보게 한다. 그러므로 TV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는 차이를 지닌 다양한 존재들의 다양성을 인정해주는 측면에서 인식의 전환을 이끄는 매체로서 활용성이 엿보인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ntends to read the meaning of the ontology of differences that this drama implies when viewing the TV drama “It s Psycho but It s All Right” based on the idea of Chuang-tzu. The ontology of differences that appeared in Chuang-tzu is as follows. First of all, Chuang-tzu suggests that there is no useless existence among all beings in the world by presenting an example of uselessness. Therefore, the Chuang-tzu discusses the braking of all things, and suggests that all beings are different and all are different, but are equal in value. In addition, the Chuang-tzu reveals that he is always on the boundary of change in that all beings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both good and good based on monism. Therefore, the message conveyed by the TV drama It s Psycho but It s All Right , which we saw again through the eyes of the firstborn, is not strange that people who are often considered strange are not strange, but they are all different beings, and the appearances they reveal have reason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narratives. do. In this regard, it is made to recognize that an individual being is not a person that can be divided between normal and abnormal, but that the individual has normal and abnormal.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usefulness of the TV drama “It s Psycho but It s All Right” shows a glimpse of its utility as a medium that leads to a shift in perception in terms of acknowledging the diversity of various beings with a difference.

      • KCI등재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을 통해 본 유아교육의 방향

        임홍남 ( Im Hong-na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의 의미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를 고찰함으로써 유아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리오타르는 기호로 표기되는 메타 서사적 지식 역시 소서사적 지식의 한 갈래일 뿐임을 드러내며, 절대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를 통해 리오타르는 지식의 유동성과 미결정성을 장려함으로써 주체간의 언어게임을 통해 지식은 늘 생성 가능한 것임을 밝혔다. 이러한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의 의미를 통해 살펴본 유아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은 획일적인 메타서사를 답습하기보다 유아들의 다양한 소서사적 지식을 인정함으로써 풍부한 리좀적 교육내용을 취해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은 메타서사를 개념으로 가르치기보다 유아가 직접 물질과 만나고 체험하며 그들만의 소서사(앎)를 생성하는 교육 방법으로 나아가야 한다. 셋째, 유아교육은 메타언어로 아이와 대상을 바라보게 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언어게임 속에서 서로의 소서사를 생성하며 타자의 차이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의 의미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보는 것은, 기존의 유아교육에서 간과하고 있었던 지식의 본질을 되짚어봄으로써 미래사회 준비를 요청받는 유아교육의 근본부터 새로이 다지며 재정립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new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implications of the narrative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yotard reveals that the metanarrative knowledge represented by symbols is merely a branch of narrative knowledge, and that absolute knowledge does not exist. And, by promoting the fluidity and uncertainty of knowledge, Lyotard has shown that knowledge can be always generated through language games between subjects.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has been explored through the meaning of Lyotard's narrative knowledge, is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following a uniform metanarra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take abundant lesson education content by recognizing various children's narrative knowledge. Second, rather than teaching the concept of metanarra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a way to meet and experience the material directly and to create their own. Third,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recognizing the difference and diversity of the others, creating a narrative in various language games. Based on the meaning of narrative knowledge in Lyotard, we are looking for a new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looking back at the nature of knowledge that was overlooked in the exis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implies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is necessary to prepare children for their future society, can provide a basis for renewing and establishing from the beginning.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본 ‘생태’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임홍남(Hong nam Im),안세정(Se Jung An),김은주(Eun ju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생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에 거주하는 부모 200명에게 설문을 배부하였으며, 154명이 응답하였다. 그 중 이유진술문 관련성이 적은 2부를 제외한 152부가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분석하고, 범주화 및 수치화하였다. 연구결과, 부모들은 ‘생태’를 함께 살아가는 것, 본연 그대로인 것, 자연과 가까운 것, 육아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 쉼을 제공하는 것, 건강한 삶을 사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들이 ‘생태’를 철학적 의미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육아와 교육의 방법으로, 생활양식이라는 실천방안의 의미로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를 기초로 생태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부모들이 양육신념과 양육방법, 태도, 그리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conducted a metaphor analysis to identify the parents awareness of ‘ecology’. For th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52 parents who reside in Busan and Gyeongnam as subjects during the period between May 19 and August 12, 2016 with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August 12 and September 10 used for analysis, categorization and quantification. The study has classified the types of parents awareness of ‘ecology’ into six categories as described below. First, we should live with ecology. Second, ecology retains its true nature. Third, ecology is close to nature. Fourth, ecology presents the direction and guide for childcare. Fifth, ecology provides rest. Sixth, ecology is equivalent to living a healthy life. This study finds its value and meaning in that it has found that parents awareness of ‘ecology’ identified through these research findings is so interwoven with socio-cultural aspects that ‘ecology’ provides not only the direction as to the role of parents and parenting style but also concrete ways to promote a healthy life for parents as well as their children.

