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수중에서 Sagnac 광섬유간섭계를 이용한 초음파신호의 검출과 분석에 관한 고찰

        이진우(Chin - Woo Yi),이준호(June - Ho Lee)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02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Vol.21 No.1

        The optical fiber sensor is a subject which has been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in recent year. Especially, it is being developed for the detection and location of partial discharge in oil-filled transform ers. In th is paper, we propose and experim entally dem onstrate directivity and sensitivity of a hollow cylindrical m andrel sensor. The sound source is a P ZT actuator of hollow cylinder type. Several layers of the fiber lam inated around the m andrel surface and experim ents were perform ed on three axis modes. The experim ental results can be applied to analyze detected signals optim ally.

      • KCI등재

        무대조명을 통한 무용 예술의 무대공간 시각화 방안 연구

        이장원,이진우,Lee, Jang-Weon,Yi, Chin-Woo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3 No.4

        무대 예술은 근본적으로 '본다'는 본질을 바탕으로 삼는 동시에, 보여주고 보는 행위의 상대성을 지니고 있다. 무대 조명을 인공적인 빛을 이용하여 무대 예술의 근본인 '본다'는 본질을 해결하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전기의 발명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된 조명기재들과 광학의 발달에 힘입어 무대 예술의 중요한 시각적 표현매체로 역할이 증대되었다. 그러므로 조명은 하나의 무대예술 분야에서 빛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무대공간을 아름답게 표현할 뿐만 아니라 관객에게 지적, 정서적 감동을 주는, 시간과 공간을 미학적으로 표현하는 시각예술이라 할 수 있다. 즉 무대 조명이란 조명 공학(기술, 과학) + 미의식(감각, 예술)의 복합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무용은 움직임의 예술이며 선의 예술이다. 신체의 움직임은 무용의 재료이며,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무용수의 몸은 표현의 매체이다. 무용 예술은 인간의 신체를 도구로 움직임을 선정하고, 의식적으로 형상화된 동작의 표현 또는 내면의 정서적 반영을 관객들에게 극대화된 미적체험을 전달하며 감동을 전이시키는 예술이며, 시각적인 미를 보다 확대시키고 강조하기 위하여 무대 공연에 있어 조명, 장치, 의상, 음악, 소품 등의 보조적 도구들을 활용하는 종합예술이다. 그 중에서도 무용 조명은 그 표현의 미를 극대화 시키는 시각예술로서 순수한 신체언어의 조형적 시각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무대 조명의 기초와 타 분야와의 관계, 조명의 기능과 특징을 연구하여 무용 예술의 시각화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조명의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조명의 예술적 발전과 무용의 미적 표현 능력을 극대화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조명은 다양한 기재가 갖고 있는 빛의 형태와 방향성 등을 이용하여 무대 공간을 시각화 할 수 있으며, 작품이 추구하는 이미지 극대화를 표현할 수 있다. 둘째, 무용 작품에 있어 무용이 갖고 있는 공간의 형태를 빛의 움직임을 통한 시각적 연출로서의 조명이 가능하다. 셋째, 빛으로 창출하는 시각적, 공간적 표현을 통하여 작품의 극적 카타르시스를 관객에게 지적, 정서적 감동을 일으키게 한다. 넷째, 조명이 보조자로서의 역할이 아니라 독창적인 하나의 시각 디자인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 끝으로 대다수 사람들이 상식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무대를 밝게 비추는" 조명의 단순한 기능에서 벗어나 예술의 한 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조명 디자이너는 창조성과 예술성을 가지고 안무가의 의도나 작품을 이해하여 빛과 색채를 미적인 언어로 파악하여 작품의 효과를 높여주고 작품 구성의 한 요소로 참여하여 조명이 하나의 예술로 다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빛의 움직임을 통한 공간의 구성을 미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예술적 감각을 키우고, 생명력을 불어 넣는 빛의 예술뿐 아니라 저변에 걸쳐있는 제반예술에 대해 심미안을 키워야 할 것이다. Stage art basically builds upon the essence of "seeing," and at the same time, possesses relativity in showing and seeing. Stage lighting uses artificial light to solve the essence of "seeing", which is the foundation of stage art, and coming into the modern age, its role has been enhanced to an important medium for visual expression in stage art, due to the lighting tools that developed at a rapid pace along with the discovery of electricit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optics. Therefore, not only does lighting use a medium known as light in a field of stage art that gives mental and emotional inspiration to the audience, and aesthetically expresses time and space. In other words, stage lighting is a complex function of light engineering (technology and science) and aesthetic sense (feeling and art). This study aims to do research on methods for the visualization of stage space through lighting, mainly focused on dancing. I have studied the basics of stage lighting, its relations with other fields of stage art, and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ighting. Results show that lighting could be used to maximize the visualization of dancing and emphasizing the artistic growth of lighting and its ability to aesthetically express and I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lighting uses the forms and directions of light that various tools are able to produce in order to visualize the space on stage, and can maximally express the image that the work seeks. Second, it is possible to use lighting, through the movement of light, as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space in dancing works. Third, through the expression of visual and spatial aspects created by light, the work's dramatic catharsis can bring out mental and emotional feelings form the audience. Fourth, lighting can be seen not as a supporting role, but as an original visual design. To conclude, in order for lighting to be freed form the simple function of "lighting up the stage," which a majority of people think is common knowledge, and grow as one area in art, lighting designers must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the choreographer and the work with creativity and artistry they must consider light and color as an aesthetic language in order to heighten the effects of the work and allow it to partake as one element of work creation, so that lighting will be treated as a form of art.

