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은 플립드러닝수업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는가?

        임상훈 ( Sanghoon Im ),강수민 ( Sumin Kang ),이신우 ( Sinwoo Lee ),유영만 ( Yeong-mahn Yo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대학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질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어떤 배경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선택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성된 각각의 수업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하는지 밝히는 것이다. 이에 플립드 러닝이 활성화 되어 있는 국내 A대학교를 사례로 하여, 플립드 러닝 수업을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온라인 커뮤니티를 관찰, 연구자의 성찰일지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은 플립드 러닝 수업에 대해 잘 모르고 있으며, 학점 대비 수업시간이 짧다는 것에만 매력을 느꼈다. 수업형태라는 것에 별 관심이 없었다. 온라인 수업은 제 때 듣지 않거나, 복습용의 의미가 컸으며, 현장감의 부재를 체험했다.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동료 학생들의 구성이 중요하며,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향상되었고, 교수와 소통하는 기회가 많아졌다고 진술했다. 이러한 경험을 종합하면 중요한 것은 방법의 변화가 아니라 학습 그 자체였으며, 적극적인 학습자세가 필요했다. 아울러 온/오프라인 수업 간 유기적 연계가 중요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qualitative research to inquir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students who were taking the flipped learning cla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learner`s background why they chose flipped learning class and what they experienced at the online and offline learning procedure.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proceeded in A domestic university which has active flipped learning courses. This study was done with in-depth interview focusing on 7 students who took the flipped learning class, observation for online community and researchers` reflection essay. As a result, college students considered that flipped learning class was similar learning method to e-learning and they were fascinated by short class time for the credit. One the on hand, learners of online lecture did not attend the class on time, considered it as review course, and experienced lack of realism. They also had a little interest in the learning type. On the other hand, learners stated that the composition of students was important offline lecture. Also, they said it helped them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made environment of interacting among teacher and peers. Summarizing these experiences,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learning itself and active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not the change of method. Moreover, interactive connec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courses was essential as well.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flipped learning class on college we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대학생 진로ㆍ취업교육을 위한 비대면 수업 사례 연구: 퍼소나 기반 시나리오 방법론을 중심으로

        임상훈 ( Sanghoon 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대학생 진로ㆍ취업교육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각 대학은 진로ㆍ취업교육을 위한 전문부서를 설치하고 교과 및 비교과 차원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교과 차원에서 진로ㆍ취업교육은 학생들에게 입사서류 및 면접 준비와 같은 단발적 처방이 아니라 졸업 후 미래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진로 설계를 도울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도가 높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 사태 이후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이러한 진로ㆍ취업교육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충청에 있는 A대학교에서 진행된 <취업전략> 수업의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 수업은 퍼소나 기반 시나리오 방법론을 바탕으로 문제해결 방법론을 일부 적용하는 형태로 개발되었다.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에 보편적으로 존재할만한 가상의 인물을 퍼소나의 형태로 도출하고, 그 퍼소나를 취업시키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할 것인지 제시하였다. 이 과정은 LMS, 실시간 화상회의 도구, 메신저 등을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활용하여 협력적으로 수행되었다. 한 학기 수업이 종료된 이후 성찰일지를 통해 수업의 성과를 질적으로 확인하였다. 비대면이라는 상황적 한계가 있었지만,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은 대체로 만족스러운 반응을 보였으며, 자신이 취업을 위한 준비가 잘 되어 있지 않음을 깨닫고, 새로운 각오를 다지는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별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전공별로도 차별화되지 못한 채로 천편일률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진로ㆍ취업교육 교과목에 대한 재고를 요구한다. 내용적 측면에서 비교과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수업, 방법적 측면에서 학생 스스로 자신에 대한 이해와 성찰을 기반으로 능동적인 진로 개척을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As interest in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increases, each university establishes a specialized department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and operate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t the 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level. In particula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is of high importance in that it can help students design a systematic career based on reflection on their future after graduation, rather than single-step prescriptions such as job documents and interview prepara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 how these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classes can b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non-face-to-face classes after the COVID-19 incident in the case of the “employment strategy” class held at A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This class was developed and operated based on the Persona-based scenario method. Students drew a fictional character that would be universally present in their majors in the form of Persona and suggested what strategies would be needed to get the persona employed. The process was carried out in cooperation with LMS, real-time video conference tools, and instant messaging using online communication tools. After the end of one semester, the results of the class were confirmed qualitatively through the reflection log. Although there was a limited number of non-face-to-face situations, the students who took the class generally responded satisfactorily, realizing that they were not well prepared to get a job, and making new resolutions. This study requires reconsideration of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subjects that are being conducted uniformly withou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and being differentiated by major. In terms of content, students should be able to develop their ability to actively pursue career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themselves in terms of extracurriculum programs, differentiated classes, and methodologies.