      • KCI등재

        장자의 무위(無爲)를 실천한 유아교사의 경험 연구

        임홍남(Im, Hong-Nam),김은주(Kim, Eun-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9 敎育思想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장자의 무위를 실천한 유아교사들의 경험을 살펴보고자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교사 3인과 2017년 6월에 2회의 집단면담을 실시하였으며, 2018년 2월에는 1회의 개인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들이 실천한 무위의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시하지 않음으로써 유아가 자발적으로 하게 하였으며 둘째, 교사가 미리 많은 것들을 해주 지 않음으로써 유아 스스로 할 기회를 주었고 셋째, 기준을 가지고 유아를 보지 않음으로써 유아들의 다양한 모습이 발현되게 하였다. 또 넷째, 교사가 직접적으로 이끌지 않음으로써 유아의 있는 그대로를 따라 갔다고 하였다. 한편, 유아교사들은 무위를 실천하며 기존의 교사 역할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유아교사가 더 많은 것을 행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구조를 인식하였 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사역할에서 무위적 역할에 대한 재조명을 요청하며, 교사가 교육신념에 따라 교육할 수 있는 유연한 유아교육의 구조체계 마련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론과 실제가 병행하는 유아교사교육의 필요성을 함의한다. 본 연구는 장자의 무위를 실천한 유아교사들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무위의 접목 가능성을 모색하고, 유아교사의 무위적 역할이라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racticed Wuwei in Chuang-tzu. For research purposes, two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June 2017 with thre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tudy, and one private interview was held in February 2018. As a resul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aid that they practiced Wuwei as follows. First, teachers did not instruct the children to voluntarily participate. Second, teachers did not do anything in advance for the children to do for themselves. Third, teachers did not try to judge the children based on the teacher s criteria so that each child could be revealed in various ways. Fourth, teachers were not led by teachers in order to respect their children as they are. On the other hand, teachers recognized the structure that allowed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o more because they practiced Wuwei and did not act as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ll for a re-examination of Wuwei in the teacher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uggest that a flexible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should be in place for teachers to educate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elief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parallel with theory and pract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grafting Wuwei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uggests a new direction of Wuwei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by examining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who practiced Wuwei of Chuang-tzu.

      • KCI등재

        산책활동에 나타난 만 1세 영아들의 생명에 대한 경험 탐색

        임홍남(Im, Hong-Nam),김은주(Kim, Eun-Ju)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는 만 1세 영아들의 산책활동에 나타난 생명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고자 사례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B어린이집의 만 1세 영아 10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1년 동안 참여관찰을 하였고, 그 외 관련 문서도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만 1세 영아들은 산책을 통해 각각의 생명에 관심을 가지고 다가가고, 각각의 생명과 ‘생명 대 생명’으로 만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만 1세 영아들은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것에서 나아가 온생명을 향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유아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생명존중교육은 개념화된 생명교육을 넘어 각 개별 생명을 알아가는 방향이어야하며, 이를 위해 자연스러운 산책활동을 통해 각 생명과 직접적으로 만나고 교감함으로써 온생명적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xperience of one-year-old toddlers facing life as demonstrated in walking activities. Case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0 one-year-olds from B Nursery facility that offers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oddler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participated for one calendar year from March 2015 to February 2016, and related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s have shown that one-year-old toddlers were interested in each life through a walking. And they experienced life as a process of meeting another life. The study has also found that toddlers cherish all life and enjoy the global universal life through a walk.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fe-esteeme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go beyond conceptual education to know each individual kind of life. For this,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dealt with provide natural walking activities, directly by meeting and communicating with each life in view of wider, global-life.

