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ATMP : CAMP를 개선한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임수정,이미정,Lim, Soo-Jeong,Lee, Mee-J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8 No.4

        본 논문에서는 애드 혹 망을 위한 메쉬 기반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인 CAMP(Core-Assisted Mesh Protocol)를 보완한 CATMP(Core-Assisted Thick Mesh Protocol)룰 제안한다. CAMP는 트리 구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데이터나 제어 패킷의 플러딩없이 라우팅 구조를 생성하는 유일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제어 패킷의 발생이 제한적이고 네트워크의 크기가 확장되어도 잘 적응할 수 있다. 그러나 CAMP는 메쉬의 중심부보다 가장자리가 연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룹 멤버의 수가 적은 경우나 멀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그룹 멤버가 있는 경우 데이터 전달율이 저하된다. CATMP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메쉬의 연결 정도가 낮은 지역에서도 이웃의 참여를 유도하여 연결 정도를 높여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 메쉬가 좀 더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CAMP와 CATMP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CAMP의 성능이 저하되는 상황에서 CATMP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소셜미디어 분석을 활용한 재난안전산업 육성정책 수립방안

        임수정,박덕근,Lim, Sujung,Park, Dugke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18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6 No.1

        다양하게 변화하는 재난양태와 기후변화로 인한 빈번한 재난발생뿐 아니라 생활수준 향상 등의 이유로 재난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연계하여 재난안전 산업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그 동안 다양한 재난안전산업 육성 및 활성화 정책이 수립되었지만, 국가주도의 정책이 대부분이었고, 민간분야와 국민관심도가 반영된 정책은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관심도를 고려한 재난안전산업 육성방안 수립을 위하여 소셜미디어 분석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재난안전분야의 국민관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3년간의 소셜미디어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은 실제 발생했던 재난에 대한 내용, 즉각적으로 실생활에서 필요한 분야에 대해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로 경주 지진발생 당시 재난 관련 소셜데이터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뉴스에서는 피해상황 등에 관한 내용이 많은 반면, 트위터와 블로그에서는 구호물품, 대피요령 등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국민적 관심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셜미디어 활용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재난안전산업의 민간분야 확산 차원에서 국민관심도를 반영한 재난안전산업 정책 수립방안을 제안한다.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level towards safer life is increasing due to not only ever-changing faces of disasters and increased frequency of climate-change related disasters but also enhanced standard of living. Demand for disaster-safety industry is also increasing. Several policies for disaster-safety industry have been introduced. The policies, however, did not fully reflect the level of people's interes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ossible ways to reflect general public's interests towards disaster-safety industry using social media analysis, so that disaster-safety industry can be properly promoted. To examine the level of general public's interest, social media data during the last three years were compiled and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level was highest towards, firstly, information on just-happened real disasters, secondly, necessary knowledge in real life which could be applied immediately if disasters strike. It was also confirmed that social media was useful in analyzing people's interest level quickly, because social data have been found to be sharply increased during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applicable plans for disaster-related industry promotion based on social media data using general public's interest level.

