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터 기반 검사에서 문항의 차등배점에 따른 성취수준 분류의 정확성 탐색

        이소라 ( Lee Sora ),서민희 ( Seo Minhee ),정주영 ( Jung Joo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2

        컴퓨터 기반 검사의 도입으로 인해 기존 지필평가에서 다룰 수 없는 다양하고 새로운 문항 유형들이 개발되었다. 이에 검사 개발자들은 컴퓨터의 기술공학적 기능을 활용하여 피험자가 과제를 직접 수행하는 활동형 문항들에 다른 문항보다 높은 배점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 있다. 문항 간 차등배점을 부여하는 것은 개별 문항 점수의 가중치를 피험자가 알고 문항 풀이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차등배점을 부여하는 것이 검사 타당도와 신뢰도를 실제로 높이는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드러낸 연구들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원점수 기반 검사의 문항 배점의 역할에 대해 정리하고, 선다형 문항의 균등배점과 차등배점이 측정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배점부여 방식에 따라 피험자의 학업성취수준이 얼마나 정확하게 판별되는지 비교하는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차등배점보다 균등배점 상황에서 성취수준의 분류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국내외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점수를 산출한다면 배점을 차등적으로 고려하지 않아도 문항의 고유 특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배점 부여 방식에 대한 논란을 해소할 수 있다. 끝으로 컴퓨터 기반 검사처럼 문항의 유형과 기능이 다양하고 복잡한 검사에 대한 분석과 채점 시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The introduction of computer-based testing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new item types that cannot be covered by traditional paper-and-pencil assessments. Consequently, test developers may wonder whether it is more valid to assign higher scores to drag-and-drop or active performance-based items that require examinees to perform more tasks than to other items. The advantage of the differential item score is that examinees are informed about the weighting of individual item scores and can prioritize item completion. However, some studies have shown negative results regarding whether differential item scores improve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is study, we summarized the role of item scores in raw score-based tests and conducted a simple simulation to test the impact of equal and differential item scores on the reliability of multiple-choice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lassification agreement of achievement levels was higher in the equalized item score scenario than in the differential item score scenario. Applying item response theory, which is commonly us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uter-based academic achievement tests, to calculate scores can resolve the controversy over how to assign scores because it weights items according to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without considering their differential scor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em response theory should be applied to the analysis and scoring of tests with complex item types and functions, such as computer-based tests.

      • 사용자 상황인지 기반 네트워크 보안 구조 연구

        이소라(LEE SORA),고상준(Ko, Sangjun),조금환(Geumhwan Cho),김소영(Kim, Soyoung),김은수(Kim, Eunsoo),고훈(KO, HOON) 한국정보보호학회 2017 情報保護學會誌 Vol.27 No.1

        컨텍스트가 필요한 서비스 및 스마트 기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유연한 보안성을 탑재한 새로운 보안 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현재의 보안 기술을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린이나 노인, 장애인 등의 IT 취약 계층을 위한 새로운 보안 정책은 절실하다. 편의성과 유연한 보안 정책은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패턴, 위치 등과 같이 공격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안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정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언급한 요구사항들을 반영한 사용자 상황인지 기반 네트워크 보안 아키텍처 설계, 사용자 상황인지 데이터 수집, 사용자 상황 분석 플랫폼 연구 그리고 상황인지 기반 보안 어플리케이션 연구 및 분석을 담고 있다.

      • 온실 참외 과실 인식을 위한 개체분할 모델의 적용

        이소라 ( Sora Lee ),김용현 ( Yong-hyun Kim ),홍영기 ( Youngki Hong ),김경철 ( Kyoung-chul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인공지능과 센싱 등의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지능형 농업이 발전함에 따라 온실에서 로봇 기반 수확 및 모니터링을 위한 작물 영상 기반 인식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 참외의 시설 및 수경재배 증가에 따른 생력화 가능성이 대두되었으나, 참외는 덩굴성 줄기로 인해 토마토, 파프리카와 같은 수직형 수형이 아닌 수평형 수형을 지니고 있고 잎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과실 인식이 어렵다. 본 연구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알고리즘 중 real-time 개체분할(instance segmentation) 방식인 YOLACT를 이용해 RGB 영상 기반 온실 참외 과실에 대한 인식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검출된 참외 과실의 수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숙성 완료한 과실과 그렇지 않은 과실을 두 클래스로 나누어 학습하여 과실의 숙도 선별도 동시에 이루어졌다.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참외 영상에서 참외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Labelme 프로그램을 이용해 참외 과실을 Polygon 방식으로 labeling 하여 개체분할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했다. 수확 과실 인식을 위해 YOLAC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학습시켰고, 학습된 모델을 실제 촬영한 동영상을 이용하여 검증했다. 학습을 위해 사용된 이미지 수는 총 493장이며 해당 이미지에서 labeling 된 총 과실수는 2,450개였고, 에포크와 배치 사이즈, 학습률은 각각 1000, 16, 0.001으로 설정하였다. 학습 모델의 total loss 값은 0.3039에서 수렴하였으며 검증 결과 참외 과실이 명확히 구분되어 숙도 여부를 정확히 인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실의 숙도에 따른 수확 로봇을 개발하는 경우 픽셀 기반으로 작물의 구체적인 형태를 인식하는 개체분할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로봇의 수확 성능을 높이고 수확량을 예측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변화민감도 문항 모수의 능력 검사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이소라(Sora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2

