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희롱-이성애제도-조직문화 그 연관성에 관한 고찰

        이성은(Lee Sung Eun)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2

        본 논문은 이성애적 실행으로서의 성희롱이 한국의 이성애 제도를 재현하는 성적순결, 결혼제도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 지를 검토하고 또한 성희롱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장인 조직 내의 성별, 성문화가 성희롱의 발생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질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28명의 사무직 여성 노동자와 심층 연접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첫째, 이성애적 제도로서 순결이데올로기와 결혼 제도 내에서의 성에서 비롯된 지배적인 이중규범은 여성을 성희롱의 저항할 수 없는 피해자로 남성을 일상화된 성희롱의 가해자로 만드는데 주요하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이성애제도에 근거한 남생 중심적, 이성애 중심적 성별, 성문화는 다양한 양태에 성희롱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성희롱을 유지 공고화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희롱의 문제 해결은 단지 새로운 법안의 수립, 제도의 개혁을 통해서 가능하기 보다는 이성애 주의에 대한 도전, 조직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제기를 통해서 가능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sexual harassment as a heterosexual incident is not only perpetuated by heterosexuality as an institution but also related to gendered and sexual organizational culture in Korea. In doing so, the data of this research derives from qualitative interview with 28 female clerical workers who work in Seoul in Korea. Firstly,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specificity of Korean heterosexuality is characterized as the dual norm based upon the ideology of sexual chastity and sexuality within marriage. Therefore, Korean female workers affected by the institution of heterosexuality are unable to assertively respond to sexual harassment. Whereas women are defined as a sexual victim, men are regarded as a common harasser. Secondly, this research shows how the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is linked with the gendered and sexual culture in the Korean workplace. The gendered organizational culture is featured as the first,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employment, sex-discrimination in income and promotion, the second, sex discrimination against married female workers, the third, a uniform for female workers only. The sex-discriminated features contribute to see women not as a worker with an equal ability but as a office wife and a sexual object. Moreover, sexual culture of Korean organizations is mainly related to the 'drinking culture' within the institution of the 'office party'. This drinking culture is male-centered and male-dominated, so most female workers are forced into sexual service roles. In this circumstance, the various forms of sexual harassment are occurred within the office parties and therefore it demonstrates that the sexualized organizational culture is a main cause of sexual harassment. As a result, in order to study incidents of sexual harassment within each society, a research on the sexual harassment- heterosexuality-organizational culture complex is indispensible.

      • 교도권과 교부들 : 아우구스티누스의 이성, 신앙, 권위 이해

        이성효(Lee, Seonghy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하느님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에서 신학의 주체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오직 이성만으로 진리에 이르고자 마니교에 빠지기도 했고 아카데미 학파의 학설에도 귀를 기울였다. 그러나 그는 이성만으로 진리에 도달하기에는 무엇인가 부족함을 깨달았다. 마침내 그는 이성으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권위가 필연적으로 필요함을 체득한다. 그는 성경과 교회의 권위에 자신을 맡기면서 이성과 신앙의 조화란 새로운 길을 걷기 시작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해하기 위해서 믿고, 믿기 위해서 이해하라고 권고한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통하여 직접 계시하신 진리, 곧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말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함을 강조한다. 바로 신학의 주체가 하느님이기 때문이다. 가톨릭 신학의 대상은 하느님이시다. 어느 누구도 계시된 진리와 하느님의 도움에 힘입지 않으면 신학의 대상에 대해 알 수 없다. 신학의 대상은 신앙의 내용이다. 신앙의 내용은 신자들이 ‘살아 왔고’ ‘살고 있는’ 신앙 안에 보존되고 전승된다. 누군가 전승된 신앙의 내용과 다른 내용을 언급하면 교회는 권위를 발동하여 올바른 신앙의 내용을 지키고 보존한다. 교회는 신앙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아 신경을 선포하고 지역교회에 전해준다. 가톨릭 신학의 목적은 하느님께 이르는 것이다. 덴칭거가 교회의 권위로 최종 결정한 신앙과 도덕에 관한 실증적 문헌들을 무시하거나 경시하고 자기 임의대로 이해하는 것이 신학 연구에 가장 큰 해를 끼치고 있다고 지적한 것은 신학의 진정한 목적을 일깨우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덴칭거가 『신경 편람』을 편찬한 것은 새롭고 훌륭한 가톨릭 신학을 드러낸 것이라 말할 수 있다. God is the subject of Augustine’s theological world. In his search for ultimate truth he flirted with Manicheanism and was temporarily swayed by Neo-Platonism. His intellectual quest, however, which lead him to see the limitations of these approaches, eventually brought him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authority. That is, in giving himself over to the authority of Sacred Scripture and the Church, Augustine discovered the harmony of faith and reason. He came to affirm that “I believe, in order to understand; and I understand, the better to believe.” We, in other words, arrive at the truth within humans and in the Sacred Texts, through an a priori faith in God. God is, in other words, the ultimate subject of theology. Likewise, the subject of Catholic theology is God. Without God’s help, no one can understand this theological reality. The curriculum of theology is faith: the lived and living faith which believers preserve and transmit. The exercise of magisterium in the Church is to distil from amongst its competitors the faith which is to be proclaimed. The heart of this belief is found in its proclamation by the local churches. The goal of Catholic Theology is to arrive at God. Denzinger is a great help in awakening this most sacred purpose of theology and pointing to the more damaging mistakes of ignoring, neglecting or arbitrarily interpreting the teaching magisterium. Within this context, the publication of Denzinger. as a “Compendium of Faith ” is rightly to be seen as a refreshing and worth revelation of Catholic faith and doctrine.

