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영성과 모더니티-생명, 씨, 율려로 본 한국적 진보의 궤적-
이철호 ( Lee Chul-ho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5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rganize one-lined spiritual genealogy of ideological basis which is shared by Lee, Donhwa, Ham, Seokheon, and Kim, Jiha. In his work, Sinin Cheolhak (New Human Philosophy), Lee, Donghwa has combined Cheondogyo with Evolutionism, establishing his unique philosophy of religion. That is to say, by accepting the theory of evolution, he embodied scientific systemization of Innaecheon Thought, and through the organic Vitalism (Life-ism), he also aimed for De-Westernization. However, his religious philosophy reinforced another Universalism focused on Pantheism; furthermore his though had the limit in the aspect of representing the world view based on a struggle for existence. Ham, Seokheon, supporting the historicism which was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Christianity and Evolutionism, led the Korean democracy movement against despotism. According to him, it is an energetic vitality, the original energy, inside one’s self which can convert ‘crises into ‘revolution’ and ‘ordeal’ into ‘glory’. The understanding of this life principle makes personality rebuilding and revolution possible. Although Ham’s theory had discrimination against Lee’s thought in that he advocated cosmopolitanism relying on Vitalism (life-ism), it is problematic because his cosmopolitan outlook does not deny national boundaries basically. Although Kim, Jiha put an emphasis on the coexistence of North-East Asia through Vitalism and Yulryeo movement, his thought is much more nationalistic than Ham, Seokheon’s theory, and internalized value system of the Western more firmly than Lee, Donhwa’s did.
장치 (dispositif)로서의 연좌제 -1980년대 이문열의 초기 단편과 “중산층” 표상
이철호 ( Chul Ho L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이문열 소설은 근본적으로 유럽 부르주아의 한국적 판본인 ``중산층``의 서사이며, 그것은 당대가 요구하는 중산층의 미덕과 자질을 분별하고 터득하는 데 있어 최적의 텍스트였다. 소위 ``이문열 신드롬``은 그의 소설이 단순히 대중적인 흥미와 자극적인 소재에 의존하지 않았기에 가능했던 현상이었고, 당대의 애독자들은 그의 소설에서 중산층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교양을 기대할 수 있었다. 게다가 1980년대 초반만하더라도 중산층에 대한 공론화가 재가열되었을 만큼 그 계층의 규정 자체가 모호할 수밖에 없었다. 다시 말해 이 시기의 중산층은 명확히 규정 가능한 실체라기보다 1980년대 초반 본격화된 중산층 담론을 통해 상상적으로 재구성된 계층에 해당하며 이 들 불특정 계층을 역사적 실체, 즉 특정한 텍스트를 구매하고 소비하는 독자층으로 만들어가는 데-더 중요하게는 중산층 특유의 감성을 구조화하는 데-기여한 것이 바로 이문열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중산층이 등장하는 이문열 초기 단편에서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연좌제``의 모티프이며, 그것은 단순히 소재적 차원을 넘어 주체화를 가능케 하는 일종의 장치(dispositif)로 작동한다. 다시 말해, 반공 이데올로기의 장치로서 연좌제는 개인의 자아에게 부단히 원죄 의식을 부과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중산층이라는 주체를 생산 해내는 핵심 기제가 된다. The novels of Lee, Munyeol are highly useful texts for us to distinguish ``corrupt`` middle class of 1970s from healthy one of 1980s, and more importantly, his books are entirely suitable to represent social identities of middle class. The term ``middle class`` actually refers to a class restructured by the discourse of middle class which was fully discussed in the early of 1980s rather than a reality which is precisely definable. Lee``s works contributed to imagining this non-specific class as a historical reality and to structuralizing its unique sensibility. In this sense, it might be more reasonable to think that he shapes the image of middle class in his books than to say that people of middle class read Lee``s works avidly and eagerly.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his early short novels in which a character of middle class appears is the motif of ``the implicative system.`` This implicative system serves a ``dispositif`` which makes subjectivation possible. In other words, this system, as an ideological device of anticommunism, imposes the consciousness of original sin on the self of an individual, and, at the same time, as an important agent, creates a subject who means middle class.
