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탄소 나노 물질의 형상에 따른 구리/탄소나노물질 하이브리드 필러의 전도성 향상 거동 분석
이연주,홍성욱,최현주,Lee, Yeonjoo,Hong, Sung-uk,Choi, Hyunjoo 한국분말야금학회 2018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5 No.5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 a conductive copper/carbon nanomaterial additive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orphologies of the carbon nanomaterials on the conductivities of composites containing the additive. The conductive additive is prepared by mechanically milling copper powder with carbon nanomaterials, namely,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and/or few-layer graphene (FLG). During the milling process, the carbon nanomaterials are partially embedded in the surfaces of the copper powder, such that electrically conductive pathways are formed when the powder is used in an epoxy-based composite. The conductivities of the composites increase with the volume of the carbon nanomaterial. For a constant volume of carbon nanomaterial, the FLG is observed to provide more conducting pathways than the MWCNTs, although the optimum conductivity is obtained when a mixture of FLG and MWCNTs is used.
이연주(Lee Yeonjoo),이동욱(Lee Dong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대학의 말하기 교육은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목표와 내용 및 교수법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말하기의 평가나 효과와 관련된 연구는 말하기의 휘발적 속성과 화자와 청자의 변수로 어려움이 큰 분야 중 하나이다. 이 연구 는 말하기 수업의 효과적 운영과 평가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참여 학생의 말하기 능력을 본인평가와 청중평가로 실시하고 이를 사전-사후 검증하였다. 측정결과, 말하기 영역의 특성과 평가 주체에 따라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말하기 영 역 중에서 ‘내용구성영역’이 ‘표현 및 전달영역’보다 높은 평균의 증가가 있었다. 본인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평균이 증가하였으나 청중평가에서는 표현 및 전달역량에서 약간의 감소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말하기 수업에서 내용구성 영역에 비해서 표현 및 전달영역의 향상이 어려우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업구성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 평가 시에 본인평가와 청중평가의 비중을 달리 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자와 같은 전문가의 평가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효과적인 말하기 수업과 평가를 위하여 평가자의 특성을 고려해야하고 말하기의 영역에 따라 수업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한데 의의가 있다. Speaking education in college has grown rapidly in quantity, and discussions on goal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re actively underway. However, studies related to the evaluation and effects of speech are difficult because of the volatile nature of speech and the variables of speaker and listener. For the evaluation of the speaking lesson, the participant s speaking ability was evaluated by the self - evaluation and the audience evaluation, and it was pre - post - verifie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ing area and also according to the audience and audience evaluation. In the speaking area, there was an average increase of content composition area higher than expression and delivery area .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elf-evaluation, but there was a slight decrease in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capacity in the audience evalu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expression and delivery area compared to the contents composition area in the speaking lesson, and suggests that the lesson composition is needed to supplement it. Also, it was suggested that the ratio of self - evaluation and audience evaluation should be different at the time of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of experts such as professors should be supported.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or for effective speaking lessons and evaluation, and to fin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lessons varies according to the area of speaking.
체육시설 주변 주거지 빛공해 특성에 따른 저감방안 연구
이연주(YeonJoo Lee),이규선(Kyu-Sun Lee),박형규(Hyung-Kyu Park),구진회(Jinhoi Gu)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국내 체육시설은 ‘체육시설의 설치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문체육시설, 생활체육시설, 직장체육시설로 사용목적에 따라 구분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법률에서 체육시설은 편의 · 안전 · 운동 등의 기준만으로 관리될 뿐 주변 환경에 대한 영향은 고려되지 않아 체육시설 주변 소음 및 빛공해에 대한 민원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체육시설 조명은 빛공해방지법의 관리대상에도 포함되지 않아 관련 연구 및 현황 정보가 부족한 실정으로 주변 주거지 침입광등 빛공해 피해가 발생하여도 이에 대한 관리대책 마련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체육시설에 대한 빛공해 현황 및 발생 특성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빛공해 저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체육시설 조명은 조명타워설치 방식과 구조물 설치방식으로 구분되며 조명타워 방식은 구조물 설치방식에 비해 주변 침입광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입광은 조명기구의 설치 방향에 따라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조명기구 설치 후 기구 방향을 조정하거나 차광체를 설치하는 등 저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바이다. Domestic sports facilities are categorized into Specialized Sports Facilities, Lifetime Sports Facilities, and Workplace Sports Facilities depending on use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s Facilities Act. According to the act, sports facilities are managed only in terms of convenience, safety, exercise, etc., but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surroundings. For this reason, civil complaints about noise around sports facilities and light pollution have continued to be raised. In particular, sports-facility lighting is not subject to the Light Pollution Prevention Act. For this reason, there is a lack of related research and information, and light pollution enters into a neighboring residential a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me up with management measur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light pollution of domestic sports facilities to find problems and to propose a plan for reducing light pollution. Sports facility lighting is divided into high-mast lighting and structure lighting. In terms of light trespass, high-mast lighting was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than structure lighting. The influence of light trespass can be decreased great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lighting. Therefore, the proposed plan for reducing light pollution is to adjust the lighting direction after installation or to install a light shield.