      • KCI등재

        북한과 미국의 위기 사태시 대응 전략

        이성봉(李聖鳳, LEE Seong-Bong)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9 신아세아 Vol.16 No.4

        한국전쟁 이후 북한과 미국 사이에는 몇 차례 무력충돌 직전까지 가는 위기가 있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1968년의 푸에블로호(Pueblo) 나포사건, 1976년의 판문점 미루나무 사건, 그리고 1993∼1994년의 제1차 북핵위기를 들 수 있다. 이 3가지 위기는 각각 연대를 달리 하지만 북한과 미국이 사건의 당사자가 되었고, 갈등이 증폭됨으로써 무력충돌 직전까지 가는 위기로 발전했으며, 최후의 순간에 극적으로 타결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사례에 대한 검토는 북한과 미국이 위기사태에 대처하는 전략의 특징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re were several crises between U.S.A. and North Korea that brought two parties at the brink of military conflict after Korean War. The crises are Pueblo Incident of 1968, Panmunjom Incident of 1976, and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of 1993∼94. These Crises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that U.S.A. and North Korea were the concerned parties, troubles developed to the brink of military conflict, and the crises were dramatically settled at the last minute. So the analysis to these three cases will help to find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to deal with crisis between the two parties.

      • KCI등재

        광개토대왕비의 건립목적에 관한 시론

        이성시(李成市),류미나(번역자)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0

        광개토왕비 서문에 이어지는 본론의 구성은 우선 8년 8조의 무훈기사와 그 무훈에 의해 생성된 수묘인연호 330호의 리스트, 그리고 마지막에 수묘인 연호에 관한 「교언」과 「제령」으로 이뤄져 있다. 이것들은 전체적으로 수묘인 연호에 관한 내용으로 일관되어 있고, 그러한 수묘역체제의 창출이 광개토왕의 훈적으로 찬양되고 있다. 그러므로 광개토왕비의 건립목적은 이러한 수묘역체제를 창출한 광개토왕의 공덕을 찬양하는 송덕비라 할 수 있다. 광개토왕의 훈적으로 일컬어지는 수묘역체제의 성립과정을 비문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즉, ①고구려에서는 조왕ㆍ선왕 이래, 수묘인은 ‘구민’만으로 담당케 했는데 광개토왕은 스스로 전투에서 얻은 ‘한ㆍ예’의 백성을 이용하도록 명령했다. ②그러나 그들이 고구려의 법을 모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구민’ 3분의 1을 여기에 더하기로 했다. 더욱이 광개토왕은 조왕ㆍ선왕의 왕릉에 비를 세워 수묘인연호의 혼란을 억제하고 이것을 근거로 삼아 ③수묘인의 매매를 금지하는 제령을 포고한 것이다. 이렇게 성립한 수묘역체제의 수묘인 330호는 왕릉수호의 직무를 직접적으로 수행한 ‘국연’ 3호와 국연의 직무를 각 방면에서 보증하는 임무를 띤 ‘간호’ 30호를 합해, 33호를 하나의 왕릉 수묘인연호 집단으로 했고, 이들이 10개의 왕릉의 수묘역을 담당했다고 추정된다. 이 10개의 왕릉은 구체적으로 보면, 3세기 초두, 고구려가 국내성으로 옮기면서 그 땅에서 왕이 된 산상왕에서 광개토왕까지에 이르는 10대를 가리킨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경위와 내막을 갖고 성립된 것이 고구려의 수묘역체제인데, 그 창출 과정에 대해 광개토왕비는 ①광개토왕의 「교언」과, ②「교언」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수묘역체제 및 각 왕릉의 건립경위와 효과, ③광개토왕의 「제령」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서술은 왕명을 나타내는 ‘교’자가 거듭 반복되어 있어 왕의 의지가 법제화되어 가는 과정을 엿보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서술 방법은 후한대의 공문서를 그대로 새기고 있는 을영비를 참조하여 생각해 볼 때, 광개토왕비 또한 그 서식 형식에서 석각문서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후한대에는 석각이 급격하게 증대하고 있었고, 이에 대한 고구려의 선택적 수용이 광개토왕비에서 보이는 독자의 석각형태와 비문의 구성을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 판명된 사실에서 보면, 고구려는 약자나 용자법 중에 한대에서는 반드시 일반적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을 포함하여 한대에 원류를 갖는 한자문화를 많이 수용하고 있었고, 이것들은 신라나 백제, 왜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한자문화의 전파와 수용의 큰 맥락에서 보아 광개토왕비도 문서비로서의 일면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면, 중원고구려비를 시작으로 6세기의 신라비 또한, 앞으로 문서비의 관점을 도입하여 볼 때, 새로운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해주일록<SUP>海洲日錄</SUP>(1922~1933)』을 통해 본 영덕의 유학자 남붕<SUP>南鵬</SUP>의 농사관리방식

