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시공간에서 Digital media의 효과와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 신체움직임의 조형성을 적용한 전시공간계획의 중심으로
이정교,이경선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연구소 2004 미술디자인 논문집 Vol.- No.9
The space in todays digital era is developing in a new direction with the changing paradigm,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analog era. The space that appeals to the advanced technology mobilizes all the five senes of the aesthetic productions, and creates an interactive environment by motivating the uer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the digital media. The environment device called digital media connests the function of the space with living performance. Unlike in the analog space, the different sides of the digital media space create a human consciousness that corresponds to the realistic ambience, further contributing to the lively condition. In the future, the interior space will be created as a place for sensory communication through production of a vibrant space and the awakening of lively human consciousness by virtue of application of advanced digital media. Communications may be some kinds of goal in most art. Many media artists try to communicate their thoughts more progressively than other artists. So we can see various conversations in these kinds of artworks, which in manipulated by artists, even we can connect with each other directly. ; The function of integration has two points. One is about an active synthesis between one's ego and others, the other is a concept about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genres, or among different media, ; Organic nature means that interactions in media art make some organic relations between artists, and artworks, and audiences. Also some artworks seem to look loke an live organic body. Artwork is not regarded as stable or fixed any more. It can be changed. It can even disappear, and has lots of possibilities. ; The concept of concurrency was referred because interactions in media art can happen at the same time, even in a lot of parts of the entire world. Recently the on-line network and brodcating 뇻든 helped more effective interactive art, so that's one of very popular by viewers. The season is that the 'fun' usually makes audiences active and occurs to participate in works, even though in front of that kind of work they may not feel like being arranged progress. In other works, the concept of fun can be a system for temptation as like the element of visual style, meaningfully, ; The element of used to appear in some special artwork operated by viewers.
[제2주제] 국내 전광 방송광고 시장의 현황과 제도적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논의
이정교 한국OOH광고학회 2004 한국옥외광고학회 학술대회 Vol.2004 No.11
서울 시내를 돌아다니다 보면 교통량이 많거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에서 쉽게 현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거대한 동화상 전광판을 접할 수 있다. 특히 광화문과 같은 봄비는 도심에는 한국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와 같은 언론사에서 설치한 전광판에서 여러 가지 뉴스가 전달되기도 하고 TV 에서 접하게 되던 상업적 광고물들이 반복적으로 방영되기도 한다. 옥외광고판으로 시작된 전광판 방송광고는 기존이 공중파 텔레비전시장의 광고 점유율 하락과 케이블 TV 시장의 세분화, 뉴미디어의 등장, 인쇄매체의 독자수 감소, 소비자 니즈와 라이프스타일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차세대 광고 미디어로 인식되고 있다. 다양한 색감이나 역동적인 비쥬얼을 실제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러한 메시지를 거대한 화면을 통해 대다수의 수용자들에게 무차별적 · 반복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은 기존의 옥외광고와 비교할때 전광판 광고만의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고 매체로서의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국내 전광방송광고 시장의 현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고 과연 전광판 광고를 실행, 운영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는지 논의해 보기로 한다. 또한 보다 효율적인 전광방송 매체의 운영 및 옥외광고 전략 실행을 위한 실무적/제도적 개선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정교,이장철,김동원,임만빈,김인홍 대한신경외과학회 1987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6 No.1
We report a case of the suprasellar arachnoid cyst with hydrocephalus which was incidental finding after minor head inhury. Preoperatively, we studied the CT cisternography through lumbar route with niopam. It revealed that the arachnoid cyst was communicated with ventricles and delayed filling and clearance pattern of the cyst. The suprasellar arachnoid cyst with hydrocephalus was treated by combined craniotomy with partial removal of the membrane wall and cystoperitoneal shunt. We reviewed the literature and discussed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suprasellar arachnoid cyst.
