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종시 읍・면지역의 공간계층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이자은,최재용 한국도시행정학회 2023 도시 행정 학보 Vol.36 No.1

        Sejong City has been growing as a complex city that combines urban and rural areas since its establishment in 2012. Sejong City’s new downtown area is experiencing an unusual pace of growth, while its rural areas are declining. As a resul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stratification and regions of Sejong City are changing.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spatial stratifica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s of Sejong City over the past 10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The analysis utilized the OD traffic volume, population distribution, number of basic living service establishments, and Davis functional indi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compared to 2012, there was a slight change in the spatial hierarchy, as Janggun-myeon was the only area to become more central (from the 3rd to the 2nd). In addition, as the centrality to the Dong area gradually strengthens, the centrality of the original city center, which is the Jochiwon-eup, is weakening. This indicates the need for integrated policies and rol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in the future. Sejong City needs to establish active policies such as role allocation and policy direction setting reflecting the stratified structur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plan reflecting rural spatial structure, and developing methods to provide service functions for isolated areas. 2012년 출범한 세종시는 2022년 말 기준 12개 동, 1개 읍, 9개 면지역으로 구성된 도농복합도시로 성장하고 있다. 빠른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는 신도심과 지속해서 쇠퇴하는 농촌지역이 공존하면서, 세종시의 공간계층과 지역 간의 관계가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종시가 출범한 이후 10년 동안, 도시지역의 빠른 성장이 세종시 농촌지역의 공간계층과 지역간 관계에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OD통행량, 인구분포, 기초생활서비스 사업체 수와 데이비스 기능지수를 분석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2012년 대비 장군면이 유일하게 중심성(3계층→2계층)이 강해지면서 공간계층에 약간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동지역으로의 중심성이 점차 강해지면서, 원도심인 조치원읍의 중심성이 감소하였다. 지역과의 관계도 일부지역은 주변 거점도시와 생활권을 함께하면서 세종시 내부 지역과의 관계성은 약화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세종시가 농촌공간 정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지기 위해 계층구조를 반영한 역할 부여 및 정책방향 설정, 농촌 공간구조를 반영한 통합계획 수립, 고립된 지역에 대한 서비스 기능 전달 방안 마련 등의 적극적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공유 전동킥보드 서비스 UX 연구: 사용자 참여와 동기 부여 향상을 중심으로

        이자은,김동환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amification strategies on improving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of shared electric scooter users. To this end, this study derived the user type through the first research question of how the shared electric scooter usage behavior and pulse are, and derived user tasks and scenario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 shared electric kickboard app with gamification, was tested by users to see if it helps increase user participation and form motiv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users were induced to be considerate of other users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motivational, relational, and self-expression strategies of gamifi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motivation, achievement and reward, and reward visualization strategy elements promotes user's voluntary behavior. Third, through relationship, achievement, and reward strategies, users participated to create a positive culture of shared electric scooters, drawing immediate feedback, indicating that convenience has increased.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user help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voluntary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through the use of the shared electric kickboard service with gam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 전동킥보드 사용자의 참여와 동기부여를 향상시키는데 게이미피케이션 전략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기존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 행태와 맥락은 어떠한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전동킥보드 사용자의 유형을 파악하고, 실험 연구를 위한 사용자 태스크와 시나리오를 도출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게이미피케이션이 적용된 공유 전동킥보드 앱은 사용자의 참여를 높이고 동기부여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가이다. 이를 위해 게이미피케이션 전략이 적용된 전동킥보드 앱을 설계하였고, 사용자 조사를 통해 게이미피케이션의 동기부여, 관계, 자기표현 전략이 결합되어 타 사용자를 배려해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동기부여, 성취 및 보상, 보상가시화 전략 요소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자발적인 행동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들은 관계, 성취 및 보상 전략을 통해 긍정적인 공유 전동킥보드 문화를 만들기 위해 게이미피케이션에 참여하였고, 이는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이어지며 편의성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게이미피케이션이 적용된 공유 전동킥보드 서비스는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동기부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게이미피케이션 전략이 공유경제의 긍정적인 문화 형성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The crease perception in flexible display

        이자은,이승배,배재우,이민정,임철규,하영상,이은정,최병화,홍성수,이장두,김성철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15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Vol.16 No.2

        There is a growing possibility applied to the foldable display for mobile devices because consumers want to see the big screen and they prefer mobile devices easy to carry around. However, a foldable display has crease because it generally uses laminated films or plastic substrat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experiments in which people perceive crease on the flexible display for the various display viewing environments. The result shows that subjects most easily perceived crease in a bright room and panel off-state when the folding radius is 5mm (5R). They perceived crease at an average height of 143 μm in that condition. The subjects perceived crease at an average height of 185.5 μm in the outdoor with display off condition. Also we analyzed that the subjects perceived the crease better when the folding radius of the flexible display was smaller than 5R.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new assessment method and to setting perception standards for the flexible display.

