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비대면 유아체육 프로그램 활동이 체력발달에 미치는 영향
임혜진,김동화,이수근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fant physical education programs for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on physical development and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to kindergarten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50 children of the age of 5 attending kindergart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non-experimental group, an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infant physical education program, 25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in the non-experimental groups were equally tested for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balance, and agility. , agility tests were measured, and the application of the infant physical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only 25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12 week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the average difference of each group on physical develop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groups. Second,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mean of each group for muscular endurance and balance,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appeared.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non-experimental group in the result of the average difference in flexibility of each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Fourth, the average difference results of each group on ag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groups. Conclusion: In conclusion, it has been verified that it is helpful for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and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if they can systematically develop non-face-to-face infant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nd make easy and fun videos so that children can participate in classes with interes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n educational material for infant physical education class teachers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체육활동을 위한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체력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유치원의교사들에게 교육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대상자는 체육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D광역시 소재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50명의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25명)과 통제집단(25명)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첫째, 신체발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근지구력에서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연성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전에서 집단 간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평형성에서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전에서 집단 간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평형성에 대한 두 집단 내 평균차이 결과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나타났다. 여섯째, 민첩성에 대한 두 집단 내 평균차이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체육 프로그램 활동을 보다 체계적으로 개발해내고 쉽고 재미있게 영상을제작하여 유아들이 흥미를 갖고 수업에 참여한다면, 유아들의 신체발달과 체력발달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며, 이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비대면 유아체육 프로그램 활동으로도 유아의 체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3D 소음예측모형을 활용한 교통소음 관리방안 연구 : 용인시를 중심으로
임혜진,금기정,고하영,이준오 한국도로학회 2019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21 No.6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by exploring ITS technology-based reduction measures to manage vehicles on the road, which are the main cause of traffic noise, while identifying the effects of traffic noise and various noise reduction measures. METHOD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identified the matters discussed mainly by reviewing the pre-examination and related statutes of traffic noise management measures at home and abroad. Furthermore, in the field investigation section, the variables affecting traffic noise (traffic volume, large vehicle mix rate, and driving speed) were investigated and the noise impact was analyz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3D) noise prediction model (SounpdPLAN). RESULTS: The noise impact levels of the 3D noise prediction model were identified from various angles, such as horizontal and vertical, and traffic noise management measures for pre-real-time management and related DB utilization measures were proposed. CONCLUSIONS: Unlike the existing traffic noise management measures, which focus on follow-up management measures, it is believed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standards and related guidelines that meet regional characteristics b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noise and creating concrete and drawing action plans that can be used in future policies using ITS technology.
임혜진,유승훈,곽승준 한국지역학회 2006 지역연구 Vol.22 No.2
도시 내 숲과 공원의 조성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도시의 경제적 건강과 도시민의 삶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지에서 최근 서울시가 대대적으로 추진해온 도시균형개발사업의 하나인 서울숲 조성사업을 대상으로 경제적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평가를 위한 적합한 틀로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선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불의사액 추정에 있어서 분포에 관한 가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모수적 추정법을 적용하여 모수적 추정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수적 방식으로 추정된 연평균 WTP는 2,183원인 반면, 비모수적 방식으로 추정된 연평균 WTP는 2,965원으로 큰 차이를 보여 서울숲 조성사업의 경우 모수적 방식의 추정은 다소 문제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비모수적 추정치를 바탕으로 한 비용편익분석 결과, 서울숲 조성의 경제적 순 편익은 약 168억 원에서 약 192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량적 정보는 향후 비슷한 규모의 도시개발계획에 대한 경제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for evaluation on the provision of a seoul forest in terms of urban planning. To this end, we apply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n assessing the non-market benefits derived from the provision of a new urban forests in Seoul. Also conducting our study, we used both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approaches, which yielded saliently different results. That is, our main finding is that a representative household would be willing to pay 1,941 Korean won annually for constructing Seoul Forests, according to the parametric approach and 2,965 Korean won by the non-parametric approach. Finally net economic benefits based on non-parametric estimation results would amount to approximately 16.8 to 19.2 billion Korean won.
한국에서의 물소비와 경제성장 :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임혜진,유승훈,곽승준 한국수자원학회 200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7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의 물소비와 경제성장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보다 엄밀한 Granger 인과성 기법을 적용하여 인과성 문제를 좀더 세심하게 살펴보았다. 단위근, 공적분 그리고 오차수정모형을 통한 Granger 인과성 검정의 적용 결과, 한국에서의 물소비와 경제성장 사이에 양방향의 인과성이 존재함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우리나라 전체를 위한 정책분석 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