ASMR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검증: 수용자의 자극추구성향과 제품 특성을 중심으로
이정교,고경아 한국광고학회 2023 광고학연구 Vol.34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SMR triggers on consumer responses to TV advertising under varying kinds of products, namely hedonic and utilitarian products.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consumers' sensation seeking behavior moderates the magnitude of such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ASMR is found to be more pronounced for hedonic products than utilitarian products. Further, 3-wa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SMR, product type and sensation seeking were reported. Specifically, the result shows that two-way interaction between ASMR and sensation seeking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product type. 이 연구는 광고에서 ASMR 자극의 사용이 소비자의 광고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ASMR을 사용한 광고의 효과가 제품 유형과 소비자의 자극추구성향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ASMR 사용 여부: 사용/비사용) X 2(제품유형: 쾌락적 제품(맥주)/실용적 제품(세제)) X 2(소비자의 자극추구성향: 높음/낮음)에 따른 집단 간 요인설계를 이용한 실험이 이루어졌다. 온라인 조사회사 M사의 성인 패널들을 대상으로 전국적 무작위 층화표집(random stratified sampling) 방법을 이용해 총 223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ASMR 자극을 사용한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실용적 제품보다 쾌락적 제품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태도에 대해 ASMR 사용 여부, 자극추구성향, 제품 유형 간에 유의미한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발견되었는데, 쾌락적 제품의 경우 ASMR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자극추구성향이 높은 소비자보다 낮은 소비자에게 긍정적으로 관찰되었으나, 실용적 제품의 경우에는 반대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SMR 사용에 관심을 가진 광고주나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보다 효율적인 타깃팅과 광고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정교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86 계명의대학술지 Vol.5 No.2
Two patients of communicating hydrocephalus were treated by the lumboperitoneal shunt. The lumboperitioneal shunt provided an attractive and technically simple solution in communicating hydrocephalus. Additionally, lumboperitoneal shunting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mary mode of treatment in communicating hydrocephalus. The efficacy of this procedure was documented and literature was reviewed.
이정교,구은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07 기초조형학연구 Vol.8 No.1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information is contributed to changing our social and culture environment. The high-speed development of economy and technology frees us from their simple “Work”. Also, our tasks and life environment require a new life pattern. Therefore, there are some projects in actively progress to provide complex themed environments within a city that will provide people with continuous fresh experiences and stimulate imagination by using a variety of elements from city life environment. One of the choices to accomplish this project is Outdoor Advertising. As the outdoor advertising in a themed environment takes advantage of delivering the image of sculptures as well as achieving a main goal of delivering information contai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a themed environment and outdoor environment and to arrange a background for drawing conditions for outdoor advertising purpose in order to create a themed environments through the abstracted design elements. Therefore, through those processes, this study is to focus on how figurative meanings and elements of outdoor advertising have an impact on the creation of a themed environment and how they play a role in it. 과학기술과 정보문화의 발달은 사회, 문화적 환경이 급변하는데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람(사용자, 이용자)들은 고도의 경제성장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단순한 ‘일’로부터 해방되고 있으며 업무나 생활환경에서 새로운 차원의 생활 패턴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환경의 배경에서는 도시의 생활환경에 다양한 소재를 통하여 사람들에게 지속적인 또는 비일상적 경험을 제공하고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도심복합 테마환경 제공이 요구되게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동행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옥외광고물(outdoor advertising)이다. 옥외광고물은 그 주된 정보 전달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뿐 아니라 상징조형의 형태로 또한 정보커뮤니케이션 컨테이너로서 그 이미지를 전달하는 확장된 기능을 일상적 환경과 의미가 부여된(목적성이 있는) 환경에서 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첫째, 테마환경의 정의와 배경 그리고 당위성과 옥외광고물과의 상관관계를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둘째, 이론적으로 체계화된 디자인 요소들을 테마환경 조성을 위한 옥외광고물의 조건들을 구조화에 대한 해석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옥외광고물의 환경차원의 의미와 조형적 요소들이 테마환경과 어떠한 역할 관계를 수행하는지에 대한 상관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