      • KCI등재

        CE-MR Angiography 검사 시 Test bolus에서의 최적의 ROI 위치

        이자은,조용범,유흥준,양선욱,서대건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2016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Vol.26 No.-

        목 적 : CE-MRA 검사 시 최적의 Scan time을 설정하기 위해 Test bolus에서 ROI 위치별 조영증강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Test bolus 기법을 통해 CE-MRA를 시행한 환자 총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상 획득 장비는 Philips 사의 3.0T 장비(Ingenia, Philips Healthcare)와 Head and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영상의 parameter는 TR/TE msec: 17/2.1msec, Flip angle 30°, 절편두께 80mm, dynamic scan time 1sec, dynamic scan 150, NEX 1 로 하였다. Test bolus영상에서 대동맥궁(12명), 총경동맥(10명), 내경동맥(10명), 동·정맥의 혼재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S상정맥동(32명)에 10mm2의 ROI를 각각 설정하여 신호강도곡선의 분포와 Peak time을 구하여 CE-MRA를 시행하였다. CE-MRA의 동·정맥의 혼재 정도의 평가는 Image J를 이용하여 MIP(maximum intensity projection)의 S상 정맥동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test, SPSS 버전 18)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내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e 사후분석을 병행하였다. 결 과 : Test bolus 영상에서 대동맥궁이 Peak time에 도달한 후 평균 1초 후 총경동맥이 Peak time에 도달하였으며 1.3초 후 내경동맥이 Peak time에 도달하였다. 이때 S상 정맥동의 신호 강도가 100%에서 250%까지 급증하는 구간은 대동맥궁이 Peak time에 도달한 후 평균 1초 후였다. S상 정맥동의 신호강도는 대동맥궁에 ROI를 설정하였을 경우(119.32±46.29) 가장 높게 나왔고, 내경동맥(84.54±18.14)과 총경동맥(72.49±22.17)순으로 낮아졌다. ROI 설정 위치에 따른 신호강도의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p-value 0.081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사후분석 병행한 결과 유의수준 0.05에서 1개의 부집단만 존재하여 각각의 ROI 설정 위치에 따른 S상 정맥동 신호강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결 론 : ROI 위치에 따른 MIP 영상의 S상정맥동의 신호강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연관성이 낮음을 나타냈다. 하지만 Test bolus영상에서의 각 부위별 ROI의 신호강도 곡선의 분포 결과에서는 총경동맥이 Peak time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S상 정맥동의 신호강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동맥궁의 신호강도곡선이 평균값과 최대값의 차이가 커 뚜렷한 분해능을 나타나 Test bolus에서의 ROI 설정은 대동맥궁에서 시행하는 것이 동·정맥의 혼재가 최소화된 영상을 획득 할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공공의 노후 저층주거지 관리방안

