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적 정체성과 부도덕한 행동 - 거짓된 도덕적 정체성이 도덕과 교육에 주는 함의 -

        이인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83

        이 연구는 도덕적 정체성이 도덕적 실패를 가져올 수 있는 심리적 메커니즘에 주목하면서, 이를 설명하기 위해 모시먼이 제안한 거짓된 도덕적 정체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모시먼은 자신을 도덕적인 인간으로 설명하는 사람, 그리고 자신이 견지한 도덕적 신념에 헌신하는 사람도 얼마든지 부도덕하게 행동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자신을 도덕적인 인간이라고 인식하면서 부도덕하게 행동하는 현상을 거짓된 도덕적 정체성이라고 규정하였다. 정체성, 도덕적 정체성, 그리고 거짓된 도덕적 정체성에 대한 모시먼의 관점을 살펴본 후, 본 연구자는 도덕적 정체성의 형성을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는 우리나라 도덕과 교육의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by which moral identity leads to moral failure, that is, the false moral identity proposed by Moshman. Moshman argues that even people who define themselves as moral people and who are committed to their moral beliefs can still behave immorally. And he defined the phenomenon of behaving immorally while perceiving oneself as a moral person as a false moral identity. After examining Moshman's viewpoint on identity, moral identity, and false moral identity, I broadly summarized the directions of moral education with the formation of moral identity as an important goal into two categories.

      • KCI우수등재

        PET-g-AA/MA의 Ce(III) 킬레이션

        이인태,김영호,고석원,Lee, In-Tae,Kim, Yeong-Ho,Go, Seok-Won 한국섬유공학회 1987 한국섬유공학회지 Vol.24 No.2

        Pet film which had been graft polymerized with acrylic acid(AA)/methacrylic acid(MA) was chelated with cerium(III). Cerium content in chelates of PET-g-AA/MA chela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pH, concentration of Ce(III), chelating time and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chelation. The thermal stability, the fastness to washing, and the frictional static electricity of Ce(III)-chelated PET-g-AA/MA were also studied. Ce content of the chelated PET-g-AA/MM was increased as increasing chelating temperature, Ce(III) concentration, and chelating time. But the pH of the chelating solution did not affect the chelation. Ce(III)-chelated PET-g-AA/MA film was decomposed at about 350$^{\circ}C$ and the binding between Ce(III) and carboxylic group was sufficiently stable to alkaline hydrolysis. The frictional static electricity of PET-g-AA/MA, chelated with small amount of cerium, was decreased distinctly.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인류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인태,박균열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6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도덕적 공동체 의식 중, ‘다양성 수용’이 작 동하는 방식에 대하여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도덕적 공동체 의 식을 체계적으로 형성하게 되는 초등학생들이 자신을 ‘인류’라는 사회 적 범주로 정의하는 ‘인류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다양성 수용의 결과 로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 했다. 연구 결과, ‘모든 인류 성원과의 동일시’(IWAH) 수준이 높은 학 생일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 점수가 더 높았다. 또한 인류 성 원으로서의 정체성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 다. 이러한 경험적 근거를 토대로 본 연구는 상위의 사회적 범주에 토대를 둔 재범주화, 종국적으로는 ‘인류’라는 최상위 사회적 범주로 자 신을 정의하는 인류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도덕적 공동체 의식의 ‘다 양성 수용’의 측면을 설명하는 심리적 기제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acceptance of diversity’, an aspects of moral consciousness of community.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Identification With All Humanity’(IWAH) on the attitude toward defectors from North Korea. As a result, The more strongly students identified themselves with humanity, the more positive their attitude toward defectors from North Korea became. In addition, the increased level of Identification With All Humanity had influence on improving attitude toward defectors from North Korea.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the author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recategorization, especially ‘Identification With All Humanity’,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for the acceptance of diversity of the moral consciousness of community.

      • 윤리적 성찰의 심리적 기제로서 윤리적 사후가정사고의 효과에 대한 연구

        이인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성찰이 작동하는 심리적 기제로서 윤리적 사후가정사고의 효과에 대하여 경험적으로 탐색해보았다. 연구 결과, 비도덕적인 경험에 대한 추가형·상향적 사후가정사고를 생성한 학생들은 사실적 사고에 초점을 맞춘 학생들에 비해 죄책감 및 도덕적 권장 행동에 대한 지각 점수가 더 높았다. 그리고 사후가정에 의해 높아진 죄책감 상태는 비도덕적인 상황에 대한 향상 의지를 동기화키며, 이때 도덕적 권장 행동에 대한 명확한 지각은 향상 의지를 보다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덕적인 경험에 대한 삭제형·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사실적 사고에 비해 학생들로 하여금 감사의 정서를 더 많이 느끼게 하고, 도덕적 금지 행동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지각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높아진 감사 상태와 도덕적 권장 행동에 대한 지각은 도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지를 강화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경험적 근거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성찰의 한 가지 방법으로 윤리적 사후가정사고를 활용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윤리적 성찰의 목적 혹은 수업의 목표에 따라 활용하고자 하는 윤리적 사후가정사고의 유형이 달라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 요소를 활용한 도덕과 봉사학습용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적용

