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자점이 고밀도화된 마이크로 비드의 제조 및 특성

        이지혜,현상일,이종흔,구은회,Lee, Ji-Hye,Hyun, Sang-Il,Lee, Jong-Huen,Koo, Eun-Hae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2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5 No.8

        The spherical mesoporous silica is synthesized and incorporated with CdSe/ZnS quantum dots(QDs) for preparing micro beads to detect toxic and bio-materials with high sensitivity. The spherical silica beads with the brunauer-emmett-telle(BET) average pore size of 15 nm were prepared with a ratio 1, 3, 5-trimethylbenzen, as a swelling agent, to the block-copolymer template surfactant of over 1 and under vigorous mixing condition. The surface of spherical mesoporous silica is modified using octadecylsilane for incorporating QDs. Based on photoluminescence(PL) spectra, the relative brightness of mesoporous silica beads incorporated with 10 nM of QDs is 79,000 times brighter than that of Rodamine 6 G.

      • KCI등재

        파종시기에 따른 콩 품종별 품질 및 이화학 특성

        이지혜(Ji Hae Lee),김현주(Hyun-Joo Kim),이병원(Byong Won Lee),이유영(Yu Young Lee),전용희(Yong Hee Jeon),이병규(Byoung Kyu Lee),이유영(Yu Young Lee),전용희(Yong Hee Jeon),이병규(Byoung Kyu Lee),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8

        콩의 품질기준 설정의 일환으로 중북부지역에서 생산된 콩의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른 일반성분,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검토하였다. 콩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 등 일반성분 함량은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의 명도는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파종시기에 따라 청두1호와 청미인 품종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적색도는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황색도는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파종시기에 따라 진품콩과 검정5호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콩의 수분결합력과 팽윤력은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용해도는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파종시기에 따라 미소를 제외한 품종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의 페놀 성분 함량과 라디칼 소거 활성은 품종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단백 품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보통기보다 만기재배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종피색이 검정색인 검정5호와 청자3호 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미소, 새단백, 청미인, 청자3호 품종이 보통기보다 만기 재배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원콩, 진품콩, 청두1호, 검정5호 품종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파종시기에 따라 진품콩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의 수분 특성은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함량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등 항산화 성분 함량과 라디칼 소거 활성은 조지방, 조단백질, 명도, 황색도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페놀 성분 함량과 라디칼 소거 활성이 달라지므로 재배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파종시기를 결정할 필요가 있고 농업 지대에 따른 품종별 파종시기 설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roximate compositions,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of different variety and two different seeding periods were evalu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soybea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variety and two seeding period. Additionally, the L-, a-, and b-values of soybea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varieties. Water binding capacity and swelling power of soybea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arieties and seeding periods. Water solubility index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varieties, as well 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eding periods except for Miso.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ybea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arieties.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iffered significantly with varieties and with seeding periods except for Miso.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eding periods except for Jinpumkong. Phenol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iffered depending on varieties and seeding perio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per variety and seeding time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cultivation area.

      • KCI등재

        파종시기 및 품종별 볶음 옥수수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이지혜(Ji Hae Lee),김현주(Hyun-Joo Kim),김미정(Mi Jung Kim),정건호(Gun-Ho Jung),이병원(Byong Won Lee),이병규(Byoung Kyu Lee),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1

        옥수수차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식품가공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소비 수요를 창출하고자 국내에서 육성된 옥수수 품종을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수확된 옥수수로 볶음차를 제조하여 항산화 성분 및 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파종시기 및 품종별 원료곡의 일반성분은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볶음 옥수수차 침출액의 품질특성 또한 전체적으로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볶음 옥수수차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볶음처리 전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4월 5일 파종한 평강옥은 볶음처리 전후에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각각 3.42±0.16 및 12.22±0.67 mg GAE/g으로 약 3.6배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 볶음 옥수수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월 5일 파종한 옥수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옥수수차에서 높았다. 볶음 옥수수차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볶음처리 전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5일 파종한 강다옥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볶음처리 전후에 각각 7.61±1.93 및 240.37±8.82 mg TE/g으로 약 31.6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4월 5일 파종한 평강옥의 ABTS 라디칼소거 활성은 볶음처리 전후에 각각 153.84±1.32 및 843.54±3.64 mg TE/g으로 약 5.5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원료의 일반성분과 볶음 옥수수차의 품질특성, 항산화 성분 및 활성 간의 상관성은 전체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We evalu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raw materials,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roasted maize tea according to cultivation period and variety. Proximate compositions of raw materia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ultivation period and varie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oasted maize tea extra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ultivation period.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roasted maize t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roasti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Pyeonggangok cultivar sown on April 5th was elevated about 3.60-fold before and after roasting by 3.42±0.16 and 12.22±0.67 mg gallic acid equivalents/g, respectively. Overall,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r in roasted maize tea produced using maize sown on April 5t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angdaok cultivar sown on April 5th was elevated about 31.6-fold before and after roasting by 7.61±1.93 and 240.37±8.82 mg Trolox equivalents (TE)/g, respectivel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yeonggangok cultivar sown on April 5th was elevated about 5.5-fold before and after roasting by 153.84±1.32 and 843.54±3.64 mg TE/g,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proximate compositions of raw materials and quality as well as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roasted maize tea showed overall significance.