      • KCI등재

        비대면 예배 상황에서 동영상 콘텐츠 및 SNS를 활용한 영유아 상호작용 활동 연구: 유튜브와 카카오톡채널을 중심으로

        임상훈(Sanghoon 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7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예배와 교회교육은 급격하게 디지털테크놀로지에 기반한 비대면 형태로 전환되었다. 성인 대상의 예배는 비대면으로 무리 없이 전환이 진행되었으나 교회학교의 경우에는 교회의 규모나 상황에 따라 큰 편차를 보였다. 특히 비대면 상황에서 예배 외의 교육활동은 거의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제적인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예배 상황에서의 교회교육, 특히 영유아를 대상으로 가정에서 진행할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 및 SNS 기반 영유아 상호작용 활동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튜브와 카카오톡 채널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교수 미디어를 선정하고 활용하는데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고 있는 ASSURE 모형을 개발 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였다. 1) 비대면 예배 상황에서 영유아를 위한 동영상 콘텐츠 및 SNS 기반 영유아 상호작용 활동의 초안은 어떠한가? 2) 개발된 활동의 초안을 실제로 교회학교와 가정에서 운영해본 결과는 어떠한가? 3) 초안 운영 결과 도출된 어려움을 개선한 활동의 최종안은 어떠한가? 개발된 활동이 적용된 곳은 서울 소재 중형교회인 A교회 영유치부였으며, 이 과정에서 초안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최종적으로 개발된 활동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히 동영상 예배를 시청하는 형태의 신앙생활을 탈피하고, 교회교육 차원에서 영유아의 발달 특성과 비대면 예배환경을 반영한 가정교육 활동 및 교회-가정 간 상호작용의 한 가지 사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fter the Corona-19 Pandemics, worship and church education were rapidly transformed into non-face-to-face form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e worship service for adults was transitioned to non-face-to-face, but in the case of church schools, there was a big deviation depending on the size and situation of the church. In particular, in non-face-to-face situations, educational activities other than worship are rarely carried out properly, and there is a lack of practical research that can help these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church education in situations of non-face-to-face worship, video content that can be carried out at home, and SNS-based interaction activities for preschool children interaction activities. To this end, YouTube and KakaoTalk channels were used. We used the most representative ASSURE model for selecting and utilizing teaching media as a development methodology. There were three research problems: 1) What is the draft of video content and SNS-based preschool children interaction activities for preschool children in non-face-to-face worship situations? 2) What are the results of the draft of the developed activities that have actually been run at church schools and homes? 3) What is the final proposal for activities that improve the difficulties derived from the draft operation? The place where the developed activities were applied was the kindergarten department of A Church, a medium-sized church based in Seoul. In the process, the validity of the final developed activities was secured by identifying and improving the problems of the draf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iates from the form of religious life simply watching video worship, and presented one example of home education activities and church-home interactions reflect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 non-face-to-face worship environment at the church education.

      • KCI등재

        대학에서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좋은 대학수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임상훈 ( Sanghoon Im ),유영만 ( Yeong-mahn You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4