        이자은 SH공사 도시연구원 2020 주택도시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find public management support for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areas that have been exposed to physical and social decline for a long time. Guro4-dong and oryu1-dong in Guro-gu are selected as case areas in consideration of old age, exclusion from public support, and policy prioriti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se area were derived from the status survey and data analysis. Moreover, surveys on residents’ awareness were conducted to draw management plans and public roles to improve the local environment. Accordingly, the management plan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four steps. In the beginning stage, the public sector should attract residents’ attention by finding available resources in the region and creating spaces as per the resident’s requirements. Available resources could be empty houses, low-use facilities, parking lots, and elementary schools. The next step should involve the encouragement of self-housing repair. It can be expected to be managed by the community eventually.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s. It is possible to use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utilize ‘urban regeneration LAB’, using the resources of Guro-gu and attract ‘local home repair support center’ as a base for home repair support. 본 논문은 기반시설의 노후화, 범죄와 안전에 대한 위험, 공동체 해제 등 물리적ㆍ사회적 쇠퇴에 장기간노출된 노후 저층주거지를 대상으로 공공성 확보를 전제로 한 공공의 적절한 지원과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주거환경개선이 필요하지만 대안사업이 중단되었거나(오류1동), 외국인 밀집지역(구로4동) 등 사회적 특성으로 인해 대안사업으로 관리가 어려운 지역을 대상으로 주민의식조사를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4단계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사례지역은 물리적 노후도와 공공지원의 소외, 정책적 우선순위 등을 고려하여 구로구의 오류1동과 구로4동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4단계 관리방안의정책적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결과, 공공이 레버리지 역할을 수행하여 지역의 활용 가능한자원을 찾아내어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주민의 관심을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수 있는 4단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치구 자원을 활용한 장기미집행시설 우선보상, 통합관리체계 마련, 도시재생LAB 활용 등의 정책제언과, 중앙정부와 서울시 자원을 활용하여 지원할 수 있는, 가꿈주택 연계 맞춤형 마을단위 시범사업 제안, 지역집수리지원센터를 유치를 통한 집수리지원 거점활용, 학교시설 복합화 기획 및 활용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영국 도시재생의 지역사회 참여 성숙화 과정과 정책적 함의: Nabatchi의 시민참여 스펙트럼 수정모델을 중심으로

        이자은,서순탁 국토연구원 2018 국토연구 Vol.98 No.-

        도시재생에서 지역사회의 참여는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 과정으로 나타난다. 불안정한 사회에서 다양한 지역문제를 다루는 데 지역사회의 참여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임에 분명하다. 본 논문은 영국의 도시재생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참여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 그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특히 시기별로 도시재생정책에 대응하는 정부의 권한(Power)과 사회적 맥락(Context)을 고찰하고, 지역사회의 의사결정 권한수준을 Nabatchi의 참여 스펙트럼을 통해 그 특성을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한국의 도시재생정책에서 지역사회의 참여가 어떤 수준과 단계에 있는지를 진단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역사회참여의 성공을 위한 첫 단계는 1~2년 정도의 충분한 시간과 여유를 확보하여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의 대표자 또는 정보의 연결점 역할을 하는 매개자를 육성하여 지역주민들과 약하지만 직접적인 유대 관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더 많은 접촉을 창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국에서 지역사회가 주체가 되고 그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근린계획을 단계적으로 도입해볼 수 있다. 영국이 시도하고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 참여 유도정책은 모든 지역 활성화를 가져다주지는 못하지만, 영국 지역정책에서 지역사회 참여는 점점 성숙화되어 가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Community involvement in urban regeneration is shown in various forms of interaction. It is certain that community involvement in dealing with local issues is an important keywo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the issue of community involvement is being dealt with in UK’s urban regeneration. Especially it considered the power of government and social context in response to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and interpreted the level of decision-making authority through participation spectr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step for the success of community involvement is to construct trust by securing sufficient time and room for 1-2 years. Secondly, to create more contact between local residents by promoting local representatives or active citizens. It could establish a weak but direct network of ties. Finally, the neighborhood planning that the community is the main actor for the decision could be adopted step by step. Although the UK’s initiatives to encourage community involvement could not bring all local revitalization, it is worthy of notice that UK policy is becoming more mature than ever.

      • KCI우수등재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통한 주민들의 참여인식 및 행태변화 분석 - 장위동 도시재생사업 참여주민을 대상으로 -

        이자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9 國土計劃 Vol.54 No.7

        주민참여에 대한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경험적 이야기와 심리적 과정을 들여다보는 것이 중요하며, 실제를 바탕으로 수집된자료에 근거하여 주민참여의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이 참여의 경험을 통해 그들의 인식과 행태가 어떻게 변화하고,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정밀하게 관찰하여 참여의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한다. 또한 주민참여라는 수사학적 표현이 실제 현장에서는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주민참여가 지역수준에서 잘 작동되지 못하는이유를 경험적 연구를 통해 밝히고, 현재 도시재생에서 주민참여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참여’의 괴리를 줄여줄 수 있는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주민참여의 상대적 위치는Nabatchi(2012)의 주민참여 스펙트럼 수정모델을 채택하여 참여의 수준, 의사결정 권한의 정도, 소통의 정도 등을 판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