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Proton Pump 억제제 투여 후 빠른 호전을 보인 Menetrier병 1예
임현정,박선자,서정아,문원,김규종,박무인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6 No.2
Menetrier 병은 드문 질환으로 거대 비후성 위염과 단백 손실성 장질병, 부종 및 상복부 불쾌감 및 체중감소 등의 소견을 보이는 질환이고, 비슷한 소견의 위림프종이나 침윤성 위암 같은 악성질환과 달리 예후가 매우 좋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23세 여자가 상복부 불쾌감과 소화불량으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저알부민혈증이 있었고, rapid urease test, H. pylori 항체, 13C 요소 호기 검사가 모두 음성이었다. 내시경 검사에서 위벽의 거대한 주름과 내시경 초음파 검사에서 위벽 제2층 두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조직검사에서 위염 및 소와 증식 소견으로 Menetrier 병으로 진단하였으며 단기간의 proton pump 억제제 투여에 의해 빠른 호전을 보인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복합표본분석을 활용한 한국성인 대사증후군 환자들의 비만과 주관적 건강인식
임현정,김응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의 성별, 연령에 따른 비만과 성별과 연령, 대사증후군 유무에따른 주관적 건강인식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VI-2)의 건강설문조사에 응답한 5,674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판정을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3.0의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에 높은 비율로 비만 유병률이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남성에서는 청장년(19~39세)이 77.2%의 비율로 가장 높은 비만 유병률을 나타냈고, 대사증후군을 가진 여성에서는 중년(40~65세)이 73.9% 비율로 가장 높은 비만 유병률을 나타냈다. 주관적 건강인식은 성별에서는 남성, 연령별로는 3개의 그룹 중 청장년이 가장 높았고, 대사증후군 유무로는 대사증후군을 가진 집단이주관적 건강인지 정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사망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질환과주관적 건강인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복합표본분석을 적용한 한국 대사증후군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EQ-5D)
임현정,김응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8
Purpos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gender, age period, and the metabolic syndrome or not.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5,021 adults, who completed all of the KNHANES VI-2.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using life periods, into you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Metho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KNHANES VI-2. IBM SPSS 25.0 was used for a complex samples cross-tabulation, general linear model and a complex samples t-test. Results: The HRQoL (EQ-5D) was higher in male(p<.001), in the young group by age(p<.001), and in the non-metabolic syndrome group(p>.05). In condi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by gender, the female group’s EQ-5D was higher in the non-metabolic syndrome group; there was the result of the complex samples independent t-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Q-5D(p<.01). Conclusion: The HRQoL (EQ-5D) was higher in male, young, and in the non-metabolic syndrome group. Also, in condi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female, there was the result of the complex samples independent t-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Q-5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