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중의 의미에 비춰본 도덕교육의 방향

        이한진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9 초등도덕교육 Vol.0 No.65

        Humans live a with others. And society is often a conflict occurs because the other members have a different experience and values . Society is developing in resolving this conflict. But even that conflict is resolved in accordance with aspects of social work can be further deep potential conflict. When someone debate or have a talk, We should have a democratic procedure. However, this principle is not present in the interior of the individual. It's just the principle of the minimum members agreed. Furthermore, it cannot also be morally desirable and sufficient condition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Because it is not based on a virtues of respect for man’s life and dignity. When you solve the conflicts, it is not a moral that only focused attitude the situation with no respect for others. We can say only the desired action, act expresses respect for the proper batter. However, verbal, nonverbal behaviors to express respect seems a complex form of social and psychological. So we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social, cultural property to which they belong and at the same time cultivate the virtue of respect for others and read a person's state of mind. When they do so, it is only able to communicate based on mutual respect. Moral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primarily learn the virtues of respect for man’s life and dignity. And, it must develop their communication ability to be truly make other person feel, without it’variation, when send a sense of respect for others. Teachers should make a classroom full of respect and lead students move away from focusing only on visual resolution of this issue in a series of moral questions what happens in the classroom. They should invite to participate in a dialogue based on respect for the opponent. 도덕적인 삶에 있어서 존중은 인간의 마음 상태이며 동시에 그것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의 두 차원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존중은 인간의 도덕적 행위에서 전제가 되어야 할 기본 덕목으로서 내면화되어야 하며 상대방에 대한 존중의 마음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행위자에게 존중 그대로 받아들여질 때 의미가 있다. 그런데 존중을 표현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은 사회적․심리적으로 복합적인 양상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타인에 대한 존중의 마음뿐만 아니라, 타인 그리고 자신이 속한 사회․문화적 속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통할 때 존중하는 주체의 마음도 타인에게 온전히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덕교육은 타인에 대한 존중하는 마음의 함양과 함께 그것이 상대방에게 존중 그 자체로 전달될 수 있도록 소통하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에 도덕교육의 역할 - 도덕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이한진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6

        This study proposes moral imagination as an aspec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replace teachers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existence of teache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ffective moral education practice. To this end, we first clarify the meaning and function of moral imagination and examine its operating mechanism through the theories of D. Hume and I. Kan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be effective in delivering subject knowledge to students because it has excellent analysis capabilities based on big data. However, without moral imagin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synthesize individual lives. Moral education can be successful when it is practiced in practical and concrete life context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moral imagination, the teacher should lead them to experience various and continuous forms of interaction among students. 본 연구는 효과적인 도덕교육 실천을 위해 교사와 인공지능의 공존이라는 관점에서 인공지능이 교사를 대체할 수 없는 측면으로 도덕적 상상력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도덕적 상상력의 의미와 기능을 밝히고 그것의 작용 메커니즘을 흄(D. Hume)과 칸트(I. Kant)의 이론을 통해서 살펴본다. 인공지능 기술은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뛰어난 분석 능력을 갖추고 있어서 학생에게 교과 지식을 전달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도덕적 상상력이 없는 인공지능은 개개인의 삶을 온전히 종합해낼 수 없다. 도덕교육은 실제적이며 구체적인 삶의 맥락 속에서 실천될 때 성공할 수 있다. 도덕 교사는 학생들의 도덕적 상상력을 길러주기 위해서 학생들 간에 다양하면서도 지속적인 형태의 상호작용을 경험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 전망 연구: 개념 분석 수업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이한진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2 초등도덕교육 Vol.- No.7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spects of how the lates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be used in moral subject education. To this end, we explore the benefit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provide to moral subject class centering on the conceptual analysis class model, and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useful for conceptual analysis and moral subject education, big data and data mining, machine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collaborative filt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positive function of realizing individually tailored guidance, but it may also have adverse functions such as educational failure due to data bias, loss of relationship capacity, and education equity problem. Accordingly, teachers should be able to collaborate with AI in order to build knowledge about AI in preparation for the AI education era, and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of students. 본 논문은 최신 인공지능 기술이 도덕과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개념 분석 수업모형을 중심으로 인공지능이 도덕과 수업에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탐색하고, 개념 분석과 도덕과 교육에 유용한 인공지능 기술로서 빅데이터와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과 강화 학습,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에 대해서 조명한다. 인공지능은 개별 맞춤형 지도의 실현이라는 순기능도 있지만, 데이터 편향으로 인한 교육 실패, 관계 역량의 상실, 교육의 형평성 문제라는 역기능도 출현할 수 있다. 이에, 교사들은 인공지능 교육 시대에 대비하여 인공지능에 대한 소양을 쌓고, 학생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인공지능과 협업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철학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

