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은정,김태훈,Lee Eunjung,Kim Tae-H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2 No.6
XML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수단으로 활발히 도입되면서 XML 데이터 관리를 위한 사용자 입력 폼 인터페이스의 자동생성 기술이 웹기반 응용의 구축이나 웹 서비스 클라이언트 개발에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TD의 XML 구조 정의에 기반하여 XForms 언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이고 반복적인 XML 데이터의 특징을 고려하여 반복부에 대한 삽입 삭제를 허용하는 반복부 편집 행위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XForms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기술하였다. 또한 생성된 코드는 새로운 웹 폼 표준 언어인 XForms를 목적 언어로 하여 MVC(Mudel, View, Control) 구조를 가진다.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Orbeon 프리젠테이션 서버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코드생성기 XFormsGen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As XML is more proliferate as a data type between internet programs, automatic generation methods of user input form interfaces get more attention. Recently, generating user interfaces for web application or web service clients become very popular. In this paper, we study the method of automatic generation for XForms-based user interface codes based on XML structure definitions in DTD. With the repetitive edit action model, we present a formal generation method of Input form codes and the overall user interface pages. For the generated code is using XForms as a target language, the result is clear and efficient with the MVC structure. Also, we have developed XFormsGen system which implements the proposed method over the Orbeon presentation server.
이은정,Lee Eunj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7
XML 트리를 공유하면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수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부분 트리의 삽입/삭제가 공유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트리 데이터의 구소 변경 행위에 대한 통시성 제어가 가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DTD 문서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XML 트리의 반복부에 대해서만 부분 트리의 삽입/삭제가 가능한 리스트 데이터 공유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리스트 데이터 공유 모델은 구조 변경 행위의 적용 결과가 항상 유효하며,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문서의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다. 리스트 데이터 공유 모델에서 반복부 자식 노드 리스트를 잠금의 대상으로 하는 리스트 잠금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이 잠금 프로토콜은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여 훨씬 간단하면서 적은 수의 잠금 객체만을 다루며, 높은 접근성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공유되는 XML 트리의 삽입 및 삭제는 흔히 반복부 데이터에 대해서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제안된 모델은 터미널 노드 데이터 값에 대한 기존의 접근제어 방법과 함께 사용하였을 때 효과적인 데이터 공유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or sharing XML data by many users, a way of concurrency and access control is required for isolating update actions such as inserting and deleting subtrees. Exisiting locking mechanisms as 2PL or MGL suffer low concurrency when applied to tree structures. In this paper, list data subtrees model is proposed based on the semantics expressed in DTD. In this model, tree updating actions such as inserting and deleting subtrees are considered only for the repetitive parts of XML trees. The proposed model guarantees that the result XML tree after applying a tree updating action is always valid, even when multiple users access the tree at the same time. Also, a new locking mechanism called list lock-ing protocol is proposed. The new locking protocol is expected to show better accessility with less number of locking objects compared to the Helmer's OO2PL model. Since update actions on a shared XML tree usually applied to the repetitive parts of the tree, the proposed model is expected to provide a useful way for efficient data sharing when combined with previous locking methods on terminal node data.
독서수준과 학습만화 이용행태가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이은정,김기영,Lee, Eunjung,Kim, Giyeo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tep-by-step educational comic book behavior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reading levels on their learning competencies. To this end, qualitative research with focus group and deep interviews was conducted with students on different reading levels. During their repetitive reading activities, the students tended to use various educational comics within the same subjects area on their corresponding reading levels. Such behavior led the students to further read other books than comics in the similar subjects areas, and by doing so, the books acted as an important reference to the students' class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such behavior has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learning competenci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supportive to develop self-study methods and effective reading guidance plans by improving the usage of educational comics.