      • KCI등재

        골프의류 소비자의 독특성욕구와 체면민감성이 과시적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Lee, Ji-Hae),김재환(Kim, Jae-Hwan) 한국체육과학회 201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6 No.5

        As social-face sensitivity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cultur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it recently has started to examined in various study contexts. So as in golf industry, marketers started to examine not only the behavior but also the psychological part of consum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marketers in golf apparel industry by examining the effect of golf apparel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NFU) and social-face sensitivity on conspicuous consumption. For data analysis, SPSS 21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sults are as follow. First, sub-factor of NFU, ‘similarity avoidance’ had positive influence on ‘individuality oriented", ‘brand preference’ and ‘trend preference’ of conspicuous consumption. Second, sub-factor of NFU, ‘creative choice’ and ‘unpopular choice’ had positive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high cost preference’ and ‘trend preference". Third the sub-factor of social-face sensitivity, ‘sensitive with other"s eyes’ had positive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and ‘high cost preference". Fourth, the sub-factor of social-face sensitivity, ‘sensitive on social formality’ and ‘sensitive on one"s shame; had positive influence on all of the sub-factors of conspicuous consump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발아 및 볶음처리가 동부가루의 품질 및 이화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Ji Hae Lee),김현주(Hyun-Joo Kim),이병원(Byong Won Lee),이유영(Yu Young Lee),이병규(Byoung Kyu Lee),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3

        용도별 동부가루 품질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일환으로 발아와 볶음처리 후 동부가루의 품질과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발아 및 볶음처리에 따른 동부가루의 수분 함량은 볶음 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조회분,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유의적으로 약간 증가하였으나 큰 차이가 없었다. 발아시키지 않은 동부와 발아시킨 동부로 제조한 볶음 동부가루의 수분결합력은 볶음 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용해도와 팽윤력은 감소하였다. 볶음 동부가루의 명도는 볶음 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발아시키지 않은 볶음 동부가루와 발아시킨 볶음 동부가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4.27~6.17 및 2.84~4.83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22~4.67 및 2.47~3.07 mg CE/g으로 볶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272.14~460.47 및 198.04~344.10 mg TE/100 g,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367.71~531.35 및 219.93~416.30 mg TE/100 g으로 볶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볶음 동부가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고려하여 고물이나 앙금 등 용도별 품질평가 기준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change in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wpea flour after a germination and roasting treatment were evaluated. The moisture content of roasted cowpea flour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 and the crude ash, protein, and fat contents increased. The water binding capacity of the roasted cowpea flour without and with germin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roasting temperatures and times, but the water solubility index and swelling power decreased. The lightness of the roasted cowpea flour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The phenolic compoun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roasted cowpea flour increased with increasing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roasted cowpea flour without and with germination were 4.27∼6.17 and 2.84∼4.83 mg gallic acid equivalents/g, respectively,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3.22∼4.67 and 2.47∼3.07 mg catechin equivalents/g, respectively.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oasted cowpea flour without and with germination was 272.14∼460.47 and 198.04∼344.10 mg Trolox equivalent (TE)/100 g, respectively, and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367.71∼531.35 and 219.93∼416.30 mg TE/100 g,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quality standards for each application considering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oasted cowpea flour.