        이인태,정창우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7 No.1

        본 연구는 도덕적 정체성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봉사학습 모형에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SNG 요소를 결합하여 도덕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도덕 수업에 적용해본 결과, 이 자료는 학생들의 도덕적 동기화 점수를 소폭 상승시켰고, 참여도 점수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1)에서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이 도덕 수업에 봉사학습 모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는데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계 및 개발한 봉사학습용 교수-학습 자료와 이를 기반으로 한 봉사학습 전개 과정은 현장의 교사들이 봉사학습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보다 효과적, 효율적, 매력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platform)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learning-instructional materials ultimately beneficial to moral education, using SNG, which stimulates social interactions in a service-learning model contributive to the formation of moral identity.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developed learning-instructional material showed that the materials increased students' moral motivation scores a little bit, and the students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participation scores. In addition, the materials were contributive to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a service-learning model in the context of moral education. For these reasons, we expect that the learning-instructional materials and activities guide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play a crucial role in providing moral educators with useful tools to implement a more effective, efficient, and engaging way, connecting moral education curriculum with service-learning.

      • KCI등재

        서비스업에서 신뢰가 고객의 역할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주인의식과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인태,최진용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6

        [Purpose]In the service industry, customers are perceived as partial employees. Because custom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ervice delivery process, unlike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ere customers simply consumes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concept of the psychological ownership in customer behavior of service marketing and demonstrate antecedent and consequences of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customer. [Methodology]In this study, seven hypothes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customer trust, psychological ownership, commitment, and extra-role behaviors in 232 people and verified our hypothe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Findings]As a result of this, it is confirmed that the customer has psychological ownership and it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customer trust. And customer commitment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customer trust and this psychological state. Also, customer’s psychological ownership and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trust and customer’s extra-role behavior. [Implications]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psychological ownership of customers by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trust, psychological ownership, commitment, and extra-role behavior. And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marketing managers of service industry by introducing customers’ psychological ownership. [연구목적]인사․조직 분야에서는 종업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조직에 몰입하는 원동력이 되며 그 결과 종업원은 조직을 위한 역할외 행동을 행한다고 보고 있다. 여기서 심리적 주인의식이란 실제로는 조직에 대한 소유권이 없지만 “내 직업”, “우리 조직”과 같은 표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심리적으로 주인의식을 갖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서비스 분야에 있어 고객은 임시 종업원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이 갖게 되는 심리적 주인의식의 선행요인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고객 신뢰와 고객이 느끼는 심리적 주인의식, 고객 몰입, 역할외 행동의 인과관계를 실증하기 위한 7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또한 서비스 기업의 고객 232명을 대상으로 개별 구성개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고객에게도 심리적 주인의식이라는 심리상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심리상태는 고객 신뢰로부터 영향을 받는 한편 고객 몰입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심리적 주인의식과 고객 몰입은 고객의 역할외 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의 결과는 고객의 심리적 주인의식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시함과 더불어 서비스 현장에 있는 실무자들에게 고객이 갖는 서비스 조직에 대한 소유의식의 중요성과 관련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도덕적 경험의 회상 유형이 도덕적 정체성의활성화와 기부 의도에 미치는 효과

        이인태 한국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30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recalling types of moral experiences(reflective thinking vs realistic thinking) on activation of moral identity and prosocial behavioural wil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students in the group who generated reflective thinking on moral experienc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internalization of moral identity and intention to donate than students in the group that generated realistic thinking. Based on such empirical grounds, I argued that reflective thinking activates moral identity and induces consistent behavior consistent with moral self-perception. Realistic thinking, on the other hand, acts on the effects of moral cleansing and licensing and produces compensatory behaviors contrary to moral self-perception. 본 연구는 도덕적 경험의 회상 유형, 즉 성찰적 ․ 반성적 사고와 사실적 사고가 도덕적 정체성의 활성화와 친사회적 행동 의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경험적으로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과거의 도덕적 ․ 비도덕적 경험에 대한 성찰적 ․ 반성적 사고를 생성시킨 집단의 학생들은 사실적 사고를 생성시킨 집단의 학생들에 비해 도덕적 정체성 내면화 점수와 기부 의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경험적 근거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찰적 ․ 반성적 사고가 도덕적 정체성을 활성화시켜 도덕적 자기 인식에 부합하는 일관된 행동을 유도하고, 사실적 사고는 도덕적 정화와 허가의 효과를 작동시켜 도덕적 자기 인식에 상반되는 보상적 행동을 산출한다고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