        대학교육에서 수업의 질을 높이려는 다양한 활동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질 좋은 수업, 즉 ‘좋은 대학수업’이란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다. 좋은 대학수업의 개념은 주로 ‘좋은’의 의미에 대한 단편적 정의, 교수나 학생이 만족하는 수업의 특성 규명, 수업 내용과 무관한 처방적 접근 등에 머물러 있다. 대학수업을 구성하는 인적 요인 사이의 관계, 수업내용과 방법의 연계성, 현장에서 통용되는 실제적 맥락에서 ‘좋은’이란 무엇인지 밝히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좋은 대학수업의 개념이 불분명하다보니 그것을 구현하는 방법 역시 대학 재정지원사업에 좌우되는 피상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진정한 의미의 좋은 대학수업이란 무엇인지 밝히고자 비판적 담론 분석을 시행했다. 그 결과 좋은 대학수업은 ‘강의 우수 교수의 수업’이란 담론을 시작으로, ‘혁신적인 수업’과 ‘강의평가 점수가 높은 수업’으로 교육에서의 신자유주의적 합리성의 심화가 드러났으며, 이에 대한 저항으로 ‘소통하는 수업’까지 담론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상의 담론분석 결과, 좋은 대학수업 담론은 다양한 주체가 등장하며 절대적인 기준의 충족을 통해 ‘좋은’의 의미가 형성되는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좋은 대학수업이란 주체 간의 관계와 수업 환경에 따른 간주관적 합의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즉, 특정한 주체의 입장과 권위에 근거하여 좋은 대학수업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 모두가 협력하며 ‘좋은’의 의미를 만들어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A variety of activities are being tr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university education. However, it is not clear what is the definition of good classes, ‘quality college classes’, and how to implement it. The concept of quality college classes focus mainly on a fragmentary definition of the meaning of ‘quality’, a study of the class that the professor or the student is satisfied with, and a prescription approach that is not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class. As the notion of quality college classes is unclear, the way to implement it also remains at the superficial level, depending on the government funding projects of universities. This study conducted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o cope with these limitations and to clarify what is a good college class in a true meaning. As a result, quality college classes discourse has changed from ‘class of best teacher’ to ‘innovative class’ and ‘high-scoring class of students’ evaluation’ to ‘deepening and resistance to neoliberal rationality’. As a result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quality’ is not formed through the fulfillment of absolute standards by the appearance of various subjects in a quality college classes. A quality college classes argue that there is a need for subjective consens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nts and the class environment. In other words, rather than creating a quality college classes based on the position and authority of a specific subject, all members should cooperate and make a meaning of ‘quality’.

      • KCI등재

        MOOC에서 소셜 러닝 촉진을 위한 튜터링 가이드라인 개발

        임상훈(Sanghoon Im),강수민(Sumin Kang),천보미(Bomi Chun),유영만(Yeong Mahn Yo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6

        본 연구는 MOOC에서 튜터가 소셜 러닝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튜터링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튜터가 소셜 러닝을 촉진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밝힌 후, 소셜 러닝을 촉진하기 위한 튜터링 가이드라인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러닝 기반 MOOC 플랫폼인 FutureLearn에서 실제 튜터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6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H대학교 FutureLearn 강의를 담당한 튜터들 중 과정 개발 및 운영 전반에 참여한 경험이 있고, 소셜 러닝에 대한 이해가 풍부한 사람을 H대학교 교수학습센터의 MOOC 운영담당자로부터 추천받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튜터의 소셜 러닝 촉진 과정에서 개인적, 사회적으로 축적된 경험을 심층적으로 접근하였다. 심층 면담 이후 문헌 연구를 병행하여 튜터에게 필요한 튜터링 가이드라인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튜터링 가이드라인은 FutureLearn에서 강의를 운영하고 있는 교수 2인 및 운영담당자 2인의 검증 과정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튜터가 소셜 러닝 촉진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소셜 러닝 차원에서 맥락 유지, 연결 지원, 협력 환경 구성 등에 관한 8가지 문제로 도출되었다. 이에 이러한 세 가지 차원에 대해 튜터의 교수적 · 관리적 · 기술적· 사회적 역할에 따라 총 18개의 튜터링 가이드라인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MOOC에서 소셜 러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그 촉진자로서 튜터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튜터링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OC에서 튜터의 역할 및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요구하며, 다양한 지역 및 문화권의 학습자가 존재하는 MOOC에서 튜터에게 소셜 러닝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기 위해서는 오리엔테이션과 같은 사전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utoring guideline for facilitating social learning in the MOOC. We developed and verified the tutoring guideline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of the tutor in promoting social learning and promote social learning. To do this, we collected data through in - depth interviews with six people who had worked as actual tutors in FutureLearn, a social learning - based MOOC platform. The derived tutoring guidelines were validated by two professors and two operation staff in FutureLearn.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utors not only who participated in FutureLearn courses of H University and experienced in the overall course development & operation, but they had a strong understanding of social learning.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se tutors to gain the tutor’s personal and social accumulated experience in promoting social learn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eight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tutor in promoting social learning. Therefore, a total of 18 tutoring guidelines were developed and verified according to the instructor, managerial, technical, and social roles of the tut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e importance of the tutor as a promoter of social learning and suggests guidelines for tutoring by verifying the process of social learning in MOOC. MOOC requires a new awareness of the role and importance of tutors and suggests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social learning to tutors in MOOCs where there are learners of various localities and cultures, pre-training such as orientation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상황학습 이론에 기반한 대학 신임교원 교수개발 프레임워크 설계

