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천장형 에어컨이 스프링클러 헤드 작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선영,윤명오,이영주,이준,Yi, Sunyoung,Yoon, Myong O,Lee, Youngju,Lee, Jun 한국방재안전학회 2020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는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가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내용이다. 시뮬레이션 공간은 10 m×7 m×3 m로, 화원의 크기는 0.8 m×0.8 m×0.6 m로 설정하였다.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찬 기류는 25℃로 설정하고 풍속을 10 ㎧, 8.5 ㎧, 7.5 ㎧의 3가지 CASE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에어컨이 작동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했을 때 모든 CASE에서 작동 지연이 발생하였으며 10 ㎧ 풍속의 경우는 10분경과시까지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에어컨이 작동하는 공간에서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하는 시간의 지연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10 ㎧와 같은 강풍의 경우는 초기진화실패라는 최악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airflow of ceiling air conditioner on the operation of sprinkler head using a simulation program. The simulation space is 10 m × 7 m × 3 m, and the size of the fire is 0.8 m × 0.8 m × 0.6 m. The cold air flow from the air conditioner is at 25℃ and the wind speed is divided into three cases : 10 ㎧, 8.5 ㎧, and 7.5 ㎧.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ll cases had operating delays compared to when the air conditioner was not running, and the sprinkler head did not operate until 10 minutes had elapsed at 10 ㎧ wind speed.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sprinkler head was delayed in the air conditioning space and the worst result of early evolution failure was observed in strong winds such as 10 ㎧.

      • KCI등재

        금속선이 삽입된 열가소성 추진제의 연소 특성 고찰

        이선영,오종윤,이현섭,길태옥,김민호,Lee, Sunyoung,Oh, Jongyun,Lee, Hyunseob,Khil, Taeock,Kim, Minho 한국추진공학회 2022 한국추진공학회지 Vol.26 No.4

        In this paper,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olid propellant embedded with metal wires were analyzed by the ground tests of motors. The propellant grains were made of thermoplastic propellants with Al and Cu as metal wires for the enhancement of burning area and designed with cone shape for better ignition. These metals were used to confirm the enhancement of burning rate on thermal diffusivity properties. The internal ballistics analysis and ground test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urning rate for each metal wire. We obtained the results of burning rate on a difference of thermal diffusivity of each metal wire with well-made propellant grains.

      • KCI등재

        초등학생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2011년과 2019년 시기별 독서시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선영 ( Lee¸ Sunyoung ),정명은 ( Jeong¸ Myungeun ),임혜정 ( Lim¸ Hyejung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1 No.-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초등학생 독서시간의 매개효과가 2011년과 2019년의 기간에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표본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 2010)』과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초4 패널 2차 자료로 2011년 기준 2,378명, 2019년 기준 2,607명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이다. 연구 결과 첫째, 2011년과 2019년 모두 스마트폰 의존도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부적 효과를 나타냈다. 그런데 통제변수를 투입한 모형에서 2011년에는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고 2019년에는 유의했다. 그리고 독서시간을 추가로 투입한 모형에서 독서시간은 2011년과 2019년 모두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정적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학업성취도에 대한 스마트폰 의존도의 영향력을 독서시간이 얼마나 완화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2019년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의 13.9%를 독서시간이 완화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스마트폰 의존도가 심각해지는 시점에 독서시간의 교육적 의미와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국어교육에서 초등학생의 독서활동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및 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identify how the mediated effects of reading tim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changed over the period 2011 and 2019. The samples of this study ar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2,378 students as of 2011 and 2,607 as of 2019, from the secondary data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2010) and 2018 (KCYPS 2018)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both 2011 and 2019, dependence on smartphone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when control variables were put in the model, the influence of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in 2011, but it was significant in 2019. In addition, in the model in which additional reading time was input, reading time was identified as a positive factor that increases academic performance in both 2011 and 2019. In addition, as a result of checking how much reading time relieves the negative impact of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t was confirmed that reading time alleviated 13.9% of the negative influence of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 2019. At this time wh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usage time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ir smartphone dependence becomes serious, the educational meaning and importance of reading time was confirmed once again, suggesting tha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to promote the reading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A지역 의과대학생의 문화성향, 도덕성, 그리고 정신건강과의 관계