      • KCI등재

        보육교사의 이상적 자녀 양육관에 관한유아교육적 함의 탐색

        조아라 ( Cho A Ra ),임홍남 ( Im Hong Na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가진 이상적 자녀 양육관에 대한 심층적 이야기를 통해 유아교육적 함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미혼의 보육교사 8인을 심층 면담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보육교사들은 보육교사 경험을 통해 자녀 교육에서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미래 자신의 자녀를 자유로운 놀이가 이루어지는 유아교육기관에 보내길 원했다. 또한 보육교사들은 기관에서의 양육경험을 통해 무조건적인 허용적 양육태도에 대한 경계와 일관성 있는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유아들의 공동체 생활을 살펴봄으로써 자녀의 인성과 사회성에 다시금 주목하며 그에 대한 이상적 자녀 양육관을 피력하였다. 보육교사의 이상적 자녀 양육관을 통해 살펴본 유아교육적 함의는 놀이중심 교육 및 아동중심 교육에 대한 성찰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유아의 인성 및 사회성 교육을 위해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이 공동의 책임과 연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촉구한다. 더불어 부모와 보육교사가 공동 양육자로서 협력할 수 있는 부모교육의 장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건강한 생태교육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a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in-depth discussion of the views on ideal child-rearing among child care teachers. For this, I hav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unmarried child care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using the open coding method. The study has found that child care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lay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the child through their hands-on experience and wanted to send their future kids to a child care center where free plays are carried out. In addition, the child care teachers have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consistency in child-rearing and warned against unconditional permissive child-rearing attitude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child care institutes. Lastly, the child care teachers expressed their views and opinions on ideal child-rearing while paying their attention to children`s personality and sociality by taking a look at community life among children in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ese study findings of the child care teachers` views on ideal child-rearing imply a need for reflection on play-based and child-centered education and urge a joint responsibility and close connection between family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to properly promote the personality and sociality among young children.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parents and child care teachers should establish a place for parent education to cooperate as co - caregivers.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ing a healthy eco - education system for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예비아버지의 ‘건강한 육아’에 대한 인식 탐색

        김정미(Jeong Mi Kim),임홍남(Hong nam Im),김은주(Eun ju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healthy child caring by recognizing the perception of ‘healthy child caring by selecting a prospective father. To do this,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97 prospective father. As a result of the study, I mentioned the contents of ‘healthy child caring by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of health. In terms of physical health, it has been shown that providing good food and healthy living environment, habituation of exercise from childhood, and checking health not to hurt. In terms of mental health, it has been shown that the child is allowed to play with fun as a child, to support the child to know what he wants, to spend a lot of time with the child and to establish a bond. In terms of social health, it has been shown that building up the right personality, staying well with others, and creating a healthy and safe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implement an ecological education system in which healthy child caring is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life, and parents, teachers, and communities are organically connected. 본 연구는 예비아버지가 인식하는 ‘건강한 육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건강한 육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시에 거주하는 무자녀의 미혼, 기혼 성인 남성 9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아버지들이 인식한 ‘건강한 육아’는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으로 나타났다. 이를 살펴보면, 예비아버지들은 육체적으로 건강하게 자녀를 키우기 위해 몸에 좋은 먹거리와 건강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고, 어릴 때부터 운동을 습관화시키고, 아프지 않도록 건강을 체크해주어야 한다고 나타내었다. 그리고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자녀를 키우기 위해서는 아이가 아이답게 신나게 뛰어놀 수 있도록 하고, 아이가 원하는 바를 알고 행하도록 지지해주며, 아이와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며 유대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 사회적으로 건강하게 자녀를 키우기 위해서는 바른 인성을 길러 주고, 타인과 두루 잘 지내도록 지지해주며,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주어야 한다고 드러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아버지가 인식하는 ‘건강한 육아’의 방향에 주목해봄으로써 육체적 정신적으로 균형 잡힌 육아의 방향이 국가적 차원에서 육아의 흐름이 되기를 기대하며, 부모와 교사, 지역 사회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태교육 시스템을 구축하여 ‘건강한 육아’를 실천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TV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의 유아교육적 의미와 한계점에 관한 탐색

        김은주(Kim, Eun-Ju),임홍남(Im, Hong-Nam)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0 No.2