570MPa급 고강도강을 적용한 콘크리트 채움 U형 하이브리드 합성보의 휨거동 및 설계
이철호,소현준,박창희,이창남,이승환,오하늘,Lee, Cheol Ho,So, Hyun Joon,Park, Chang Hee,Lee, Chang Nam,Lee, Seung Hwan,Oh, Ha Nool 한국강구조학회 2016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채움 U형 하이브리드 합성보의 실물대 휨 실험을 수행하고 평가하였다. U형 강판의 웨브에는 공칭인장강도 400MPa 일반강종의 강재(SS400) 하부플랜지에는 공칭인장강도 570MPa 고강도 강재(SM570)의 강판을 각각 적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최대의 휨성능을 발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단면구성과 설계지침의 개발이었다. 4점 단조가력실험의 수행을 통해 제안된 모든 하이브리드 합성보 실험체들은 의도한대로 소성모멘트 이상의 강도발현과 충분한 연성거동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합성단면의 소성중립축의 위치가 상부 콘크리트 기준으로 합성단면 전체깊이의 15%이내에 존재할 경우 휨강도 산정 시 소성응력분포법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합성보에 적합한 강성산정과정을 제안하였다. Flexural tests of full-scale concrete-filled U-shape hybrid composite beams were conducted. Ordinary (SS400) and high-strength (SM570) steel plates were used in the web and in the bottom flange of U-shape steel section respectively. The primary objectives were to develop the hybrid section configuration with maximized flexural capacity and to investigate its flexural strength and deformation capacity. All the hybrid test specimens in this study exhibited the plastic moment capacity and resonable deformability. It is shown that the plastic stress distribution can be assumed in calculating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proposed hybrid composite beams if the plastic neural axis is located within 15% of the total beam depth from the top of the composite slab. The procedure for computing the effective flexural stiffness of hybrid composite beams is also recommended based on test results.
이철호,황인주,김정교,Lee, Cherl-Ho,Hwang, In-Ju,Kim, Jeong-Kyo 한국식품과학회 198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20 No.6
김치제조에 사용되는 결구포합형 배추의 구조와 그 조직감 특성을 조사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소금절임, 가열데침 공정등에 의한 배추임의 구조적 변화와 조직감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추잎의 형성순서에 따라 잎의 길이와 두께는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두께는 최외엽에서 다소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배추잎의 미세구조는 밀집된 유관속조직 주위에 유조직 세포가 쌓여있는 형태로서 절단시험에서 외피와 유관속조직의 특징적인 절단력 곡선들을 나타내었다. 절임과 데침처리에 의하여 배추잎의 절단력은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주로 세포벽의 구조적 변형에 따라 포개짐에 의한 절단면의 수적 증가에 의한 것이었다. The macro-and microstructure of Chinese cabbage used for Korean Kimchi preparation were examined and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raw cabbage leaf and salted or blanched leaves were evaluated by cutting test. The length and thickness of leaf stalk increased with the order of pyllotaxis, but the thinning effect of outermost leaves was observed. The microstructure of cut-profile of stalk showed densely compacted vascular systems aligned in the center of stalk and the outer space was filled with large parenchima cells. Due to this structure, characteristic cutting curves were obtained by cutting test, composing three peaks of cutting for inner surface skin, center vascular system and outer surface skin. Salting and blanching increased the cutting force mainly due to the increase of Gutted cell wall number caused by the structure collapse.