        이선영,안병덕,Lee, Sunyoung,An, Byungduck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6 의학교육논단 Vol.18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ultural disposition, morality, and psychological health of medical students to determine how these factors might relate to curriculum planning in medical educ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86 medical students. The questionnaire used included the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scale,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and the defining issues test. To evaluate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we classified students into four categories-low, individual, collective, or mixed cultural disposition-using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vertical/horizontal dimensions. We found that those who were younger and in earlier academic years had higher collectivism than individualism and the males had higher individualism than the femal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ality or psychological health by the students' sex, age, or academic year. Horizontal collectivism and moral judg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r=0.150, p<0.05), as did stage 6 morality and symptoms of damaged psychological health (r=-0.156, p<0.05). Other than these relationship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 and morality or between morality and psychological health were found. Cultural disposition did have correlations with various aspects of psychological health; specifically,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hobic anxiety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psychotic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and hostility and horizontal collectivism. The four cultural disposition categories showed relationships not with morality but with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and phobic anxiety. We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medical education.

      • KCI우수등재

        Green Curtain 형식의 벽면녹화시스템을 통한 여름철 건물 실내 열환경 비교 분석

        이선영,조상만,박수국,Lee, Sunyoung,Jo, Sangman,Park, Sookuk 한국조경학회 2022 韓國造景學會誌 Vol.50 No.5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s of horizontal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 this study compared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indoor and outdoor of a building in summer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green curtain, a vertical greening method. In the summer of 2021, the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and shortwave and longwave radiation were measured at a central point inside a building and the grass field outside of the building to determine the human thermal sensation index, PET and UTCI. As a result, the green curtain showed an average 1.6℃ cooler air temperature during the daytime, but it did not have an effect at night. For relative humidity, it showed higher humidity indoors by an average of 5.6% and 1.0% during the daytime and at night, respectively. Wind speed was 1.4-1.8 ms<sup>-1</sup> and 1.4-1.5 ms<sup>-1</sup> higher outdoors on average during the daytime and at night, respectively, showing a high value outdoors regardless of whether a green curtain was installed. The green curtain showed an average indoor mean radiant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of 4.7℃ during the daytime, but it did not have an effect at night. In PET and UTCI, the green curtain reduced the indoor PET by about a 1/3 level, an average of 2.1℃, and the indoor UTCI by about a 1/6 level, an average of 1.1℃, during the daytime. However, no effects appeared in PET and UTCI at night. For landscape planning, a green curtain can effectively modify the thermal environment during the daytime in summer.

      • KCI등재

        어린이집 영아반 안전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 및 요구 탐색

        이선영 ( Lee Sunyoung ),곽승주 ( Kwak Seungju ),김신영 ( Kim Shinyoung ),노상경 ( Roh Sangky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는 영아안전교육에 대해 교사들이 어떤 어려움과 요구를 갖는지 분석함으로써 영아에게 보다 적절하고 실효성 있는 안전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아교사 13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안전교육 지도 시 교사의 어려움은 영아기가 지닌 발달적 한계로 인한 안전교육 실천의 어려움, 실생활 안전과의 괴리감, 외부평가 대비로 인한 능동적 교수 수행의 어려움, 영아안전교육 평가 체제 미흡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안전교육을 위한 교사 요구는 영아발달에 적합하고 다양한 수준별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영아전담 안전 체험시설 확충, 가정에서의 안전교육 병행 강화, 영아교사에게 특화된 교사교육 실시를 들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영아안전교육의 방향 및 구체적 방안에 대해 논의를 이끌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more proper, effective safety education plan for an infant by inquiring into the reality of infant safety education, which is conducted in a daycare center, and analyzing teachers-perceived hardships and request.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the qualitative approach with focus on in-depth interviews with 13 infant teacher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eacher’s hardships in time of guidance of infant safety education were from the developmental limit of the infancy, difficulty in developing daily safety education for infants, a conflict as a passive teacher, and insufficiency in the evaluation system of infant safety education. Second, teachers’ requests for infant safety education include supply of diverse programs suited for infant development, expansion of dedicated safety experience facility for infants, strengthening of combination with safety education at home,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ized teacher education for infant teachers.

