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In Vivo Location of the Vermiform Appendix in Multidetector CT
이수림,구영미,최병길,변재영 대한영상의학회 201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70 No.4
Purpose: To provide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system regarding the position of the vermiform appendix within the right lower quadrant, as seen on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differences in frequency of appendiceal position according to patient gender and the pathologic state of appendix.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0, 1157 patients were included in our final analysis: 542 patients with preoperative MDCT and subsequent appendectomy and 615 patients with visible appendix seen on MDCT performed as part of a health checkup. We classified the appendix according to its position relative to the cecum, the terminal ileum, and the external iliac vessels: type 1: antececal; type 2: preileal; type 3: postileal; type 4: subileal; type 5: subcecal; type 6: deep pelvic; type 7: retrocecal; and type 8: paracecal. Results: The relative incidence of various positions of the appendix found in all of our study patients was: type 1: 3.5%; type 2: 1.7%; type 3: 9.0%; type 4: 12.9%; type 5: 42.3%; type 6: 16.2%; type 7: 10.9%; and type 8: 3.0%. According to patient gender, type 1 (male: 3.7% vs. female: 3.3%), type 3 (8.6% vs. 9.8%), type 4 (14.3% vs. 9.8%), type 5 (47.5% vs. 32.7%), type 7 (9.2% vs. 14.4%), and type 8 (3.4% vs. 2.2%) posi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 predominance. In terms of the inflamed state, type 2 preileal (normal: 0.8% vs. inflamed: 2.8%), type 3 (10.2% vs. 7.6%), type 4 (14.0% vs. 11.6%), and type 5 (14.1% vs. 18.5%) posi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Contrary to the common assumption that the retrocecal appendix is the most common position, the in vivo appendix is seen more often on MDCT in the subcecal and deep pelvic positions. The relative frequency of various positions of the appendix can also differ according to patient gender and the pathologic state.
쉼터 거주 가출 청소년의 가출 이전과 이후의 경험에 관한 연구
이수림,송미경,김은영,손현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2
본 연구는 가출 청소년의 가출 이전부터 가출 이후의 경험을 질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쉼터에 거주중인 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합의에 의한 질적 방법(CQR)을 사용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 청소년들의 가출 이전의 자신의 모습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지만은 않았다. 둘째, 가출 이전의 가정생활은 경제적 문제, 가정해체와 같은 가족의 구조적인 문제 외에도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나 심리적인 역동과 같은 기능적인 문제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첫 가출과 재 가출의 공통점에는 충동적인 결정, 가족문제, 주변의 지지 부족이 있었으며 차이점으로는 첫 가출 때보다 재 가출에서 청소년들은 비행, 생활고, 범죄경험 등으로 더욱 힘들고 취약해졌다는 것이다. 넷째, 가출청소년들은 쉼터의 생활과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기간 제한이 있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하였다. 다섯째, 대부분의 가출 청소년들은 가출 경험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목표를 가지고 계획을 세워 가출했던 청소년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and perspective of runaway adolescents in their lifetime. In doing so, authors interviewed eight runaway adolescents who have stayed in shelter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by CQR.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revealed that runaway adolescents recognized their self positively as well as negatively before the runaway. Their family showed relationship problem as well as structure problem including a family breakdown. The first and following runaways exhibited common reasons. However, runaway adolescents reported more delinquency, hardship in life, and crimes in their re-runaway than in the first runaway. Fourth, adolescents reported positive experiences about a shelter but dissatisfied with limitation in staying. Finally, most runaway adolescents considered their runaway experience negatively, whereas an adolescent viewed his/her runaway experience positively when (s)he has the pla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비대면 수업 및 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
이수림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필수 교양 영어 교과목을 비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과 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비대면 및 대면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개인 변수에 따라 자기주도영어학습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을 측정하는 설문 조사를 실시했고, 신입생 284명의 자료를 IBM SPSS 27.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 영어 수업을 비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과 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들의 자기주도 영어학습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7개 하위요인 모두에서 비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평균 점수가 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7개의 하위요인 중 학습동기, 학습활동의 지속성, 학습자원 이용관리 요인에 대한 평균의 차이와 전체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둘째, 비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은 성별, 영어 어휘 수준, 영어에 대한 흥미도, 하루 평균 학습 시간이라는 개인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 평균 점수의 차이가 일정한 패턴을 보이기도 했다. 셋째, 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은 성별, 영어 어휘수준, 영어에 대한 흥미도, 하루 평균 학습 시간이라는 개인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일부 개인 변수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개인 변수의 종류에 따라 비대면 수업을 수강한학생들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과 비슷한 결과도 있었으며, 반대되는 결과도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수업 및 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발견하고, 비대면 및 대면 영어 교양 과목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한국판 정신화 척도(Korean Version of The Mentalization Scale)의 타당화