      • KCI등재

        지역색을 고려한 도시환경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지혜(Ji Hae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도시환경의 중요성은 최근 들어 매우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도시의 수많은 시설물과 공간이 인간의 활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고, 또한 이렇게 형성되는 도시의 문화들은 인간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도시의 환경은 인간이 가장 편안하고 안락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요인들 중에서 색채는 인간의 여러 가지 감각 중에 가장 쉽게 인식되는 감각 중 하나인 시각과 관련이 높기 때문에 그 효과를 쉽게 볼 수 있는 요소이다. 색채는 우리의 시선을 압도하기도 하고 우리의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오늘날에는 도시의 형태만큼 그 색채도 중요해지고 있다. 세계 각국 마다 각기 다른 토양과 문화를 지니고 있고, 그 지역에 세워지는 건축물과 공공시설물 들은 저마다의 색채 특성을 갖는다. 지역적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색채를 사용하는 것은 고유의 문화를 나타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 환경디자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공공시설물과 환경색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공공시설물 색채계획의 길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도시 환경에 대한 특성과 환경색채와 도시와의 관계성 분석, 그리고 지역색을 고려한 공공시설물의 색채 계획에 대한 필요성 포함하고 있다. 기존의 우수한 환경색채디자인 사례를 들어 공통점과 개선점을 찾아 그 방향성에 관해 모색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각각의 지역색을 고려한 환경색채가 쾌적한 도시환경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 도시 환경에서의 지역색을 고려한 공공시설물의 색채계획에 관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The importance of city environment becomes a crucial issue because numerous facilities and spaces in the city have close connection with activities of human beings and the cultures of city formed in this way influence lives of them a lot. City environment should consider various factors for human beings to maintain the most convenient and comfortable life. Among these factors, color can achieve effects easily since it is strongly related to sight, the most easily recognized sense. Sometimes colors overwhelm our sight and are also indispensable factors in our life. Nowadays, colors of city have become as important as structure of it. Each nation has different soil and culture, and its buildings and public utilities also have different features in color. When representing traditional culture, it is essential to use colors while properly reflecting local feature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city environment design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utilities and environment colors. The category of this study includes feature of city environment,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environment colors and city as well as necessity of plans on colors of public utilities with consideration of local features. As a conclusion, this study gathers and provides theories needed for pleasant city environment with consideration of each local feature and offers information on plans of coloring public utilities while considering today`s city environment.

      • KCI등재

        공감각학습개발과 융합 형 인재개발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이지혜(Lee, Ji Hae),윤종영(Yoon, Jong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미래형 인재에 대해 요즘 화두가 되어 지고 있는 STEAM(융합)교육에 있어 창의성개발이 중요시 되고 있다. 다양한 지식을 통합하여 사고하여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인재양성은 급진적인 21C 사회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교육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교육 패러다임 속에 창의와 융합을 강조한 창의 융합 형 인재양성은 이 시대 교육에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학교학습의 수업 프로그램과 교과과정에 창의성을 강조하며 교과간의 경계선을 통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중이다. 이러한 융합 형 교육에 있어 핵심적인 “창의성“에 관한 기반은 공감각적 오감능력으로부터 길러질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가지 사례와 연구로 검증되어 있다. 타고나 공감각과 학습에 의한 공감각의 능력이 여러 지식을 통합적으로 사고하고 새로운 창의적 부산물을 만들어내는 기반능력이 되어 지므로 공감각학습은 이 시대에 꼭 필요로 하는 학습이라 할 수 있다. 후천성 공감각능력이 학습 되어질 수 있다는 검증으로 뉴로 피드백, 즉 뇌파통제를 통한 오감능력 상승과 이를 통한 창의력 상승, 지능개발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과 학습법은 이시대가 요구하는 융합형인재양성에 있어 반드시 필요로 하는 교육기반으로 인식되며 창의력개발뿐 아니라 공감각 기능을 가지고 있는 영⋅유아 교육을 시작으로 초⋅중⋅고 학습프로그램, 영재개발 교육 등에 활용되어 선진 창의융합 형 인재를 개발하고 육성하는 기반으로 폭넓게 연구되어져야 한다. Creativity development is important in STEAM (fusion) education, which is becoming a hot topic for future talent. The training of talent in the ability to think and solve problems by integrating diverse knowledge is emerging as the most necessary education in the course of a radical 21C social change. In this educational paradigm, creative talents that emphasize creativity in the lesson programs and curriculum of school learning as the most important keyword in this age education, and are looking for ways to integrate boundaries between subjects. The fact that the foundation of “creativity” that is central to this convergent education can be raised from the cooperative sensory ability is already verified by various examples and studies. Conscientiousness learning is a necessary learning in this age because innate synesthesia and the ability of synesthesia by learning are integrated ability to think about various knowledge and create new creative by products. In order to verify the ability of acquired synesthesia ability to be learned neuro-feedback, that is, education program and learning method using intelligence development, It is recognized as an educational foundation and it is used not only in creativity development but also in spiritual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has synesthesia function. It is used for elementary, middle, high learning program and gifted education development, that is, develops and fosters advanced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It should be studied extensivel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