        임상훈(Im, Sanghoon),서윤경(Seo, Youn-kyung),이상은(Lee, Sa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학습 이론에 기반하여 신임교원을 위한 교수개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면담 기록 분석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상황학습 이론을 다룬 국내 문헌 22편, 해외 문헌 15편을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여 상황학습 이론의 구성요소, 상황학습 이론 기반의 프레임워크 설계를 위한 설계원리를 제시하였다. 이후 4년제 3개 대학의 신임교원 5명의 면담 기록을 수집하여 신임교원의 교수 경험을 분석하고, 상황학습 이론에 대한 문헌연구 결과와 통합하여 교수개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결과 신임교원 교수 경험 분석을 통해 교수되기, 교수하기, 교수 배우기 등 세 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후 상황학습 이론의 문헌연구 결과와 연결하여 설계 방향과 설계원리를 제시하였다. 설계 방향은 ‘좋은’ 교수자로서 정체성 획득, 좋은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식/기술의 전유, 문화적 실천 등이었다. 설계원리는 수업 맥락 인지, 교수활동에 대한 성찰과 개선, 강의우수교수 수업 관찰, 자기 수업에 대한 객관적 분석, 주체로서 교수학습 도구/방법의 인식, 다양한 교수학습 도구/방법 활용, 직접적 실천을 통한 학습, 규칙으로부터의 구속과 자유, 능동적 참여, 지속적 참여, 발표와 토론, 다양한 존재와의 협력 등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세 가지 논의점을 제시한다. 첫째, 대학교원의 교수개발을 위한 새로운 시도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상황학습 이론이 고려될 수 있다. 둘째, 변화된 대학 신임교원의 상황을 반영한 신임교원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장소로서 물리적 공간을 넘어 가상공간으로의 확장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ign a framework for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for new faculty members in college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Methods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We reviewed 22 domestic and 15 overseas literatures on situated learning theory, and as a result, we derived the components of situated learning theory and the design principles for designing a framework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After that,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five new faculty from three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record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experience of the them. Finally, a framework for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for new professors was designed by integrating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Results We categorized the experience of teaching into three categories: becoming a professor, doing teaching, and learning teaching as a results of interview. Design orientation and design principles of framework integrating interview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orientations of designing framework were to acquire identity as a ‘good’ professor, possess pedagogical knowledge and skills for good classes, and cultural practice. The design principles of framework for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included recognition of class context, reflection and improvement of teaching, observation of excellent professor’s teaching, objective analysis of his/her own teaching, recogni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ools/methods as a subject, use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tools/methods, learning through direct practice, restraint and freedom from rules, active participation, continued participation,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ollaboration with various people.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s three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attempt changes for the teaching development of new faculty, and situated learning theory can be considered as a theoretical basis. Second, a new faculty program that reflects the changed situation of colleges is needed to develop.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beyond physical space to virtual space in order to implement a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more effectively.