이수림,이문희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이 연구는 Dimitrijević 등(2017)이 개발한 정신화 척도(The Mentalization Scale: Ment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전체 358명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수집된 자료를 무선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첫 집단 160명은 탐색적 요인분석 자료로, 다른 집단 190명은 확인적 요인분석검증 자료로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한국판 정신화 척도는 원 척도와 동일하게 3요인 모델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3개 문항을 제거한 총 25문항의 3요인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문항의 내적 일치도는 .88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의 내적 일치도는 .74 - .84로 원척도에 비해 다소 높거나 비슷하였다. 준거 타당도 검증에서 정신화 척도는 공감, 마음챙김, 정서자각, 삶의 만족도, 애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경계선 성격특성, 우울, 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일련의 검증을 통하여, 한국판 Ments를 타당화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imitrijević et al.(2017) developed The Mentalization Scale(Ments) for Korean. A total of 358 data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data were used as follows; the first group (N=160)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ata and the other group(N=190) a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the same three-factor model as the original scale through the EFA, and the 3-factor model of the total 25 items without the three items was appropriate in the CFA.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tal items was .88 and the sub-factors was .74-.84, which was little higher or similar than the original scale. The criterion validities were verified, Ment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empathy, mindfulness, affection awareness, satisfaction of life, and attachment. And Ments was negatively related borderline personality, depression, and anxiety. The Korean version of Ments were verified through the EFA, CFA, and criterion validiti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중증 급성췌장염 환자에서 급성신부전증의 발생빈도와 임상경과에 대한 연구
이수림,김현경,김병수,송호철,권혁민,윤혜은,김영수,김성수,윤선애,김영옥,강봉구,정의성,김민걸 대한신장학회 2009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8 No.5
Purpose:Although acute renal failure (ARF) commonly develops in patients with severe acute pancreatitis (SAP), the impact of ARF on disease severity is rarely reported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findings,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SAP patients with and without ARF. Methods: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medical records of 102 patients with SAP between january 2001 and June 2008 in 3 hospital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course of ARF in SAP patients. Then, we compared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the patients with ARF and normal renal function (NRF). Results:Of the total 102 SAP patients, ARF was observed in 39 patients (38.2%). The peak serum creatinine level in ARF patients was 4.5±2.3 mg/dL. Eight of the 39 ARF patients (20.5%) received hemodialysis and ten patients (25.6%) died. When compared to NRF patiens, ARF patients (n=39) had higher incidence of dyspnea (17.9% vs 3.2%, p=0.011), loss of consciousness (17.9% vs 1.6%, p=0.003), and APACHE II scores more than 8 (92.3% vs 0%, p<0.001). The ARF group had also higher incidences of sepsis (35.9% vs 7.9%, p<0.001), multiorgan failure (15.4% vs 0%, p=0.001), respiratory failure (28.2% vs 4.7%, p=0.001) and mortality (25.6% vs 3.2%, p=0.001). Multivariate analysis demonstrated thrombocytopenia, hemoconcentration, and high LDH as independent risk factors of ARF in SAP patients. Conclusion:The incidence of ARF was high (38.2%) and ARF patients showed higher morbidity and mortality, compared to NRF patients. We suggest that early management of ARF should be performed for reducing the mortality in SAP patients. 목적:중증 급성췌장염 환자에서 급성신부전증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되는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으나 급성신부전증이 급성췌장염의 중증도와 이환율, 그리고 사망률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신부전증 발생이 중증 급성췌장염의 임상경과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2001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3개 병원 (의정부성모병원, 성가병원, 성바오로병원)에 중증 급성췌장염으로 입원한 환자 102명을 대상으로 입원 시 의무기록을 다기관, 후향적 연구를 통해 시행하였다. 급성신부전증의 발생빈도를 조사하고, 급성신부전증 유무에 따라 임상적 특성과 검사실 소견, 방사선 소견 및 질환의 중증도 지표, 이환율, 사망률 등의 임상경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전체 중증 급성췌장염 102명의 환자 중 급성신부전증은 39명에서 발생하여 발생빈도는 38.2%였다. 급성신부전증 환자의 입원 중 최대 혈청 크레아티닌 치는 4.5±2.3 mg/dL (2.0-14.0 mg/dL)였고 심한 신부전증으로 투석치료를 받았던 환자는 8명 (20.5%)이었다. 급성신부전증이 동반된 전체 39명의 환자에서 10명이 사망하였다 (25.6%). 생존자 29명 모두 신기능은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기간은 평균 6.0±4.9일 (2-22일)이 소요되었다. 급성신부전증 환자는 정상신기능 환자에 비해 호흡곤란 (17.9% vs 3.2%, p=0.011), 의식불명 (17.9% vs 1.6%, p=0.003)의 빈도가 더 높았고, 중증 지표인 8점 이상의 APACHE II score 환자가 더 많았다 (92.3% vs 0%, p<0.001). 그러나 다른 중증 지표인 Ranson’s score와 CT grade 분포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환율 비교시에 급성신부전증군은 정상 신기능군에 비해 DIC (17.9% vs 1.6%, p=0.003), 패혈증 (35.9% vs 7.9%, p<0.001), 다발장기부전 (15.4% vs 0%, p=0.001), 호흡부전 (28.2% vs 4.7%, p=0.001) 빈도가 높았다. 전체 중증 급성췌장염 환자에서 12명 (11.8%)이 사망하였으며, 급성신부전증군에서 정상 신기능군에 비해 사망률이 높았다 (25.6% vs 3.2%, p=0.001). 혈소판감소증 (p=0.037, 95% C.I 1.130 - 56.991), 헤마토크리트상승 (p=0.023, 95% C.I 1.229-17.226), LDH 증가소견 (p=0.040, 95% C.I 1.080- 24.913)은 급성신부전증 발생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인자였다. 결론:본 연구 결과 중증 급성췌장염에서 급성신부전증의 발생빈도가 비교적 높고 정상신기능 환자에 비해 임상증세가 심하며 이환율과 사망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증 급성췌장염에 급성신부전증이 동반되는 경우 빈도가 더 높은 임상소견에 대해 염두에 두고 입원시부터 환자의 중증도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적극적인 초기 치료로 급성신부전증을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수림,김은영,송미경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run-away prevention program for the youth and to test its effectiveness. A need analysis with 884 of 6th grader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elementary students' needs for this program.