      • KCI등재

        지역 문화의 예술 콘텐츠화 과정 연구

        임수정(Su Jeong Lim)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1

        본 연구는 사라져가는 지역의 문화를 춤으로 기록하는 과정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결과보다 과정에 집중하여 지역문화콘텐츠 연구의 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춤을 위한 기록 <호모나랜스_홍산 모시 이야기>’는 충남문화재단에서 실시하는 충남 무용 예술지원의 개인 분야에 선정된 프로젝트이다. 본 프로젝트는 기록과정에서 발견된 콘텐츠를 작품에 녹여내어 기존의 예술작업과는 차별성이 있다. 사라질 위기에 있는 홍산 모시를 기록하기 위해 홍산문화보존회 최병헌 회장, 홍산보부상보존회 진수범 회장, 홍산 모시 직조 명인 임양순과 조온숙 총 4인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홍산문화보존회 최병헌 회장은 잊혀져 가는 홍산의 문화를 보존 발전시키기 위해 예전의 홍산 모습을 노래로 만들어 고향의 문화를 지켜내려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홍산 지역민의 홍산 모시 이야기를 기반으로 ‘Dance Film <기억 2nd Story>’가 제작되었다. 작품의 내용은 모시를 하며 홀로 자식을 키워낸 임양순 명인님의 삶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홍산문화보존회 최병헌 회장의 《홍산 모시 타령》이 음원으로 사용되었고 인터뷰에 참여한 직조 명인이 짠 모시에 천연 쪽 염색을 들인 원단을 활용하여 의상을 제작하였다. 문화를 예술에 반영하는 작업은 그 문화를 경험하고 자란 지역민들과 함께 만들어진다는 것을 본 프로젝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즉, 콘텐츠화 작업은 예술가 혼자만의 작업이 아닌 함께 협업해야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예술을 활용한 지역 문화연구의 방향성 제시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recording disappearing local culture in the form of dance and explores its meaning. The main purpose is to present a research direction for local culture contents by focusing o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s. ‘Record for Dance <Homonarrans_Hongsan Mosi Story>’ is a project selected for the individual field of Chungnam Dance and Arts Support conducted by the Chungnam Cultural Foundation. This project differs from existing art work by reflecting the content found in the recording process into the work. In order to record Hongsan Mosi, which is in danger of disappearing, four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hoi Byung-hun, chair of the Hongsan Cultural P reservation Society, Jin Soo-beom, chair of Hongsan Peddler Preservation Society, and two weaving masters, Lim Yang-soon and Cho Onsook. During the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Choi Byung-hun, chair of the Hongsan Cultural Preservation Society was trying to protect his hometown's culture by making songs of the old Hongsan’s image to preserve and develop the forgotten Hongsan culture. ‘Dance Film <Memory 2nd Story>’ was produced based on the Hongsan Mosi story of the local Hongsan people. The content of the dance film symbolically expresses the life of Lim Yang-soon, a master who raised his children alone while weaving a Mosi. In addition, 《Hongsan Mosi Taryeong》 by C hoi Byung-hun was u sed a s a sound source, and costumes made of naturally dyed Mosi, which were woven by a weaving master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were utilized. The work of reflecting culture in art is conducted with local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nd grown up with the local culture, and from this point of view, contentization work is only possible when artists work together, not alone. Wit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 major role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local cultural research utilizing art.

      • KCI등재

        승전무 (勝戰舞) 음악 연구 - 북춤을 중심으로 -

        임수정(Soo Jeong Lim) 민족음악학회 2002 음악과 민족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groping the way to succeed the Samhyun Yucgac, which is one of the disappearing korean traditional musics. Samhyun Yucgac - which is composed of tree flute such as korean flute, korean clarinet, korean fiddle and two drum such as korean drum, double headed drum - was played for festival, parade and sacred rite, and developed with a regional trait. To my luck, Samhyun Yucgac of Tong Yong(the city located southern part of Korea) has been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music for the dancing for victory. So, in this research I tried to find out the way this music has been changed on the basis of Samhyun Yucga of Tong Yong. After the analysis on the music I found tree historical categories of this music. 1) First period Music, which was played by Kyung Kyu, Park in 1960-1970, was made up of Buddhistic invocation, traditional ballad, shaman song and had rhythm such as slow dodri, trayung, gutgeori. Melody had consistent streaming of re scale and structural composition compared with other periods. So, of the present music this type is likely to be close to reality of Samhyun Yucgac of Tong Yong. 2) Second period Music, which was played by Bok Ryul, Park son of Kyung Kyu, Park in 1970-1987. Composition and rhythm was the same as first period but, didn`t have a consistent streaming and that melody of traditional ballad was borrowed from that of shaman song. 3) Third period Music, which has been played by Gin Kyu, kim successor of Bok Ryul, Park from 1987. Due to the death of predecessors, absence for systematic development for the music, we could find out that this music is in the risk of disappearing. So, on this report I analyzed first period music and made a foundation for restoring the original reality of Samhyun Yucgac of Tong Yong. First of all, systematical support for the musicians is essential to revive and develop the disappearing traditional music.

      • KCI등재

        관서지방 배따라기 연행고(演行考)