이은정,Lee Eunj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1 No.6
모바일 환경에서 여러 사용자가 XML 트리를 공유하는 응용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XML 트리를 낙관적인 중복 방식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공유하려면 동시에 수정된 데이터를 협상하여 하나의 버전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특히 XML 트리의 부분 트리를 삽입/삭제한 구조 변경 행위들을 협상하기 위해서는 트리의 노드 매핑과 비교 과정이 필요한데, 이것은 O(n$^2$)의 복잡도를 가지는 문제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응용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 기반의 충돌 해결 방식이 도입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XML 트리의 편집 기록(edit script)을 협상하기 위한 효율적인 협상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XML 데이터 공유 모델로서 문서타입에서 반복부에 해당하는 부분만 삽입과 삭제를 허용하고 반복부의 부분 트리들이 형제들과 구분되는 키 값을 가지는 리스트 공유 모델을 이용한다. 이러한 리스트 공유 모델은 구조 변경 행위가 항상 문서의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키 기반의 리스트 협상을 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협상 알고리즘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리스트 공유 모델에서 서로 키의 충돌이 없는 편집 기록에 대해 편집기록의 길이를 m이라 할 때 O(m)복잡도를 가지는 협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기존 트리 협상 방법이 키의 충돌이 없는 경우 트리 크기에 선형 비례하는 시간 복잡도를 가지므로 제안된 방법은 모바일 환경에서 효과적인 협상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Sharing XML trees on mobile devices ha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Optimistic replication of XML trees for mobile devices raises the need for reconciliation of concurrently modified data. Especially for reconciling the modified tree structures, we have to compare trees by node mapping which takes O($n^2$) time. Also, using semantic based conflict resolving policy is often discussed in the literature. In this research, we focused on an efficient reconciliation method for mobile environments, using edit scripts of XML data sent from each device. To get a simple model for mobile devices, we use the XML list data sharing model, which allows inserting/deleting subtrees only for the repetitive parts of the tree, based on the document type. Also, we use keys for repetitive part subtrees, keys are unique between nodes with a same parent. This model not only guarantees that the edit action always results a valid tree but also allows a linear time reconciliation algorithm due to key based list reconciliation.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takes linear time to the length of edit scripts, if we can assume that there is no insertion key conflict. Since the previous methods take a linear time to the size of the tree, the proposed method is expected to provide a more efficient reconciliation model in the mobile environment.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4년제 대학 중도탈락률 예측 요인 탐색: 대학 수준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이은정 ( Eunjung Lee ),송영수 ( Youngsoo Song ),김지하 ( Jiha Kim ),오수현 ( Suhyun Oh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1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dropout rate of 4-year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an institutional level.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trend analysis of the dropout rates from 2016 to 2018 using higher education public disclosure information and developed a random forest model predicting the dropout rate of 4- year universities. In this prediction model, 14 variables consisting of 6 factors(e.g. university characteristics, social reputation, faculty research, educational investment, class condi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applied. The percentage of explained variance in the model turned out to be 63.4%. It was found that the dropout rate of 4-year universities remain stable for 3 years from 2016. All 14 variables applied to the prediction model exceeded the minimum standard value for the interpretation of predictive power. The top 5 determinants predicting the dropout rate were research fund benefits per faculty member,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per faculty member, acceptance rate, the number of students,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planning strategic policies based on periodic management of educational performance index at the institutional level for improving the dropout rate of 4-year universities.
『세계사』 교과서 속의 오스만 제국과 2015 개정 교육과정
李銀貞(Lee, Eunjung) 역사교육연구회 2017 역사교육 Vol.142 No.-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Ottoman Empire is treated in the world history curriculum and textbooks of Korean high school. Generally, the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s well as the West Asian region or Islam world in the world history textbooks has been described to be too succinct and superficial, and sometimes erroneous and stereotyped from the Eurocentric and Orientalist viewpoint. So the world history curriculums for 2007 and for 2011 mirrored the ‘Global History’ perspective which raises doubt on Eurocentrism and bases o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history through vigorous regional interactions to overcome this Eurocentric approach. The consequences of analysis of world history textbooks show that contents and descriptive ways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Ottoman Empire are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bandoned the global historical viewpoint because the former is too unfocused and enormous in volume for the students and teachers to adapt to. Moreover, by excluding Africa and Southeast Asia from the curriculum and making the history of India-West Asian region described from a religious standpoin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uses concerns.