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with runaway adolescents who were staying at a shelter was conducted in order to derive basic components of a run-away prevention program.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s of need analysis, a short-term runaway pre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which could be run in a classroom as a unit. The runaway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covers the following areas;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runaway, ways to manage one's stress, ways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parents in conflicts, and ways to ask for help. The guidebook for parents and manual book for teacher have been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was tested with 430 of 4th, 5th, 6th graders, and it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using pre-, post- and followup-test along with questionnaire on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tress coping and in thoughts on runawa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developing the runaway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which could be run at a school setting.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출을 예방하기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대상 가출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운영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과 선행 프로그램을 고찰하고, 초등 학생 6학년 대상 요구조사, 가출 청소년 대상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가출예방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는 가출에 대한 지식, 합리적인 스트레스 대처, 부모와 갈등 시 의사소통 방법, 가출 시 도움 요청하는 방법으로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를 토대로, 초등학교에서 활용 성을 위해 2교시 단기교육프로그램과 애니메이션 등 시청각 교구재를 개발하고, 부모교육자료 및 교사용 자 료집도 함께 개발하였다. 시범운영 결과, 실험집단의 가출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사 후 및 추후검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참가자 및 교사, 부모 평가에 있어서 긍정적 만족도가 나타났다. 따 라서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가출 예방에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적용점,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 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Pseudocirrhosis of Breast Cancer Metastases to the Liver Treated by Chemotherapy
이수림,장은덕,나세정,김정수,안호정,고윤호,원혜성 대한암학회 2014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46 No.1
Pseudocirrhosis refers to a condition that shows changes in hepatic contour thatmimic cirrhosis radiographically in the absence of the typical histopathologicalfindings of cirrhosis. This condition has been observed in patients with cancermetastatic to the liver, both in those who have undergone prior systemic chemotherapyand those who have not. Pseudocirrhosis may cause difficulty in interpretationof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and hepatic decompression and complication ofportal hypertension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prognosis. We report on a case ofbreast cancer with liver metastases that showed cirrhotic changes during diseaseprogression. Progression of liver metastases was confirmed by F18 fluorodeoxy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We alsoperformed ultrasound-guided liver biopsy and confirmed tumor infiltration with severedesmoplastic fibrosis. This case suggests the pathogenesis of pseudocirrhosisthrough histopathological findings and the role of PET-CT in evaluation of the responseto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cirrhosis.
저소득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부모교육 프로그램(유아기편) 개발 요구 분석 : 드림스타트 현장전문가 포커스 그룹 논의를 중심으로
이수림,이자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1
Using a qualitative methodolog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needs assessment for development of a parent training program for low income families. Ten staffs of Dreamstart program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in low income families, parents' have a persecutive view of themselves and depressed. Second, there are a lot of parentless families and they have a unsanitary house environment. Third, parents tend to discipline punitively or neglectly. Fourth, children in low income families tend to having aggressive behaviors, depression, and undesirable habits. Fifth, parenting program of discipline the children has not been in Dream Start Program, so they suggested parenting program for discipline. We discussed that important components of parenting program are stress manageme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discipline education using participants' practical exercise. We also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본 연구는 드림스타트 사업 대상 저소득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드림스타트 운영 지역의 현장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저소득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한 부모교육프로그 램 구성요소를 탐색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저소득가 정 부모들은 피해의식이 강하고, 정서적으로 위축되고 우울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가 정은 조손이나 한부모 등의 결손가정이 많았고 부모들은 힘든 일들을 하고 있었으며, 가정환경은 열악하여 (영)유아에게 적절한 양육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소득가정 부모들은 자녀를 방치하거나 강압적이고 비일관적 양육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저소득가정의 (영)유아는 공 격적이고 우울하며 잘못된 생활습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드림스타트 사업에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재하며 집단상담 형태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 석을 중심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구성요소로써 중요하게 논의된 사항은 부모의 스트레스 관리, 부모 자녀 간 관계 강화, 훈육방식에 대한 실습교육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