        이성임(李成妊)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1

        본고는 남붕南鵬(1870~1933)의 『해주일록海洲日錄(1922~1933)』을 자료로 하여 일제강점기 경상도 영덕 소재 유학자의 농사관리와 농업과정 상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일본의 침략정책이 노골화된 시기에 남붕이 어떠한 방식으로 가정경제를 이끌어 갔는가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일반적으로 남붕은 열강의 침략과 서구 문물이 본격적으로 수용되던 시기에 평생 구학舊學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인물로 평가되는데, 이는 그의 경제생활도 맥을 같이 하고 있었다. 그는 무너져 가는 종가宗家를 복원하고 조상 전래의 땅을 되찾기 위한 노력을 쉬지 않았다. 전체 60마지기의 농지 중에 절반가량이 제위전祭位田과 계답契畓이라는 사실을 이를 보여준다. 과거가 폐지되어 학문을 통해 관직진출이 단절된 상황에서 학문과 농사를 병행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는 결국 농사를 지으며 분수에 맞게 살아가는 것이 마음이 편하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농사짓는 것은 집안을 다스리는 것이며, 집안을 다스린 뒤에 나라를 다스릴 수 있다는 것이다. 남붕은 30여 마지기 농지와 1년에 220원 정도를 지출할 수 있는 살림살이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토지거래를 하기는 했지만 재산 증식의 의도는 없었다. 그러나 동생이 다른 사람에게 팔아버린 조상의 땅인 미려尾閭 밭을 되찾아 보리와 조를 심던 밭을 논으로 바꾸는 번답(反畓) 과정을 진행하고 여기에 보리와 벼를 이모작으로 재배하여 수확량을 증대하였다. 남붕은 손자를 통해 자신의 토지를 관리했는데, 실질적인 일은 머슴을 통해 해결해 나갔다. 이들 머슴은 노비제가 해체된 사회구조에서 노비를 대체 할 수 있는 방식이었다. 머슴은 주인의 손발로서 농업과정뿐만 아니라 집안의 잡다한 일에 동원되기도 했다. 남붕이 살던 시기는 일제의 침략이 노골화되던 시기로 일본이 토지조사사업이 끝나고 본격적인 산미증식계획이 진행되던 시기였다. 그는 일제의 정책을 이의 없이 수용하였다. 농무회 설립문제나 식산조합殖産組合에 활동에 대해서는 오히려 온정적이었다. 그가 화학비료를 사용하여 토지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했으면서도 일본의 정자井字의 이앙방식을 거부하는 것은 일본의 정책을 수용하는 원칙이 있었기 때문이다. 엄혹한 시기에 별다른 저항 없이 일본의 정책을 수용하는 점이 안타깝지만, 전통의 회복을 통해 또 다른 세상을 꿈꾸던 입장에서 일본의 정책에 일일이 저항할 필요를 느끼지 않았다. 구학舊學을 지향한 영남의 보수 유학자 남붕은 모든 측면에서 전통의 회복이라는 목표를 갖고 살아갔다.

      • KCI등재

        일본의 유아 다문화 보육, 교육 연구동향

        이성한(Lee Sung Han)(李聲韓) 한국일본교육학회 202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유아 다문화보육,교육에 대한 고찰을 함으로서 일본의 유아 다문화보육, 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특성을 탐구하며 유아다문화보육과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이며 분석대상논문은 학술지 검색도구인 J-STAGE와 CINII 검색도구 등에 수록된 학술지 58편이다. 대상은 유아에 한정하였고 연구시기, 게재학술지 현황,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58편의 논문에서 게재 연구논문의 시기는 1991년에서 2019년까지로서 2010년경 전후로 증가되고 있다. 게재학술지 현황은 주로 일본 보육학연구 학회지와 대학연구 논문집에서 지속적으로 발간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010년경을 전후하여 사례, 관찰연구, 설문조사가 많았고 문헌연구도 지속적으로 행해졌다. 연구내용은 초기에는 정체성, 다문화이해, 지역의 다문화, 반편견 교육과정 등이 연구되었으나 2010년경을 전후로 하여 다문화이해, 보육자의 의식․보육관, 현상과 과제, 교사와 유아의 다문화 언어, 외국의 다문화보육 사례연구 등이 행해졌다. 끝으로 일본의 유아다문화보육, 교육의 방향을 논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ducation in Japan by conduct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Japan, to explore characteristics, and to establish its direction. The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research, The research papers are from 58 journals selected by J-STAGE and CINII search tools are reviewed.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children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eriod of study, current status of publication journal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The research period was divided into literature research, experiment, practice, case, observation research,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research contents were classified into 12 themes including identity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s a resul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period was published from 1991 to 2019, and it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0. The current status of journals was continuousl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Japanese Childcare Research and the Journal of University Research. The contents of the study include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Childcare Consciousness multicultural status and tasks, language and foreign cases. Finally, the direction of Japanese multicultural childcare and education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