      • KCI등재

        대학 PBL 수업 활성화 전략 탐색: A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상훈 ( Sanghoon Im ),유영만 ( Yeong-mahn You ),오현숙 ( Hyunsook Oh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1

        대학교육은 급격한 사회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사회를 필요한 인재를 양성해내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해있다. 이에 교수자 중심, 강의식 수업을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적 학습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PBL은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는 대표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여러 대학에서 전략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 정작 PBL로 수업을 해야 하는 교수들은 PBL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PBL이란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어떻게 수업을 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PBL 수업이 잘 정착되었다고 인정받는 A대학교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대학교육에서 PBL수업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교에서 진행 중인 8개 PBL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 교수 8명 및 학생 14명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등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질적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의 초반-중반-후반에 걸쳐 3개의 상위 범주 및 7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PBL 수업에서 적용해야 할 활성화 전략은 첫째 수업 방향의 분명한 제시, 둘째 학생 잠재력에 대한 신뢰, 셋째 도전적 과제를 통한 열정 자극, 넷째 학습자 참여 방안 구축, 다섯째 학생 고유의 관점 제시와 독려, 여섯째 결과물에 대한 발표 기회 부여, 일곱째 학습을 통한 성취감 획득 등이 필요했다. 본 연구를 통해 PBL 수업과 관련된 대학교육혁신 관계자와 교수자 등이 PBL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를 걷어내고 실제로 질높은 수업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가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University education is facing criticism that it cannot keep up with rapid social changes and train outstanding individuals that are needed for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from instructor-centered and lecture-based classes to learner-centered constructive learning. PBL is a typ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meets these changes and is spreading strategically in various universities. However, professors who have to teach with PBL often do not know about PBL or how to teach through PBL. This study aims to derive activation strategies for PBL classes in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case studies on A University, which is recognized as well settled for PBL classe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observed in 8 PBL classes in A Universit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8 professors and 14 studen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three upper categories and seven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of the class. The activation strategies to be applied in PBL class were (1) clear presentation of direction, (2) confidence in student potential, (3) stimulation of passion through challenging tasks, (4) establishment of learner participation plan, (5) presentation and encouragement of student's unique viewpoint, (6) presentation opportunity, and (7) acquisition of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officials and professors related to PBL class will fin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inding out ways to realize high quality class by eliminating unnecessary misconceptions about PBL.

      • KCI등재

        ‘미래교육’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에 관한 신문 담론을 중심으로

        최소희(Choi Sohee),임상훈(Im Sanghoon),유영만(Yeong- Mahn Yo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2016년 이후 미래교육에 대한 논의를 위해 어김없이 등장하는 키워드는 ‘4차산업 혁명’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비단 교육을 넘어서 사회 전반적인 관심사라는 점에서현 시점, 미래교육이 의미하는 양상이 무엇인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표적인 대중매체라 할 수 있는 신문담론을 중심으로 2016년 다보스포럼 이후 2년여의 기간 동안 보도된 미래교육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4차산업 혁명의 시대를 향한 교육적 논의는 텍스트적 실천에서 주로 현재교육과의 대비 및인재역량의 강조에 집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담론적 실천에서는 텍스 트적 실천의 보도 내용을 사회적 실천으로 이끌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동의구하기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실천의 단계에서는 신자유 주의라는 거대 담론과 관련하여 4차산업혁명 시대의 미래교육에 대한 논의가 거듭 재생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이러한 담론분석의 결과에 대한 각각의 시사점을 논하였으며 미래교육을 제대로 된 사회적 실천으로 이끌기 위한 교육철학의 필요성 등에 대해 제안하였다. 미래교육에 대한 제대로 된 방향을 언급하고 구체적 필요 요소를 제안할 수 있는 교육전문가의 목소리와 대중담론의 역할,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교육적 주체의 실천력이 조화를 이룰 때 올바른 방향 탐색이 가능할 것이며 이는 제대로 된 사회적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Especially after 2016, words ‘fourth generation industrial revolution’ consistently appeared whenever there were discussions about future education. However, these words are nearly impossible to define its true meaning and interests of ‘fourth generation industrial revolution’ are not only limited to educational field but have become social interest as a whole. Therefore, it is worth to further study on aspects of future education. After the Davos Forum 2016, for 2 years, I’ve been focusing on newspaper discourses which are considered as public mass media and conducte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newspaper articles related with future education. Thus, it is identified that educational discussions towar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re primarily focusing on the contrast of current education and emphasis on human resource capability in an aspect of textual practice. In addition, in a view of discourse practice, different types of consent seeking efforts have been identified in order to convert textual practice to social practice. Lastly, in the phase of social practice, metadiscourse known as neo-liberalism is consistently being discussed in fourth generation revolution era of future education. Everyone experiences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out their life time and in that sense, interests in future education can be viewed as public characteristic and discourse such as newspaper discourse can have important meanings. Therefore, presenting rightful directions and recommending specific requirements from educational experts, reviewing roles of public discourses, and practicability of educational entity that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activities are critical factors of education. It would be possible to seek out rightful paths of future educations only when all those factors mentioned above are in harmony.