        임수정 ( Soo Jung L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3

        조선 인조대에 경기(京妓)가 폐지된 이후 생긴 향기(鄕妓)의 선상제도(選上制度)로 인하여 지방에서 공연되어 지던 교방정재(敎坊呈才)가 궁중으로 유입되어 궁중정재로 채택, 궁중연향에서 연행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종목 중 하나가 선유락(船遊樂)이다. 선유락은 정조19년(1795)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에 최초로 기록된 이후 조선후기 궁중연향기록인 각종 의궤의 정재종목으로 빠짐없이 등장한다. 궁중정재 선유락을 담당한 여기(女妓)들이 당시 평안도 의주, 안주, 성천 등지에서 올라온 선상기(選上妓)들이었음을 고려할 때 이들에 의해 관서지방의 교방정재인 배따라기가 궁중으로 유입되고 궁중정재 선유락으로 정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궁중정재 선유락의 형성에 영향을 준 관서지방 교방정재인 배따라기는 명·청교체기 후금이 요동지역을 장악하자 명나라 사행(使行)을 바닷길로 갈 수 밖에 없었던 수로조천(水路朝天) 당시의 일을 바탕으로 하여 교방의 기녀들에 의해 공연물로 탄생되었다. 관서지방은 중국으로 사행을 떠나는 사신들이 거쳐 가야 하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사신들을 위한 연향이 많았고 중국으로 떠나는 사신들을 위한 전별연(餞別宴)에 교방청 기녀들에 의해 험난한 사행길을 떠나야 하는 이별의 애끊은 아픔과 사신들의 무사귀환을 축원하며 배따라기가 연행되었다. 관서지방 배따라기 관련 많은 문헌에서 교방정재 배따라기가 수로조천 당시 배가 떠나가는 (船離) 이별의 아픔을 처절한 성조(聲調)와 행위로 공연작품속에 담아내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기록을 토대로 살펴본 관서지방 배따라기는 무구로 사용되는 그림배(畵船)가 등장하고, 동기 한 쌍을 뽑아 군사인 소교(小嬌)로 분장시킨 후 군례를 올리고, 행군을 의미하는 고취악을 연주, 행선 전 부르는 노래와 음악반주, 행선의 모습을 극적(劇的)으로 표현, 무사귀환을 축원하는 이별가(배 떠나는 노래)를 부르는 형식으로 공연을 구성하고 있다. 명·청 교체기 수로로 사행을 떠나는 사신을 이별하며 바닷가에서 배를 떠나보내며 벌어진 실제 상황을 이렇듯 악·가·무와 극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공연물로 탄생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탄생된 관서지방의 교방정재 배따라기는 중국으로 가는 사신들을 위한 각종 연향에서 공연되어졌고 선상기들의 활동에 의해 궁중정재 선유락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궁중연향을 마친 선상기들의 귀향(歸鄕)으로 인해 다른 지방에도 유사한 형태의 공연물(『敎坊歌謠』 소재 「船樂」, 『이齋亂藁』 소재 「行船曲舞」)로 정착되어 지방의 연향에서 그 지방의 특색을 담아 서로 다른 절차로 공연되어졌다. Due to the system of sending selected hyanggi(local entertaining woman) to the government office in Seoul after the abolition of the system of gyeonggi(entertaining woman in capital area)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1595~1649), the kyobang-jeongjae(local dance performed for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had gotten into the court to be performed at the royal banquet as gungjung-jeongjae(court dance), one of which was seonyurak(dance of boating). It used to be performed for finale of the royal banque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ppeared in several uigwes(record for royal banquet) since its first appearance in the wonhaeng-eulmyo-jeongri-uigwe, documented in 1795, 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Considering that the yeoggi(female entertainer) responsible for the court dance, seonyurrak was the seonsanggi(selected entertaining woman from provinces) from the northwestern provincial villages such as Euiju, Ahnju, and Seongcheon etc., we can assume that the baettaragi, one of kyobang-jeongjaes whould have been getting into the court to become the seonyurrak as court dance. The baettaragi, kyobang-jeongjae of northwestern province that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 court dance, seonyurak was created as performance executed by entertaining women of kyobang(local supervisory office for entertaining women)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envoy of Joseon dynasty to the Ming dynasty could not help but taking a sea route when Amaga Aisin Gurun had a grip on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during the shift of power from Ming to Qing. There had been a lot of banquets for envoys in the northwestern province because of its geographical feature as gateway to trip to China and the baettaragi used to be performed by entertaining women belonged to local provincial office to consolate the sadness of separation with those who destined to depart to China and to hope for their safe return. The kyobang-jeongjae, baettaragi of northwestern province is recorded as performance with sorrowful song to put the pain of parting into work, according to many related documents. It puts together painted boats as props, the march of a couple of dancer dressed up as soldier with marching music called gochiak, the song and musical accompaniment before getting on boat, the dramatic expression of sailing, and the farewell song praying for safe return etc. It turns the situation of dispatching envoys for China by sea into performance with combination of music, song and dance. Created in this way, the kyobang-jeongjae, baettaragi had been performed at the various banquets for envoys departing for China and it affected the formation of court dance or gungjung-jeongjae called seonyurak through the activities of selected local entertaining women. It also exerted influence on other similar performance in provincial area because of the returning home of the selected local entertainers who finished their performance in Seoul and it had been performed with different variation at local banquet including locality in it.