유통점포의 효율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사 패션 소매유통점을 중심으로
이은정(Eunjung Lee),홍재범(Jaebum Hong) 대한경영학회 2021 大韓經營學會誌 Vol.34 No.9
본 연구는 패션 소매유통점을 대상으로 효율성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표본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패션기업 A사의 가두 대리점 104개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효율성 분석을 위해 DEA 모형을 활용하였다. 투입변수는 임차료, 직원수, 입점브랜드 수로 설정하였으며, 산출변수는 매출액과 고객 수이다.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토빗(tobit)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기술 효율성(TE), 순수기술 효율성(PTE), 규모 효율성(SE)이며, 독립변수는 입지특성, 점포특성, 점주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입지특성은 인구밀도, 타겟연령 유동인구 비율, 경쟁브랜드 수, 점포특성은 면적과 전면길이 그리고 점주특성은 운영 기간과 점주 역량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타겟연령 유동인구 비율, 경쟁브랜드 수, 면적, 전면길이, 점주 역량이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타겟연령 유동인구 비율이 높을수록 경쟁브랜드의 수가 적을수록, 점포의 면적이 넓고 전면길이가 길수록 순수기술 효율성(PTE)이 높아진다. 점포면적이 넓어지면 순수기술 효율성(PTE)은 낮아지지만, 규모 효율성(SE)은 높아진다. 점주 역량이 높으면 모든 효율성이 높아진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패션 소매유통점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는 소매유통점 효율성 연구의 범위를 확장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가 있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개별 영업점 효율성 제고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Efficiency was measured for fashion retail stores and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it were analyzed. From 2017 to 2019, 104 street agencies of fashion company A were targeted. For efficiency analysis, the DEA model was used. Input variables were rent,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he number of brand stores, and the output variables were sales and the number of customers. Factors affecting the efficiency were analyzed using the tobit regression model. Dependent variables were technological efficiency (TE), pure technology efficiency (PTE), and scale efficiency (SE),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location characteristics, store characteristics, and store owner characteristics. Location characteristics were set as population density, target age floating population ratio, number of competing brands, store characteristics as area and front length, and store owner characteristics as operating period and store owner compet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arget age floating population ratio, the number of competing brands, area, front length, and store owner competency affect efficiency. Specifically, the higher the ratio of the target ag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smaller the number of competing brands, the larger the store area and the longer the front length, the higher the pure technology efficiency (PTE). The larger the store area, the lower the pure technology efficiency (PTE), but the higher the scale efficiency (SE). All efficiencies are high when the owner’s competency is high. This study analyzed the efficiency and identified the determinants of fashion retail stores, which had not been studied so far. This has academic significance as it expands the scope of retail efficiency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help improve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branches.
생존분석을 적용한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시점 영향요인 분석 : S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은정(Eunjung Lee),송영수(Youngsoo Song),오수현(Suhyu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해 적시에 대학차원에서의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4년제 사립대학인 S대학교의 2018학년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24개월 동안 관찰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도탈락 시점에 대한 생존분석을 시행하였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중도탈락 확률의 추세를 살펴보기 위해 카플란 마이어 생존 함수 곡선을 도출하여 중도탈락 최초 발생 시점과 위험률을 확인한 다음, 콕스비례위험모형 분석을 통해 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대학생활 적응, 교육기관 만족 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입학 이후 신입생 기간 동안 중도탈락한 학생의 수는 24개월의 관찰 기간 중 중도 탈락한 전체 인원의 89.1%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중도탈락 위험률이 가장 높은 시점은 2학기가 마무리 되는 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 요인의 정서안정성과 대학기관 만족 요인의 전공 교육 내용의 효과성은 중도탈락 시점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학생활 적응 요인 중 경제적 여건은 중도탈락 시점을 가속화하는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신입생 중도탈락 징후의 조기 발견 및 선제적인 개입책 적용의 필요성과 신입생의 안정적인 대학생활 및 학업 수행을 위한 정서적, 학업적 영역에서의 지원의 중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중도탈락을 개선하기 위해 개입책을 적용해야 하는 적절한 시점과 지원 방향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imely support at the university level to prevent student departure. To this end, a surviv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freshmen observed for 24 months at a four-year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adjustment, and institution satisfaction factors on the timing of student depar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89.1% of the dropouts that occurr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ake place within a year after admission. The highest risk rate of student departure was recorded to be near the end of the second semester. While the effectiveness of major educ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have been found to have the effect of delaying the time of student departure, economic condition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ccelerating the time of student departure. Based on this, it suggested the need for offering preemptive intervention to prevent student departure at a timely manner, and the importance of services on emotional support and academic performance to help freshmen adapt to universit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