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국내 맥상 금광산 내 지하수 지구화학의 통계학적 특징

        이종운 한국자원공학회 202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9 No.4

        A dataset of chemical composition of groundwater in Korea including that in vein-type gold mines was compiled through literature review. Groundwaters were grouped, according to location, into ‘adit groundwate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gold veins, ‘surrounding groundwater’ spatially separated from the veins in gold mines, ‘normal groundwater’ from non-mineralized granitic rocks, and ‘deep groundwater’ from a depth of 500 m or deeper. ANOVA indicated that adit groundwater showed statistically higher values of TDS, Ca, and SO4 than the other groups. High SO4 in the adit groundwater is likely due to sulfide minerals, and high Ca may be attributed to the occurrence of calcite as a fracture-filling mineral in the mines. Classification functions derived from discriminant analysis could distinguish between adit, surrounding, and normal groundwaters with a hit ratio > 92%. The classification functions may serve as an indicator for the exploration of unknown vein-type gold deposits through chemical analysis of the groundwater. 맥상 금광상 주변 지하수 등 다양한 지하수의 화학분석 결과를 국내 문헌들로부터 수집하였다. 각시료를 채취 위치에 따라 금맥 주변의 ‘갱내수’, 광산 지역에 존재하나 금맥과 공간적으로 이격되어있는 ‘주변수’, 비광화 화강암질암 지역의 ‘일반지하수’, 500 m 이하 심도의 ‘심부지하수’로 구분한후, 화학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 군집분석, 판별분석을 수행하였다. ANOVA 분석 결과, 갱내수는 다른 그룹의 지하수에 비해 TDS, Ca, SO4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갱내수의 높은 SO4 함량은 금과 동반되어 산출되는 다양한 황화광물의 존재에 의해, Ca 함량은 광산 내 열극충진광물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방해석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판별분석결과 도출된 분류함수는 92% 이상의 적중률로 갱내수, 주변수, 일반지하수를 판별할 수 있었다. 통계학적 접근을 통해 도출된 이러한 분류함수는 지하수 화학분석을 통해 미지의 맥상 금광상을 탐사하는데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참여 동기와 관계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종운,이은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s of volunteer work and quality of life, and tried to verify how motivation and relationship of volunteer work affect the quality of life to provide the meaning of social welfare pract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volunteer workers. This study conducted a self-controlling survey of 100 volunteers working at the B welfare center from December 1 to December 30, 2018 and conducted a total of 100 copies of the survey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o perform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rough these method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his study, volunteer motivation, relationship and quality of life are shown to be slightly higher, and the motivation of volunteer particip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and quality of life seem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volunteer participation motivation (β=).261, p<.01) was shown to have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most volunteers should be motivated by social recognition or compensation for their volunteer work so that they can continue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원봉사활동 동기와 관계성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에 미치는가를 검증하여 자원봉사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B종합복지관에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00부를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결과, 자원봉사자의 참여 동기, 관계성, 삶의 질은 약간 높은 것으로 보이며, 자원봉사자의 참여 동기와 관계성 그리고 삶의 질의 관계는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원봉사자 참여 동기(β=.261, p<.01)가 삶의 질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정이나 보상을 통해 동기부여를 높여 지속적인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도시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 효과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이종운,김강휘(Kim, Gang-Hwi),오태훈,김원호(Kim, Won-Ho)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9 No.-

        도시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UETMS)은 서울시 최상위 간선교통기능을 담당하는 도시고속도로의 효율적, 체계적 관리를 위해 첨단 교통관리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도시고속도로교통류 흐름을 안정화하여 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바탕으로 돌빌상황에 신속히 대처하여 교통혼잡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교통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서울시는 1997년 올림픽대로(잠실 대교~여의도구간)에 도시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이 최초로 구축된 이래, 2002년 내부순환로를 시작으로 2004년 강변북로, 북부간선도로, 2005년 올림픽대로, 2007년 동부간선도로, 경부고속도로에서 교통관리시스템이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남산권 교통정보시스템을 포함하여 총 156.8km구간에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2002년 도시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 구축 이후 사업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해, 시스템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다.