투영 등위 집합을 이용한 다면체 모델의 부분 매개 변수화
이연주(Yeonjoo Lee),차득현(Deukhyun Cha),장병준(Byungjoon Chang),임인성(Insung Ihm)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4 No.11·12
컴퓨터 그래픽스를 비롯한 여러 응용 분야에서 3차원 다면체 모델에 대한 매개 변수화(parameterization) 기법이 중요하게 연구되어왔다. 매개 변수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3차원 다면체 모델을 2차원 평면으로 매핑 시켜주는 문제를 고려하는데, 이러한 매핑 과정에서 종종 다각형의 세밀한 형태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거나, 텍스처 매핑 등의 기법을 적용할 때 일부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고는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왜곡 처리 방법이 연구되었지만, 3차원 물체의 임의 영역에 대한 사각형 형태의 부분 매개 변수화(local parameterization)를 수행하기에는 종종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투영 등위 집합이라고 하는 수학적 도구를 사용하여 3차원 다면체 모델의 특정 지역을 효과적으로 매개 변수화 해주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영역에 대해 등간격의 곡선을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사각형 형태의 영역에 대한 부분 매개 변수화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을 취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부분 매개 변수화 기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 후 실험 결과를 기술하도록 한다. Parameterization has been one of very important research subjects in several application areas including computer graphics. In the parameterization research, the problem of mapping 3D polygonal model to 2D plane has been studied frequently, but the previous methods often fail to handle complicated shapes of polygonal surfaces effectively as well as entail distortion between the 3D and 2D spaces.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especially to reduce such distortion, but they often suffer from the problem when an arbitrary rectangular surface region on 3D model is locally parameteriz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local parameterization scheme based on the projection level set method. This technique generates a series of equi-distanced curves on the surface region of interest, which are then used to generate effective local parameterization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new technique in detail and show its effectiveness by demonstrating experimental results.
대학 말하기 교육 교수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수업운영방안
이연주(Lee Yeonjoo),송영선(Song You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는 최근 중요도를 더해가는 대학의 말하기 교육에서 교수자가 퍼실리테이터로서 역할이 필요함을 인식하도록 돕고,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용한 효과적인 수업운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 말하기 교육과 교수자의 특징을 이론적 배경으로 검토하고, 효과적인 말하기 교육을 위해 말하기 교육의 교수자는 퍼실리테이터로서 역할 인식과 역량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또한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용한 수업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대학의 말하기 교육은 암묵적이고 절차적 지식의 특성을 가지며, 교수자는 다양한 경험과 전공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촉진자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절차적 지식으로서 말하기는 참여 학생이 다양한 말하기 상황 속에서 반복적인 말하기 경험과 피드백을 통해서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와 효과적인 팀 활동을 촉진하는 퍼실리테이터로서의 역할을 필요로 한다. 퍼실리테이션 기법은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하고 효과적인 팀 활동운영 방안을 포함한다. 대학 말하기 교육에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팀 활동과 상호 협응과정을 통해서 암묵적이고 절차적인 지식이 명시적이고 선언적 지식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말하기 교수자는 퍼실리테이션 역량을 가져야 하며,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수업에 적용하여 프로세스 설계, 프로세스 관리, 피드백과 평가 스킬을 활용하여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is study was recently conducted to help professors recognize their roles as a facilitator in the increasingly important university s speaking education and to suggest effective ways to operate classes using facilitation techniques. To this end, It is reviewed the role of the professor and the speaking education in university through prior study and derived that for effective speaking education, the professor of speaking education needed role recognition and competency as a facilitator. It also proposed a plan for class operation using facilitation technique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ior study, the university s speaking education is tacit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procedural knowledge, the professor is based on various experiences and majors and requires the role of facilitator. The nature of procedural knowledge that a participant has can improve his or her ability through repeated speaking experience and feedback in various speaking situations. Therefore, a professor needs to play a role as a facilitator to encourage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ffective team activities. The facilitation techniques also include ways to promote learning and effectively manage team activities for students. By applying the facilitation techniques to university speaking education, students can experience the transition of tacit and procedural knowledge to explicit, declarative knowledge through team activities and mutual co-ordination processes. Therefore, a speaking professor must have a competence of the facilitator and can apply a facilitation technique to a clas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by utilizing process design, process management, feedback and evaluation skills.
국내 DISC 행동유형 연구의 동향과 과제: 2004년부터 2019년 국내 학술지 기준
이연주(Lee Yeon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trends of DISC behavior styles and to provide the academic expansion and implications of future DISC behavior styles research. To this end, 91 papers published in a local academic journal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general status, reference literature and measurement tools, and analyzing research parameters and results. An average of six papers were published each year from 2004 to 2019 after analyzing papers on the types of DISC behavior. The academic field of the paper s publication varied widely across all academic areas, including medical and tourism, child care, digital cyber, beauty and consumer. The study group had the largest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followed by office workers, medical workers, and dining hotel service workers.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earch targets were diversifying into animation, movie characters and Chatbot. A total of 87%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the proportion of DISC behavior styles was collected at a rate of 18% by Dominance style, 35% by Influence style, 27% by Steadiness style, and 20% by Conscientiousness style. However, despite the maturity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research, the domestic DISC behavior style study left the task of expanding reference literature and accurate use of measurement 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