      • KCI등재

        게임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게임의 문화적 속성과 경험을 중심으로

        이은택(Lee eun-taek),임상훈(Im Sanghoon),유슬기(Yoo Seulki),정하은(Jung Haeun),유영만(Yeong- Mahn Yo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핵심 구인을 생활공간에서 발견된 개인의 ‘불편 함’을 감지하는 공감으로 설정하고 게임을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탐색하고자 했다. ‘나’의 생활공간의 문제와 목표 그리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게임 상황에 내재화시켜 게임에 참여하는 구성원이 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 해가는 것으로 인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했다. 게임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하기 위해 게임 디자인 원리와 게임 리터러시의 속성을 연구 과정에 적용하였으며, 반복적 게임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상황과 문제 드러내기(problem setting)- 규칙 만들기(creating rules and roles) - 규칙 수행하기(play party) - 성찰하기(reflect on the party) - 새로운 규칙 만들기(Re-create and combine rules and roles)에 따라 게임을 디자인하였다. 문화로써 게임 경험에 근거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자신이 살아가는 공간’의 문제에 접근하여 교실을 모두가 함께 살아가는 생태계의 관점을 갖게 하여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직접 찾음으로써 지식으로서 인성을 넘어 실천하는 인성이 발현될 수 있는 인성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begins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in empathy that begins with the uncomfortable of individuals found in living space. The learner solves the problems, goals and goals of their living space through the community s consensus process in a game situation. The elements of game design and game design principles were applied for program design, and the research was followed by the iterative design process, the game design process. As a result, phase problem setting - creating rules and roles -play party - reflect on the party - Re-create and combine rules and roles was derived.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game, learners reproduce the living space according to their strategy. In the course of playing the game, solving the problems that surround you one by one is an opportunity to expand your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knowledge to solve the problem. The learner will be a player who creates a process, not a spectator to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 학습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대학을 중심으로

        이혜정 ( Hyejeong Lee ),임상훈 ( Sanghoon Im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A대학의 학습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대학 교육목표 및 학생 특성 분석, 학습역량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델파이를 거쳐 학습역량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진단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거쳐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습역량을 구성하는 하위요소와 진단문항의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A대학의 학습역량으로 인지, 사회, 기술, 태도의 4개 역량 범주와 메타인지, 문제해결, 의사소통, 협력, 디지털리터러시, 자원관리, 학습동기, 학습윤리의 8개 학습역량이 도출되었다. 또한 23개의 하위역량과 74개의 진단문항이 개발되고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습역량 진단도구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역량 수준을 더 잘 이해하고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개발해야 할 역량을 파악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교수자는 수업 단위 내에서 학생들의 학습역량 수준을 파악하여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학습자 분석 자료로 진단도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 측면에서는 교과 영역과 비교과 영역에서 학습역량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연결하고 학생의 학습역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학생지원을 위해 학습역량 진단도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test suitable for learning measuring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 province, Korea. The learning competencies were derived through an analysis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well as student characteristics at A University and by means of a tho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earning competencies. Furthermore, a three-round Delphi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both conducted. As a result, four competency categories, namely cognition, sociality, skill, and attitude, along with eight learning competencies, namely meta-cognition,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cooperation, digital literacy, resource management,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ethics were derived. In addition, 23 sub-competencies and 74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so as to measure the learning competencies. The test of learning competenci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serve to support learners to better understand their level of learning competency and to identify those competencies which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sake of their future successful learning. For instructors, the result of students’ learning competencies can be utilized for a learner analysis when designing the course. For the university,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learning competencies with regular curriculum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to support students individually based on the data derived from the instrument used in measuring learning compet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