        이한진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2

        Sartre understands that the fundamental human anxiety is caused by freedom. For itself as consciousness can never be free from the gaze of others. However, humans tend to give up their freedom to get rid of their anxiety and fall into self-deception. Human beings as existential beings are beings who create themselves. According to Sartre, freedom is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Human existence is not fixed. It is an existence of free consciousness that is constantly changing and contains a plurality. For itself can objectify itself and look at it. Although for itself does not exist as a substance, it can freely deny in itself. A free man can reshape himself through an inner denial of his inner self. Only those who live their lives according to their autonomous choices can fulfill their ontological responsibilities as a moral subject. Sartre's existentialist philosophy, which emphasized overcoming human self-deception and freedom, provides theoretical support in relation to moral education that seeks to establish a moral subject. 사르트르는 인간의 근원적인 불안이 자유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한다. 의식으로서의 대자(對自)는 타인의 시선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러나 인간은 불안을 지우기 위해서 자유를 포기하고 자기기만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실존으로서의 인간은 스스로 자신을 만들어가는 존재자다. 사르트르는 인간 실존의 핵심으로 자유를 꼽는다. 인간존재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끊임없이 변화하며 다수성을 내포하고 있는 자유로운 의식의 존재다. 대자는 자신을 대상화하여 바라볼 수 있다. 대자는 실체로서 존재하지 않지만 자유롭게 즉자(卽自)를 부정할 수 있다. 자유로운 인간은 자기 내면성에 대한 내적 부정을 통해서 자기 자신을 새롭게 형성할 수 있다. 자율적 선택에 따라 자기 삶을 사는 사람만이 도덕적 주체로서 자신의 존재론적 책임을 다할 수 있다. 인간의 자기기만 극복과 자유를 강조한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철학은 도덕적 주체의 정립을 추구하는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이론적 뒷받침이 되어준다.

      • KCI등재

        딥러닝 모델에서 포트홀 데이터셋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전처리 방법 제안과 YOLO 모델을 통한 검증

        이한진,양지웅,홍정희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22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23 No.4

        포트홀은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구조적 결함을 나타내는 중요한 단서임과 동시에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일으킨다. 따라서 정확한 포트홀 탐지는 도로 표면의 유지보수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이다. 포트홀 탐지를 위해 많은 머신러닝 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며 딥러닝 모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전처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포트홀 데이터셋에서 중요한 질감과 형태를 강조하는 전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전처리 방법은 Intensity transformation을 사용해 도로의 불필요한 요소를 줄이고 포트홀의 질감과 형태를 부각한다. 또한 Superpixel, Sobel edge detection을 사용해 포트홀의 특징을 검출한다. 제안된 전처리 방법과 기존의 전처리 방법의 성능 비교를 통해 포트홀 검출에서 제안된 전처리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Potholes are an important clue to the structural defects of asphalt pavement and cause many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Therefore, accurate pothole detection is an important task in road surface maintenance. Many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are being introduced for pothole detection, and data preprocessing is requi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eep learning mode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eprocessing method that emphasizes important textures and shapes in pothole datasets. The proposed preprocessing method uses intensity transformation to reduce unnecessary elements of the road and emphasize the texture and shape of the pothole. In addition, the feature of the porthole is detected using Superpixel and Sobel edge detection. Through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the proposed preprocessing method and the existing preprocessing method,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preprocessing method is a more effective method than the existing method in detecting potho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