      • KCI등재

        368.6[nm]를 최대방사 파장으로 포함한 자외선램프에 의한 대장균(E.coli)의 불활성화에 관한 연구

        장인성,이주훈,이진우,Chang, In-Soung,Lee, Ju-Hun,Yi, Chin-Woo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3 No.9

        수처리 살균에 이용되는 자외선 소독은 기존 염소소독법의 문제점인 소독부산물 생성이 없어 실질적인 대안으로 널리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68.6[nm] 자외선을 이용하여 소독에 대해 저항성이 강한 대장균(E.coli)의 분활성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자외선 소독 장비는 358.6[nm]의 파장을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소독 반응조에서 시간에 따른 사멸 특성을 살펴보았다 자외선으로 60분간 대장균을 조사하였을 때 초기 30분간은 자외선에 큰 영향을 밭지 않았지만 30분 이후에 대장균이 점차적으로 사멸되어 60분이 경과하였을 때 83.3[%]의 사멸률을 보여서 일반적인 자외선 램프보다 살균효율이 미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력학적 접근방법으로 구한 비활성화율 계수 k값은 0.00868[$cm^2$]/([$mW{\cdot}s$])로 나타났다. Disinfection using UV irradiation has been considered to an alternative for chlorination because it does not suffer from disinfection byproducts proble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if UV irradiation with 368.6[nm] wavelength has a potential to be used a efficient disinfection. UV irradiation was given for 60 minutes to E. coli. which was used as a model microorganism. Remarkable decrease in number of microorganism was not observed for initial 30 minutes, however, 83.3[%] of disinfection efficiency was achieved after 30 minutes of irradiation. Inactivation constant, k was determined to 0.00868[$cm^2$]/([$mW{\cdot}s$]) using kinetic approach.

      • 전압 파형에 따른 형광램프의 특성비교

        노재엽(Jae-yup No),이진우(Chin-Woo Yi),이용후(Yong-Hoo Lee),김순기(Soon-Gi K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99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99 No.-

        본 논문은 입력전압 파형을 각각 같은 크기의 정현파, 구형파, 삼각파로 변화시켰을 때, 형광램프의 시동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비교 설명한 논문이다. 구형파가 입력으로 주어질 때 램프의 시동특성은 현저하게 떨어져, 시동전압이 크게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삼각파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정현파 입력과 거의 동일한 특성을 나타냈다.

      • 전자식 안정기에 적용 가능한 형광램프의 모델링

        이준호(June - Ho Lee),이진우(Chin - Woo Yi)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02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Vol.21 No.1

        T his paper introduces a fluorescent lam p m odel based on gas discharge phenom ena. The fluorescent lam p discharge has been successfully m odeled by em ploying the radial variation of particle density and considering d riving circuit effects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process. T he electron energy distribution is assum ed to have a M axw ellian. T he electron m obility and the am bipolar diffusion coefficients are considered to vary w ith an electron energy rather than a sim ple uniform value. Energy states of m ercury atom in the discharge process are regarded as six levels rather than sim ple 4 or 5 levels. These discharge processes have been accurately solved by num erically em ploying m ixed the F D M and the 2nd R ung e- K utta method. W e applied this m odel to analyzing real high frequency circuit. S im ulation and experim ental results were presen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m odeling. Sim ulation and experim ental results were presen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m odeling.

      • 무용예술을 위한 무대조명에 관한 연구

        이장원(Jang-Weon Lee),이진우(Chin-Woo Yi)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5월

        Even though the movement of human body contruct the primary factor of Dancing Art, spectators appreciate more meaningful expression of the stage that stand above limited space and time. Lighting is a distinctive expressive mechanism of obvious line, form and rhythem of human body by marking a light and shade through artificial beams into the stage. As Dancing art is different from drama, lighting of dancing stage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drama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