      • KCI등재

        특허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산업 핵심기술 도출

        임수정(Lim Su jung),이유림(Lee Yu rim),이향이(Lee Hyang ee),박덕근(Park Dug keu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5

        In this study, disaster-safety related technologies in Korea and several selected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 were compiled to find core technologies using patent network analysis. Future directions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Korea s disaster-safety industry were also suggested. According to the network analysis, signalling systems (G08B), 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G06F), early warning and forecasting data processing systems (G06Q) were found as common core technologies in disaster-safety sector. Among others, pictorial communication (H04N), Manipulater (B25J), climatology (G01W), digital information transmission (H04L), were found to be most active and, therefore, receiving most attentions in USA, Japan, Europe, and Korea, respectively.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objective foundation for disaster-safety industry vitalizat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ing policies.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재난안전산업 관련 기술현황을 파악하고, 특허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국가별 핵심기술을 분류하였다. 또한 타국가 대비 국내 기술개발이 미흡한 분야를 도출하여 향후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외 공통적으로 신호 호출시스템(G08B), 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 처리(G06F), 예경보 및 예측용 데이터 처리 시스템(G06Q) 분야가 현재 재난안전분야 핵심기술로 도출되었다. 국가별 핵심기술분야의 특징으로는 미국이 화상통신(H04N) 분야, 일본이 메니퓰레이터(B25J) 분야, 유럽이 기상학(G01W) 분야, 한국은 디지털 정보 전송(H04L) 분야의 연구개발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향후 재난안전기술 개발의 방향성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재난안전산업 활성화 및 육성정책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시지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임수정 ( Soo Jeong Lim ),이종수 ( Jong Soo Lee ),김나라 ( Na Ra Kim ),김성식 ( Seong Sik Kim ),이병희 ( Byoung Hee Lee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11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1 No.1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sual bio-feedback training for 5 weeks on balance and postural control for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The 26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patients of the E hospital in the S city who met the study conditions. They were divided into a visual bio-feedback training group of 13 patients and a self-resistance exercise group of 13 patients. The visual bio-feedback training group received visual bio-feedback and general physiotherapy for five weeks and the self-resistance exercise group received cycling and general physiotherapy for the same period. The subjects were measured and compared for stability index, weight distribution index, fall down index, functional reach test and timed up and go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The visual bio-feedback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after the experiment in stability index, weight distribution index, functional reach test and timed up and go test(p<0.05), and the self-resistance exercise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05). The changes between prior to and after the experiment show that the visual bio-feedback training group had more significant effects than the self-resistance exercise group(p<0.05). Conclusions: The visual bio-feedback training for five weeks had effects in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and posture control of stroke patients. Based on these results, more effectiv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pagated.

      • 히트파이프 성능예측 열전달계수 측정

        임수정(Soo-Jung Lim),문종민(Jong-Min Moon),이광훈(Gwang-Hoon Rhee)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11

        Recently, Electronic & Electrical Products have problems how to reduce heat in trend reducing size and increasing speed. heat pipes worked by latent heats can solve problems for effective and quiet electronic applications. Heat Pipes have to be suitably designed for the external conditions due to showing optimum performance. it has influence on efficiency of heat pipes to the exterior structure changed by length, bending angle, diameter. Designing heat pipes has depended on experience from trial and error. this method wasted too many resources, but can't guarantee efficiency. to prevent those wastes, this study aims at making the thermal transfer coefficient predicting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thermal transfer coefficient has been made from experimental results that used variables - lengths between heat source and radiation, bending angles, diameters of heat pipes. variables become non-dimensional in modeling process for making the coefficient.

      • 화제 출현·계속·전환 처리를 이용한 한국어 문서의 단락분할

        임수정 ( Su Jeong Lim ),이원휘 ( Won Hee Lee ),이상곤 ( Samuel Sangk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복수의 화제가 혼합되어 있는 문서에서 각 화제의 경계부분을 구분하여 결정하는 단락분할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 기술은 정보검색의 분야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 예를 들면, 문서분류 및 요약 등의 기초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화제의 출현, 계속, 전환 시점을 고려하여 출현하는 각 화제의 단락구분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단락 구분 시문서의 의미적인 실마리가 끊어지지 않도록 단락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