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외식업장에서의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연구 -프라이버시 계산이론 및 제도이론의 통합적 적용-

        이은지,김혜민,김진영,구철모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7

        With the COVID-19 outbreak, South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QR(Quick Response)-code based registration system for the patrons at high-risk facilities. While the use of digital tools was complimented as an exemplary case of an effective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for contact tracing, it has also raised concerns for individuals' privacy. This study aims to unveil the drivers and inhibitors underlying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on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PID) to restaurant visitors. Considering the specific context of COVID-19, we noted that the willingness of PID is driven by (1) intrinsic factors (perceived risk and benefit) and (2) extrinsic factors (subjective norm and government pressure). Privacy calculus theory and institutional theory were used to establish a conceptual mode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as examined by using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311 respon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entry log system at restaurants. We found that individuals' attitudes to PID are affected by perceived risk, perceived benefit, and subject norm. Government pressure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by expanding privacy calculus theory to integrate institutional theory in deriving useful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COVID-19. Specifically,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 for the governmental policy settlements under the pandemic situation. Our findings contribute to acknowledging efficient strategic guidelines to prevent the epidemic infection. 개인정보 활용은 코로나 19방역을 위한 효과적인 방편으로 평가받지만, 동시에 개인의 프라이버시 손실 및 우려와 같은 새로운 사회문제를 발생시켰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외식업장에서의 개인정보 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감염병의 위협 하에 개인정보 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촉진요인(인지된 이익, 주관적 규범, 정부의 압력)·저해요인(인지된 위험)을 내적, 외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내적, 외적 요인의 구분을 위해 프라이버시 계산이론과 제도이론의 통합적 적용을 시도하였으며, ‘촉진·저해 요인-태도–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개인정보 공개 경험이 있는 외식업장 방문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311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촉진 요인인 인지된 이익과 주관적 규범은 개인정보 관련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해 요인인 인지된 위험 또한 개인정보 관련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한편, 정부의 압력은 개인정보 관련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 관련 태도와 행동의도 간의 강한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새로운 사회문제에 대해 외식업장 방문객의 태도와 행동에 대한 인자를 보다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이해함으로서 국가 차원의 정책 방향성 및 방역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서비스산업 서비스품질 제고를 위한 종단적 연구

        이은지,조철호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3 한국서비스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o identify its estimation differences of service quality factors which are focus on KS-SQI(Korean Standard-Service Quality Index). We use these model"s scores have been selected to analyze the data in the past 13 years(2000-2013). The results show that KS-SQI scores increased with time increasing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1 group(2000-2005), 2 group(2006-2010) and 3 group(2011-2013). Second we could find differences for type of business and companies which are evaluated by the survey of KS-SQI. From managerial perspectiv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firm need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Discussion of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escribed along with future service industry.

      • KCI등재

        플래시 스토리지의 성능 지연 방지를 위한 비휘발성램 기반 쓰기 증폭 감소 기법

        이은지,정민성,반효경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6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4

        플래시 메모리는 초소형 전자기기부터 미디어 서버에 이르기까지 현대의 다양한 시스템에서 스토리지로 활용 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의 쓰기 증폭 (Write Amplification)은 가비지 컬렉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불규칙적인 성능 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갑작스러운 속도지연은 실시간성 미디어를 위한 스토리지 시스템에서 치명적인 단점 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비휘발성램을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의 버퍼캐시로 사용하고 두 계층 간의 협동적 데이터 관리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의 쓰깆 WAF를 절감하는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비휘발성램에 캐쉬된 데이터는 플래시 메 모리에서 가비지 컬렉션 수행 시 복사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은 복사되는 페이지의 수를 감소시켜 스토리지의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제안된 기법은 ssdsim 시뮬레이터에 구현되었으며 WAF와 응답시간의 표준편차를 각각 51.4% 와 35.4% 개선할 수 있음을 보인다. Write amplification is a critical factor that limits the stable performance of flash-based storage systems. To reduce write amplification, this paper presents a new technique that cooperatively manages data in flash storage and nonvolatile memory (NVM). Our scheme basically considers NVM as the cache of flash storage, but allows the original data in flash storage to be invalidated if there is a cached copy in NVM, which can temporarily serve as the original data. This scheme eliminates the copy-out operation for a substantial number of cached data, thereby enhancing garbage collection efficienc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reduces the copy-out overhead of garbage collection by 51.4% and decreases the standard deviation of response time by 35.4% on average.

      • KCI등재

        미세먼지 없는 학교 위치 선정 Model Eliciting Activity(MEA)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과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이은지,남윤경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문제 해결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Model Eliciting Activity (이하 MEA) 활동을 개발하고 실제 고등학교 수업에 적용하여 융합적 문제해결력과 환경 소양, 수업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역할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MEA활동의 주제는 미세먼지 청정학교 위치 선정하기이며, 수업 내용은 지구과학Ⅰ 대기의 운동과 순환 단원에 미세먼지에 관한 내용에 기반하여 구성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79명의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였으며 융합적 문제해결력 검사지, 환경소양 검사지와 학생들의 인터뷰를 주요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그 결과 미세먼지 청정학교 위치 선정 MEA활동 이후 융합적 문제해결력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의 융합적 성향, 융합적 사고, 융합적 소양의 영역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MEA활동 이후 환경 소양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환경소양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기능, 실천, 참여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력과 환경적 실천, 환경적 참여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서 발효된 김치의 품질 특성

        이은지,박소은,한귀정,강순아,박건영,최혜선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0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7 No.6

        Kimchi was fermented in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in glazed onggi (Korean ethnic earthenware) or glass bottles at 5℃ for 8 weeks. During 4 weeks of storage, kimchi fermented in the permeability-controlled container showed a stable fermentation pattern, in terms of changes in pH and acidity, compared with kimchi fermented in the other containers. With respect to changes in bacterial counts, kimchi fermented in polyethylene containers showed vigorous multipl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especially Lactobacillus sp., but slow growth of total aerobic bacteria. The springiness of kimchi fermented in the polyethylene containers was optimal (about 10% more than that of glass bottle-fermented kimchi),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and hardness of container-fermented kimchi were excellent upon sensory evaluation. The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kimchi fermented in polyethylene containers was also greater (91%) than that of kimchi fermented in glazed onggi (73%) or glass bottles (63%). The O2 and CO2 permeabilities of the polyethylene containers were higher (458 and 357 mmol h-1 m-2 atm-1, respectively) than were those of the other containers; the permeability ratio was 0.8. Glass bottles showed no perme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may be used for kimchi fer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