등가 스트럿 모델에 의한 리브 보강 RBS 철골모멘트접합부의 내진설계
이철호,Lee, Cheol Ho 한국강구조학회 2001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3 No.5
본 연구에서는 아직 설계법이 정립되지 않은 리브로 보강된 RBS 철골모멘트 접합부의 내진설계법을 등가 스트럿 모델에 의거하여 제시하였다. 종종 엔지니어가 리브를 사용하여 철골모멘트접합부의 내진성능을 높이고자 할 경우 고전 휨이론에 의거하여 리브와 보로 구성된 일체단면의 단면2차모멘트로서 그루브 용접부의 인장응력도 예측하려 하는데 이는 타당치 않다. 리브접합부의 응력전달 메커니즘은 고전 휨이론에 의한 메카니즘과는 전혀 다르다. 즉 리브는 고전 휨이론에 의한 기대와는 달리 리브의 대각선 기울기 방향으로 스트럿 거동을 보인다. 필자는 이 같은 점에 주목하여 리브를 스트럿 요소로 파악하여 리브 접합부의 설계에 활용될 수 있는 등가 스트럿 모델을 이미 제시한 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등가 스트럿 모델을 기초로 리브접합부의 실용설계에 활용될 수 있는 단계별 설계절차를 제안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a seismic design procedure for rib-reinforced RBS(Reduced Beam Section) steel moment connections. Engineers often use rib plates to enhanc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moment connections. thinking that the 2nd moment of inertia is increased so that the tensile stress in the beam flange groove weld is reduced However the force transfer mechanism in the rib connection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as predicted by the classical beam theory ; a clear diagonal strut action is present in the rib. By treating the rib as a strut the writer has recently proposed an equivalent strut model that could be used as the basis of a practical design procedure. In this paper the proposed equivalent strut model is briefly presented first. A step-by-step design procedure is then recommended based on the proposed model.
한국 재래식 국수류의 유체 변형성에 관한 연구 -제 2 보 : 삶음시간과 저장기간에 따른 기계적 모델 상수들의 변화-
이철호,김철원,Lee, Cherl-Ho,Kim, Cheol-Wo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8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5 No.3
한국 재래식 밀국수와 냉면국수의 유체 변형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험실에서 제작한 tensile tester를 이용하여 creep test를 실시하였다. 국수를 삶는 시간과 삶은후 저장하는 시간에 따라 기계적 모델파라 메터의 크기가 변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부분의 삶은 국수 시료는 6-element Voigt 모델로 설명될 수 있었다. 밀국수의 경우 국수를 삶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순간탄성(instantaneous elasticity)이 감소 되었으며, 지연탄성(retarded elasticity)과 지연점성(retarded viscosity)은 삶음 초기에 크게 감소되어다. 반면에 뉴우턴 점성은 삶음 시간에 크게 감소되었다. 반면에 뉴우턴 점성은 삶은 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되었다. 삶은 밀국수를 저장하는 시간에 따라 지연시간(retardation time)과 뉴우턴 점성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냉면국수와 삶음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순간탄성과 지연탄성이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뉴우턴 점성은 최적 삶음시간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삶음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냉면국수는 4-element Burger's모델로 그 기계적 성질을 표현할 수 있었다. The mechanical models representing the theological property of traditional Korean noodles; i.e. wheat flour noodle and wheat-sweet potato starch noddle, were investigated from the data obtained by creep and creep recovery test using a tensile tester. The rheological behavior of the noodle products could be expressed by the 6-elements Voigt model. The instantaneous elasticity, retarded elasticity, retardation time, retarded viscosity and Newtonian viscosity of the noodle products were evaluated. With the increasing cooking time, 4-elements Burger's model was applicable to represent the mechanical behavior of wheat-sweet potato starch noodle.
이철호,김상욱 ( Chul Ho Lee,Sang Wook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7 응용화학 Vol.1 No.1
Alumina trihydrate(ATH)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tracking resistance of EPDM, silicone rubber and epoxy compound. This study describes the influence of the median particle size of alumina trihydrate(ATH) filler on the tracking resistance. A fixed 100 phr concentration of the filler of ATH was used for all particle sizes from 0.7 to 20 ㎛. It is shown that tracking and erosion resistance depends on the median particle size of ATH. The tracking and erosion resistance decrease with increasing particle size.
이철호,김상욱 ( Chul Ho Lee,Sang Wook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7 응용화학 Vol.1 No.2
The surfac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EPDM) and silicone rubber were applied as high voltage insulation material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EPDM can effectively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EPDM rubber was inferior in weathering and tracking resistance te silicone rubber, whereas EPDM rubber was superior in high temperature aging resistance to silicone rub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