      • KCI등재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종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ddle - aged women on mental health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social welfare practice pla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50 middle-aged women between 40 and 60 years old living in D and K area from May 1, 2014 to May 31, 2014, and a total of 310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esteem (β=-.352, p<.001) and marital status (β=.115, p<.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ental health of middle aged women. The standardized coefficients show that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mental health.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was 14.3%, which is suitable for the confidence level of 99%. In this way, self-este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Thus, it is clear that a program that can promote self-esteem is needed to promote the positiv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4년 5월1일부터 2014년 5월31일까지 D, K 지역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0세 이하 중년여성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 310부를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는 자아존중감(β=-.352, p<.001), 결혼상태(β=.115, p<.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표준화계수를 볼 때,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모형의 설명력은 14.3%였으며, 99%의 신뢰수준에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을 높이는데 있어 자아존중감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긍정적인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중년여성의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분노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종운,이선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esteem and anger on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middle-aged women aged 40 and older in the area of D and K from May 1 to May 31, 2014.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are mental health in order of marital status (β = .128), health status (β = .304) and self-esteem (β =-.280). In addition, self - esteem and physical health status of middle - aged women were found to affect both hostility, depression and somatization of sub - variables of mental health.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is an important variable of self-esteem and physical health. In order to accommodate changes and adapting to new life in a physical, emotional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perio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multiple aspects of mental health.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분노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데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 K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부적절한 설문지를 제외한 280부을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β=.304), 자아존중감(β=-.280), 결혼한 상태(β=.128)의 순으로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신체건강상태는 정신건강 하위변수의 적대감, 우울, 신체화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은 자아존중감과 신체건강상태가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신체적, 정서적, 사회문화적으로 새롭게 적응해야하는 시기에 인생의 변화를 수용하고 새롭게 적응할 수 있도록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대한 다각적 차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년여성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와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종운,허만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felong learning motivation and self - efficacy on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 - aged women. Middle - aged women showed highe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higher self - efficacy and higher quality of life. This indicates that middle - aged women have a high desire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have strong self - efficacy such as self - confidence, and have high satisfaction in life.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mai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 -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had a positive (+) correlation. (Β = -. 143, p <.001), marital status (β = -. 166, p <.001) were found to be negative (-), lifelong education (Β = .118, p <.05) and confidence of self-efficacy (β = .780, p <.001)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sub-variables of participation motive. When the standardization factor is examined, self-efficacy subscale (F = 47.812, p <.001) is the sub-variable of self-efficacy. The model explaining power is 68.1%, and Durbin-Watson1 value is .656. These results confirm that self - efficacy, a high variable of self - efficacy,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life quality of middle - aged women. Therefore, we should seek ways to improve self - efficac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 - aged women.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 동기와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K지역대학에 재학중인 중년여성학습자를 대상으로 2017년 11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264부을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년여성의 경우 평생교육 참여 동기, 자기효능감, 삶의 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년여성은 평생교육 참여에 욕구가 높으며, 자신감 등 자기효능감이 강하고 삶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주요변수들의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 참여 동기, 자기효능감, 삶의 질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종교(β=-.143, p<.001), 결혼여부(β=-.166, p<.001)는 부적(-), 평생교육 참여 동기의 하위변수인 목표지향형 동기(β=.118, p<.05), 자기효능감의 자신감(β=.780, p<.001)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계수를 볼 때,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신감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F=47.812, p<.001) 것으로 모형설명력은 68.1%를 설명하는 것으로 Durbin-Watson1 값은 .656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여성의 삶이 질에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신감이 가장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 KCI등재

        중국 경제력 신장이 북한 및 접경국가들에 미친 영향의 비교분석

        이종운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5 동북아경제연구 Vol.27 No.4

        This study aims to better understand changing relat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and the latter’s economic dependence through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Chinese economic influence in its 12 neighboring Asian countries. In addition to the rapid increase in bilateral trade of recording its peak of $6.5 billion in 2013, China has emerged as the major foreign investor with the commercial investment expansion in North Korean natural resources. The recent growth of Sino-North Korean economic exchanges and the higher degree of North Korea’s economic reliance on China since the late 2000s are largely driven by China’s strong demand for low-cost energy resources, raw materials, low-wage labor and cross-border infrastruc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China’s economic engagement with North Korea by comparing the situations of China’s other bordering countries and problems caused by the growing Chinese economic intervention. Heavy reliance on mineral resource export to China and the unbalanced trade structure are a common phenomenon among China’s neighboring countries, but North Korea’s economic dependence on China is found most serious and its vulnerability to such external shocks as price downturn of the raw material market or policy changes of Chinese government is also significant. North Korea is consequently in danger of becoming a peripheral state to the Chinese economy if the North Korean regime fails to make a great effort to improve both its economic conditions and foreign relations.

      • KCI등재

        도시거주 고령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고독감과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분석

        이종운,이미애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거주 고령독거노인의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거주하는 고령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수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거주 고령독거노인의 고독감은 사회적 지지(β=.73, p=.018)와 삶의 만족도((β=-.76, p<.001)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거거주 고령독거노인의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β=.53, p<.001)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도시거주 고령독거노인의 특성과 욕구에 기초한 사회적지지 체계 구축과 독거노인의 고독감 예방과 사회적 관계 향상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ity.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July 1 to August 31, 2022,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n D Metropolitan Cit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feeling of loneli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ity is social support (β=).73, p=.018) and life satisfaction (β=-.76, p<.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001). Seco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β=).53, p<.001)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cial support syst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ity, and to prevent loneliness and improve social relations.

      • KCI등재

        청각장애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자아통합감을 중심으로

        이종운,허만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3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ing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the aged with hearing impairment. A study sample consists of 91 hearing-impaired persons over 65 years old who live in Daegu. Data was collected by 12 sign language interpreters from August 1 to August 31, 2011 and was analyzed using SPS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depression was higher in women than men and in persons with spouses than their counterpar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were self-integration (β=-.53) and previous health behavior (β=.28). The impact of self‐integration was much higher than previous health behavior, as their standardized coefficients were compared.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importance of self-integration could be utilized for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s for the aged with hearing‐impairment. Sugges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각장애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우울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 실천의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1년 8월 1일부터 2011년 8월 31일까지 대구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한 적이 있는 65세 이상 청각장애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개별 방문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시 부재중이거나 응답을 거부한 9명을 제외한 91명이 최종 연구대상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 분석 및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보다 여성이, 배우자가 있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통합감(β=-.53)과 이전건강행위(β=.28)가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하고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통합감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노인들의 우울 예방을 위하여 노년기의 중요한 과업인 자아통합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청각장애인들의 자아통합감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 접근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