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대면 수업 및 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

        이수림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필수 교양 영어 교과목을 비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과 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비대면 및 대면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개인 변수에 따라 자기주도영어학습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을 측정하는 설문 조사를 실시했고, 신입생 284명의 자료를 IBM SPSS 27.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 영어 수업을 비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과 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들의 자기주도 영어학습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7개 하위요인 모두에서 비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평균 점수가 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7개의 하위요인 중 학습동기, 학습활동의 지속성, 학습자원 이용관리 요인에 대한 평균의 차이와 전체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둘째, 비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은 성별, 영어 어휘 수준, 영어에 대한 흥미도, 하루 평균 학습 시간이라는 개인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 평균 점수의 차이가 일정한 패턴을 보이기도 했다. 셋째, 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은 성별, 영어 어휘수준, 영어에 대한 흥미도, 하루 평균 학습 시간이라는 개인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일부 개인 변수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개인 변수의 종류에 따라 비대면 수업을 수강한학생들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과 비슷한 결과도 있었으며, 반대되는 결과도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수업 및 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발견하고, 비대면 및 대면 영어 교양 과목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Pseudocirrhosis of Breast Cancer Metastases to the Liver Treated by Chemotherapy

        이수림,장은덕,나세정,김정수,안호정,고윤호,원혜성 대한암학회 2014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46 No.1

        Pseudocirrhosis refers to a condition that shows changes in hepatic contour thatmimic cirrhosis radiographically in the absence of the typical histopathologicalfindings of cirrhosis. This condition has been observed in patients with cancermetastatic to the liver, both in those who have undergone prior systemic chemotherapyand those who have not. Pseudocirrhosis may cause difficulty in interpretationof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and hepatic decompression and complication ofportal hypertension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prognosis. We report on a case ofbreast cancer with liver metastases that showed cirrhotic changes during diseaseprogression. Progression of liver metastases was confirmed by F18 fluorodeoxy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We alsoperformed ultrasound-guided liver biopsy and confirmed tumor infiltration with severedesmoplastic fibrosis. This case suggests the pathogenesis of pseudocirrhosisthrough histopathological findings and the role of PET-CT in evaluation of the responseto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cirrhosis.

      • KCI등재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이수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9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on the relation between traumatic event type, posttraumatic growth and wisdom by the data from 247 adults by using path analysis. Besides,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variables between traumatic event type groups. At first, The results of the MANCOVA, person-related traumatic ev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personal traumatic event group in negative coping and trauma stress level, and lower in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and wisdom. The path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raumatic event type was related to wisdom by mediate factors. Traumatic event type affected wisdom through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The significant mediators were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Negative coping was not a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event typ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results show that non-personal traumatic event group are tends to have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and wisdom. In the end, we described that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본 연구는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모형에서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47명의 성인자료를 대상으로 외상경험질문지, 스트레스 대처 반응 검사, 사회적 지지척도, 외상후성장 척도, 초월적 지혜척도를 실시하였다. 먼저, 두 외상 유형 집단인 대인외상 집단과 비대인외상 집단을 비교하여 외상후성장과 외상 정도, 사회적 지지, 대처, 지혜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비대인외상집단의 사회적 지지, 긍정적 대처, 외상후성장 및 지혜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대인외상집단의 외상 정도, 회피적 대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을 경로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외상 유형이 사회적 지지, 긍정적 대처, 외상후성장을 매개로 지혜에 영향을 주었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 긍정적 대처, 외상후성장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외상 유형에서 긍정적 대처로 가는 경로와 사회적 지지에서 회피적 대처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회피적 대처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하면, 비대인외상 유형이며, 사회적 지지가 높고, 긍정적 대처를 사용할수록 외상후성장이 높고 지혜가 발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외상에 대한 개입방안,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청소년기 애착외상 경험 이후 외상후성장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이수림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 after attachment trauma in the period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from 12 adult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attachment trauma in their period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reported posttraumatic growth.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103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 Also, the central phenomenon of paradigm was demonstrated as 'encountering the necessity of change', causal condition was as 'experience of attachment trauma', contextual condition was as 'distress and affect', intervening conditions were as 'interpersonal character', 'religion', and 'social support'. A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revealed as 'reconstruction of attachment trauma', 'trial of overcoming of influence of trauma', 'action of various activity', and 'finding the new meaning'. A final result was revealed as 'finding of power and achievement', 'maturity of personal relation', 'altruism', 'improvement of positive thinking', 'improvement of coping ability', 'positive evaluation on the life', and 'unresolved problem'. This finding demonstrated the process of posttraumatic growth after attachment trauma and has significance on providing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ho have attachment trauma.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의 애착외상 경험이후 외상후성장 과정을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핵심적 경험과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애착외상을 경험하였고 그 이후 외상후성장을 보고한 성인 12명을 선발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총 103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분석 결과, 중심현상으로 ‘변화 필요성에 맞닥뜨림’이 도출되었고, 인과조건으로 ‘애착외상의 경험’, 맥락조건으로 ‘고통 및 영향’, 중재적 조건으로 ‘개인적 특성’, ‘종교’, ‘사회적 지지’가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외상에 대한 재구성’과 ‘외상의 영향을 극복하려는 시도’, ‘다양한 개인적 노력의 실천’, ‘새로운 의미 발견’이 나타났고, 결과로는 ‘내적 힘의 발견과 성취’, ‘대인관계에서의 성숙’, ‘이타주의’, ‘긍정적 사고의 증대’, ‘대처능력의 증가’, ‘삶에 대한 긍정적 평가’, ‘미해결 과제’가 나타났다. 과정분석 결과, 애착외상의 외상후성장 단계로는 ‘고통을 마주한 단계’, ‘변화로의 의지 단계’,‘수용 및 재구성 단계’, ‘노력의 단계’, ‘성장 및 의미발견의 단계’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애착외상 경험자들의 외상후성장 과정을 밝히고, 상담 개입에 대한 실제적 함의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쉼터 거주 가출 청소년의 가출 이전과 이후의 경험에 관한 연구

