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부조직 성과개선을 위한 행정지식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이환범,이수창 한국거버넌스학회 2007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dministrative knowledge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correlation among the process elements related to administrative knowledge management. The focal point of discussion is based on the process of administrative knowledge management(knowledge creation, knowledge accumulation, knowledge sharing, knowledge exploitation). This research employs a survey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process of administrative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number of subject of the study is 264 public employe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buk province. The research variables in model of this study are analyzed by Amos 6.0 statistical packages, the model could be estimated through the path analysis between the process of administrative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the research presents that the process elements related to administrative knowledge management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selves. 본 연구는 행정지식관리에 대한 기존 시스템 중심의 연구시각에서 벗어나서 행정지식관리 프로세스에 초점을 두고 정부조직의 성과개선 차원에서 행정지식관리 효율화를 위한 조직관리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즉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이 행정지식관리를 위한 수단임을 고려할 때, 이의 운영체계인 행정지식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는 행정지식관리의 활성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최근 행정지식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행정지식관리 프로세스를 지식창출 순환적 관점이 아닌 분절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창출 순환적 관점에서 행정지식관리 프로세스 구성요인(지식생성, 지식축적, 지식공유, 지식활용)과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 그리고 행정지식관리 프로세스 구성요인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행정지식관리 프로세스 구성요인 중에서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은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지식생성과 축적은 조직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정지식관리 프로세스 구성요인 간에는 상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연구결과는 정부조직의 행정지식관리 저조원인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보완할 수 있는 조직관리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환범,김태희 대한지방자치학회 201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2
우리나라 사회는 갈등이 만연화되는 경향으로 인해 국정혼란과 국민의 불신이 극에 달함으로써 지금의 갈 등관리 시스템으로는 구조적인 갈등을 해결하는데 역부족이고, 이를담당해야 할 정부 또한 갈등조정 능력 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는사회갈등 해결 및 사회 대통합이라는 국가적․시대적 과 제를 풀지 않고서는 지속가능한발전을 이루어 나아가기가 어려운 매우 중요한 기로에 서있다. 즉, 국민이 행복한 선진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회구성원들을 결속하여 신뢰와 화해, 통합의 새로운장이 펼쳐질 수 있도록 모든 역량과 정책적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갈등과 사회통합에 관한 이론적 논의, 우리나라 사회가 겪고있는 사회갈등의 실 태를 크게 이념갈등, 세대갈등, 계층갈등, 지역갈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더불어 사회갈등 해결 을 위한 갈등 조정자로서의 정부역할 재정립 및 관련 외국사례 분석, 그리고 사회통합을 위한 기반형성 방 안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환범 대한지방자치학회 2010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효과성 평가를 통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효과성 평가 및 객관적 효과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효과성 평가로는 사업만족도, 경제적 도움, 신체적 건강증진, 정신적 건강증진, 그리고 대인관계 개선 등을 중점 분석하였다. 객관적 효과성 평가로는 의료비 절감, 노인가구 빈곤 변동율, 사업예산 대비 일자리 창출 실적, 일자리 유형별 창출 실적, 그리고 고용촉진장려금 지원 실적 등을 활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일자리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사업추진, 참여자 특성을 반영한 사업추진, 자발적 노동기회의 확대, 노인일자리사업 규정 현실화, 지방자치단체 사업예산 확보, 자립지원형 일자리 개발을 통한 시장주도형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고용촉진장려금 제도의 타당성 재검토 등을 제시하였다.
광역자치단체의 협업지향적 조직관리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전공유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환범,김경대 대한지방자치학회 2018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0 No.3
광역지방자치단체의 협업지향적 조직관리는 조직구성원 간 그리고 부서 간 협업 활성 화를 토대로 조직이 보유한 인적·물적·정보 자원 역량 극대화를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도를 증진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우 리나라 광역지방자치단체의 협업지향적 조직관리가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효과적 조직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협업지향적 조직관리의 주요관점으로 리더십 측면, 행태적 측면, 제도적 측면, 조직문화 측면에서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평가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 에서는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 내 비전공유 정도를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협업지 향적 조직관리 네 가지 측면과 직무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In consideration of solving organizational conflicts, the necessity of shift from competition-oriented organizational management to collaboration-oriented organizational management is increasing. In line wit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llaboration-oriented organizational manage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vision sharing on job satisfaction for public servants in provincial government. The approach of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is related to organizational leadership, behavior, institutional, and cultural perspectiv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survey is employed to 126 public officials in Gyeong-Buk province. In addition, research methods of relative, factor,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are utilized to evaluate influence degree or co-relation among research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collaboration-oriented management in provincial government.