        TV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는 현대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큰 반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논문은 ‘뽀롱뽀롱 뽀로로’의 유아교육적 의미와 한계점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뽀롱뽀롱 뽀로로’에 나타난 유아교육적 의미를 현행 교육과정의 5개 생활영역에 근거하여 분석해본 결과, 기본생활 습관을 강조하고 자연에서 친구들과 함께 노는 놀이를 강조하였으며, 올바른 언어 환경을 제공하여 책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상상력 및 탐구심을 자극하여 자유로운 표현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의미가 있는 반면 ‘뽀롱뽀롱 뽀로로’는 놀이의 모티브를 제공하는데 제한적이고, 성역할 고정관념을 고착시키며, 한국적 요소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지적 측면에서 상대적 위축감을 조장하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유아들의 긍정적인 매체시청을 위해서는 어른들이 TV애니메이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가지고 함께 시청해줄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aimed at searching for the educational means and limits of Pororo, TV animation for all infants. There are four types of educational values. That is to emphasize living habits, to underline playing with friends in nature, to provide a right verbal environment and to be able to express one"s thoughts by stirring up infant’s imagina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t doesn’t provide enough motive of play and reflect any Korean elements. In addition, it not only perpetuates stereotypes of gender roles, but also incites the depression relatively in cognitive aspects. So this paper suggests that adults need to select TV animation and watch it together with babies for infants positive media viewing.

      • KCI등재

        영유아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보육현장 지원정책 제안

        김병만(Byung Man Kim),정수정(Su Jeong Jeong),이강훈(Kang Hoon Lee),임홍남(Hong Nam Im),김정주(Jung Ju Kim) 한국보육지원학회 202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20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hild-care support policy strategy in response to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children aged 0-5 years. This will be achieved by collecting opinions from a panel of experts on child-care support policies through a Delphi survey.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panel of 20 experts in child-care policy was selected,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ver three sessions. Data collec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underwent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ntent validity ratio, coefficient of variation, agreement, and convergence.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using Excel 2016 and SPSS 26.0.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 child-care support policy strategy addressing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children aged 0-5 years was developed, comprising three policy areas, nine policy tasks, and 38 detailed policy tasks.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will not only enable the preparation of a strategy for child-care support policy to address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children aged 0-5 years but also offer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shaping the direction of child-care support policy in alignment with the common good.

      •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 개발

        김병만(Byung-Man Kim),김다희(Da-Hee Kim),박수지(Su-Ji Park),이강훈(Kang-Hoon Lee),임홍남(Hong-Nam Im),정수정(Su-Jeong Jeong),정진성(Jin-Sung Jeong),곽영숙(Young-Sook Kwa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fant-centered STEAM play that is made into a narrative. This study solved STEAM play, in which infants create narratives together, as an expressive play led by infants, and organized around cases. It aimed to establish a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plan that can lead to high interest in play and learning and creative thinking for young children, and researchers and field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eveloped the program by converging art, science, and engineering as a member of a professional joint learning community. As a result, ‘slides in space’, ‘symbols of art, various types of towers’, ‘why does it sound different? Sound sculptures, imagination and connection, doors as boundaries, and sound and motion, meeting acoustic engineering, and polyartists were developed. In addition, field support material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guidebooks, infant workbooks, narrative media contents, and PPT for teacher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practice, and implications of how to solve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aimed at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were proposed. 본 연구는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아가 함께 내러티브를 만들어가는 STEAM 놀이를 유아가 주도하는 발현적 놀이로 풀어냈으며, 사례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유아에게 놀이와 배움에 관한 높은 관심과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교수학습 실천방안 구축을 목표하였으며, 연구진과 유아교육기관 현장교사들이 전문적 공동학습체 일원으로 예술과 과학 및 공학을 융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공간 속 미끄럼틀’, ‘예술의 상징, 다양한 형태의 탑’, ‘왜 다르게 들릴까? 소리조형물’, ‘상상과 연결고리, 경계로써 문’, ‘소리와 동작, 음향공학의 만남, 폴리아티스트’ 놀이를 개발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가이드북, 유아용 워크북, 내러티브 미디어 콘텐츠, 교사용 PPT 등 유아교육 현장 지원 자료 개발하여 보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지향하는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 STEAM 교육을 어떻게 풀어낼 수 있을지에 대한 방향성과 실제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