        이수림,송미경,김은영,손현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2

        본 연구는 가출 청소년의 가출 이전부터 가출 이후의 경험을 질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쉼터에 거주중인 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합의에 의한 질적 방법(CQR)을 사용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 청소년들의 가출 이전의 자신의 모습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지만은 않았다. 둘째, 가출 이전의 가정생활은 경제적 문제, 가정해체와 같은 가족의 구조적인 문제 외에도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나 심리적인 역동과 같은 기능적인 문제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첫 가출과 재 가출의 공통점에는 충동적인 결정, 가족문제, 주변의 지지 부족이 있었으며 차이점으로는 첫 가출 때보다 재 가출에서 청소년들은 비행, 생활고, 범죄경험 등으로 더욱 힘들고 취약해졌다는 것이다. 넷째, 가출청소년들은 쉼터의 생활과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기간 제한이 있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하였다. 다섯째, 대부분의 가출 청소년들은 가출 경험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목표를 가지고 계획을 세워 가출했던 청소년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and perspective of runaway adolescents in their lifetime. In doing so, authors interviewed eight runaway adolescents who have stayed in shelter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by CQR.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revealed that runaway adolescents recognized their self positively as well as negatively before the runaway. Their family showed relationship problem as well as structure problem including a family breakdown. The first and following runaways exhibited common reasons. However, runaway adolescents reported more delinquency, hardship in life, and crimes in their re-runaway than in the first runaway. Fourth, adolescents reported positive experiences about a shelter but dissatisfied with limitation in staying. Finally, most runaway adolescents considered their runaway experience negatively, whereas an adolescent viewed his/her runaway experience positively when (s)he has the pla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저소득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부모교육 프로그램(유아기편) 개발 요구 분석 : 드림스타트 현장전문가 포커스 그룹 논의를 중심으로

        이수림,이자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1

        Using a qualitative methodolog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needs assessment for development of a parent training program for low income families. Ten staffs of Dreamstart program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in low income families, parents' have a persecutive view of themselves and depressed. Second, there are a lot of parentless families and they have a unsanitary house environment. Third, parents tend to discipline punitively or neglectly. Fourth, children in low income families tend to having aggressive behaviors, depression, and undesirable habits. Fifth, parenting program of discipline the children has not been in Dream Start Program, so they suggested parenting program for discipline. We discussed that important components of parenting program are stress manageme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discipline education using participants' practical exercise. We also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본 연구는 드림스타트 사업 대상 저소득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드림스타트 운영 지역의 현장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저소득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한 부모교육프로그 램 구성요소를 탐색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저소득가 정 부모들은 피해의식이 강하고, 정서적으로 위축되고 우울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가 정은 조손이나 한부모 등의 결손가정이 많았고 부모들은 힘든 일들을 하고 있었으며, 가정환경은 열악하여 (영)유아에게 적절한 양육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소득가정 부모들은 자녀를 방치하거나 강압적이고 비일관적 양육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저소득가정의 (영)유아는 공 격적이고 우울하며 잘못된 생활습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드림스타트 사업에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재하며 집단상담 형태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 석을 중심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구성요소로써 중요하게 논의된 사항은 부모의 스트레스 관리, 부모 자녀 간 관계 강화, 훈육방식에 대한 실습교육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 사용자의 행동 종류를 감안한 칼로리 소모량 추정 스마트폰 앱 개발

        이수림,김영인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2018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Vol.14 No.2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est in healthy living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techniques that can measure the calories consumed in everyday life. As a result, the apps measuring calorie consumption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However, the developed mobile apps have not achieved a high level of accuracy. One of the main causes of these problems is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human activity types. We collected the data from the smartphone’s accelerometer for six types of the activities from four individuals and experimented with the random forest classifier using 10-fold cross validation. We achieved good classification accuracy and proposed a method to obtain the estimated value of caloric expenditure by using it. The proposed technique will help to estimate more accurate than the previous, and would be effectively used to analyze long-term caloric expenditure tre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