이환범・,권용수 한국인사행정학회 200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6 No.2
오늘날 공공부문에서 성과주의・능력주의 조직・인사관리의 실현을 위해 조직변화관리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으며, 대표적인 수단으로 조직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조직진단에 있어서 조직 및 인사관리의 효율성 및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직무에 관한 정확한 자료수집 및 분석을 도모하는 체계적인 직무분석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의 조직진단에 있어서 필수적인 분석기법으로 사용되는 직무분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한편, 조직진단에서의 역할, 직무분석의 시행과정상의 주요 제약요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직무분석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제언을 모색하였다.
이환범,최준호 안동대학교 경영연구소 1999 경영연구 Vol.3 No.1
현대사회에서 행정이 지니는 주요 목적은 공익을 증진시키는 데 있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익은 공공정책의 주 대상인 국민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에 현대행정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또한 이렇게 중요한 행정을 수행하는 관료들의 역할도 매우 강조되고 이다. 이러한 현대행정의 흐름은 행정의 연구가 시작 된 이래 관료들의 국민들에 대한 책임성이 꾸준히 강조되고 있는 것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는 공공관리의 업무성취에 있어서 국민들에 대한 그들의 책임을 다해야 하고 민간기업이 그들의 소비자들에게 갖는 것과 같은 대응적 자세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략적 기획 및 전략적 관리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신공공관리 시각
이환범 안동대학교 경영연구소 2000 경영연구 Vol.4 No.1
민간부문의 영향하에서 초기 공공부문에서는 전략적 기획이 전략적 관리보다 폭 넓게 활용되었으나, 점차 전략적 기획보다는 전략적 관리의 중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략적 기획(과정)은 공공조직 영역 및 운영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도모하는데 기여를 했을 뿐만 아니라, 정책(의사)결정자들의 전략적 사고 및 행동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전략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조직구성원 전체에게 장래에 대한 비전의 중요성과 이에 대한 공유의식을 도모할 수 있도록 계기를 제공하였던 것이다. 이는 전략적 기획(과정)이 목적으로서의 의미를 강조하기보다는, 중요한 결정을 하거나 행동을 취하는 리더에게 유용한 일종의 개념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이환범,이수창,임중한 한국행정학회 2005 韓國行政學報 Vol.39 No.3
기존의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연구에서는 경로당을 중심으로 한 이용실태조사가 주를 이루었으며, 노인교육기관의 운영프로그램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에서조차도 프로그램 만족도라는 단일 측정항목 중심의 연구만 이루어져 이용자 만족도 관련 종합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브퀄 결정요인(유형성, 보증성, 감정이입, 신뢰성, 반응성)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시설(경로당, 노인교실, 노인복지회관)의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종합적․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경로당에서는 시설영역 그리고 노인교실과 노인복지회관에서는 프로그램 영역이 이용자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복지시설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적 대응으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정비 및 개선, 노인복지서비스의 다양화 및 내실화,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화, 실버산업의 육성 지원, 시니어 콤플렉스 정책 추진, 지역사회복지 기초구조개혁을 통한 복지행정 역량 강화 등을 강구할 수 있다.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ay of increasing senior's satisfaction for their leisure facilities, programs, and services and to provide better service wi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 is measured the user's satisfaction based on SERVQUAL(service quality) determinants(tangibles, responsiveness, reliability, empathy, assuranc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enior welfare facilities, programs, and services. In finding from this research,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o increase senior's satisfaction toward the service quality of welfare in local govern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for senior welfare is related to establish or operate more effective programs, through recruiting or reserving more competent program specialists. Second, in order to increase user's satisfaction,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for senior welfare is related to more sufficient investment for facilities and equipment of senior centers(including clubs and schools). Third,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for senior welfare is related to the increasement of user's satisfaction through the inside management effectively to SERVQUAL determinants such as tangibles, responsiveness, reliability, empathy, and assurance. In addition,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for senior welfare (based on welfare agencies like a school for the aged, senior's club, and other senior facilities) closely relates to the contribution of regional or community volunteer groups if there is a shortage of finance and social welfare ag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