        학생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검사를 개발할 때, 문항이 변화/성장을 얼마나 잘 감지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검사 목적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종단 데이터에 적용된 다차원 문항반응모형의 모수가 변화에 민감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음을 소개하고, 모수 추정의 정확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1년의 시간 간격을 두고 시행된 능력검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별도와 변화에 민감한 정도를 나타내는 모수가 별개의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 가지 조건(요인 간 상관, 기울기 모수 간 차이, 피험자 수)을 고려한 모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두 문항 특성이 안정적으로 분리되어 추정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문항 모수는 대체로 안정적으로 추정되었으나, 요인 간 상관이 부적일 때와 사례수가 적을 때는 추정성이 떨어졌다. 두 문항 모수 간의 차이가 클수록 문항 모수의 추정성은 높아지나, 잠재특성 모수의 추정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When developing test items that measure changes in student abilities over tim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test objectives to determine how well the items detect changes/growth. In this study, three conditions of the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model (correlation between factors, difference between slope parameters, and the number of subjects) are considered for simulation study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longitudinal ability test data used to grasp how much students have grown at a time interval of one year. First, we introduced that the item parameter of the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model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sensitivity to ability change, and examined its function through the accuracy of parameter esti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tent trait parameter and the item parameter were generally estimated to be stable, but the accuracy was poor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latent factors was negatively related and the number of cases was small. The grea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lope parameters, the higher the accuracy of the item parameter, but the lower the accuracy of the latent trait parameter.

      • KCI등재

        학급 차원의 기능기반 중재 팀 적용 연구 동향 및 프로그램 특성 고찰

        이소라(Lee, Sora),이영선(Lee, Youngsun)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학급 차원의 기능기반 중재 팀(CW-FIT) 프로그램을 적용한 국외연구 동향과 프로그램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영문으로 발행된 논문 검색을 통해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총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일반적 특성(발표 연도, 연구대상, 연구 방법) 분석을 통해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지원 차원(1차 지원, 2차 지원)별 프로그램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외연구에서 CW-FIT 프로그램은 대부분 초등학교 일반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다수의 연구에서 반전설계를 통해 빈도기록법, 시간표집법으로 1차 지원의 실행을 통한 학급과제수행행동을 측정하였다. 둘째, CW-FIT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인 사회적 기술 교수와 집단강화를 통해 행동 문제를 나타내는 학생의 과제수행행동과 방해행동, 학급과제수행행동 그리고 교사의 칭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1차 지원보다 1․2차 지원이 보다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과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rends and the program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research applied to the class-wide function-related intervention team (CW-FIT). In total, 16 pap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rough the search of articles published in English from 2010 to 2020.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by support level (primary support, secondary support) were analyzed in detai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foreign studies, most of the CW-FIT programs were conducted in general elementary school classes, and in a number of studies, class task performance behavior was measur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primary support using frequency recording method and time sampling method through reversal design. Second, positive results were showed in the student s task performance behavior and disturbance behavior, class task performance behavior, and teacher s praise, which represent behavioral problems through social skills teaching and group reinforcement,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CW-FIT program. Third, it was shown that the primary and secondary suppor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primary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and plans for appli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의 외부 평판이 직원의 조직시민행동과 불량행동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소라(Sora Lee),이호영(Hoyoung Lee),유재원(Jaewon Yoo) 한국유통학회 2020 流通硏究 Vol.25 No.1

        오늘날 많은 기업들은 조직의 외부 평판을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 이미지에 대한 광고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등을 하고 있다. 이러한 평판이 기업의 전반적인 성과와 관련되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직원에게 지각된 외부 평판이 직원의 행동과 자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외부 평판이 직무 자원이 아니라, 직무 요구(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스트레스와 연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담심리학 분야에서는 공적자의식을 통해 직원이 느끼는 회사의 평판이 스트레스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한편, 직무 스트레스는 직원의 태도와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도전적 스트레스와 성장을 방해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방해적 스트레스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직원의 지각된 외부 평판이 도전적 스트레스와 방해적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이 주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조직시민행동과 불량행동이라는 행동적 요인에까지 연결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비스 접점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184명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지각된 외부 평판은 도전적 스트레스요인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후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방해적 스트레스요인은 조직시민행동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불량행동을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긍정적인 요인으로 여겨지던 외부 평판이 직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여 스트레스요인과 연관이 될 수 있으나 긍정적인 행동을 야기할 수 있는 도전적 스트레스요인과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즉, 지각된 외부 평판이 직무요구로서 작용하지만 긍정적인 요인이 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방향에 큰 시사점을 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