      • KCI등재

        한국어 부정문과 양화사 중의성에 관한 실험 통사론 접근

        이선영 ( Lee Sunyo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3

        전통적인 이론 통사론에서 연구자들은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연구자 자신 또는 소수의 동료 언어학자들의 직관에 의존해왔다. 최근 이러한 비형식적 연구 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실험 통사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통사론에서도 형식적이고 엄밀한 실험 설계와 통계기법을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본 논문은 그동안 이론 통사론에서 활발하게 논의 되어온 한국어 부정어와 양화사간의 작용역 중의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해당 구조에 대해 공식적으로 학습한 적이 없는 비언어전문가 한국인 84명을 대상으로 수용성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참여자들은 부정문의 유형(단형 또는 장형)이나 양화사의 위치(주어 또는 목적어)에 상관없이, 부정문과 양화사가 포함된 문장을 전체부정의 의미로 해석하는 경향을 강하게 보였다. 본 논문은 동일한 구조의 문장 해석 수용성을 조사했을 때, 기존 이론 통사론의 주장과 실험 통사론 연구 방법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동시에 내성적 직관에 의존한 선행 연구 주장들을 다시 고찰해 볼 필요성이 있음을 논의한다. Generative syntacticians have traditionally relied on informal intuition to collect native speakers` judgments of well-formed sentences. This method has been criticized for the lack of forma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Accordingly, a growing number of syntacticians have been interested in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of judgments based on the formal protocols with a number of non-expert informants. The present study experimentally investigates the interpretation of scope ambiguity between negation and quantifiers in Korean, which has been a controversial area in Korean syntax. 84 native Korean speakers were asked to judge the acceptability of scopally ambiguous sentences.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significantly prefer surface scope interpretation over inverse scope interpretation, irrespective of the negation type (short form vs. long form) and grammatical position of quantified arguments (subject vs. object). This indicates that we need to reevaluate previous findings in theoretical syntax, which have been based on researchers` introspective intuition.

      •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 및 향후 기업가정신 교육 방향성에 대한 고찰

        이선영(Sunyoung Lee),오영제(Youngje Oh) 한국과학기술실용화학회 2023 과학기술융합연구 Vol.2 No.1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전반의 환경변화와 경제 혼란 등의 다양한 사건을 겪으며, 사회와 경제환경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렇게 예측 불가능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를 가리켜 VUCA(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 시대라는 별칭이 생길 정도로, 그 어느 때보다 혼란스럽고 변동이 많은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많은 국가와 기업, 개인들이 불확실한 미래에서의 생존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있으며, 대다수의 주체들이 기업가정신을 그 해결책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의 영향력과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교육의 내용, 방식, 구성원의 특징이 교육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체계적 문헌고찰을 활용하여,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등 다양한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비교하여 도출하였고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포함된 논문은 총 45편이고, 이는 2007년~2023년 4월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근거로 하였다. 학술지에 게재된 기업가정신의 연구 편수는 2017년도에 가장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2022년에는 3편으로 다시 감소하고 있다. 주제별 분석 결과 사내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가 7편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가정신 교육자의 역할, 사회적 기업 가정신의 효과, 최고경영자의 기업가정신 효과, ESG기업가정신교육의 효과가 각각 2편으로 나타났다. 45편의 논문 중에 36편의 연구방법론을 검토했으며, 결과적으로 실증분석 25편, 패널데이터분석 2편, 문헌자료분석 6편, 기타분석 3편 등으로 구분하여 연구방법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및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을 살펴봄으로써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기업가정신 교육을 적용하고 촉진 및 확산하기 위한 긍정적인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midst rapid technological advancements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various events like the COVID-19 pandemic, the pace of change in society and the economic environment is faster than ever before. Thi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the VUCA (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 era, characterized by unprecedented confusion and volatility. As a result, many nations, businesses, and individuals are grappling with the uncertainties of the future and considering entrepreneurship as a solution.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and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this analysis, we seek to examine the impact of educational content, methods, and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on the actual outcome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hich synthesizes and compares various research findings on the research topic, subjects, and methods. A total of 43 academ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22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number of publications on entrepreneurship research was most active in 2017 and decreased to 2 papers in 2022. Among the analyzed papers, 43 were related to different topics. The largest portion focused on the eff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7 papers), followed by the role of entrepreneurship educators, the effec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the effects of top management's entrepreneurship (2 papers each).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e 34 examined papers revealed empirical analysis (23 papers), panel data analysis (2 papers), literature review (6 papers), and other analysis methods (3 pap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by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and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ositive strategies can be formulated to apply, promote, and exp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 미리 순서가 매겨진 학습 데이타를 이용한 효과적인 증가학습

        이선영(Sunyoung Lee),방승양(Sung-Yang Bang) 한국정보과학회 200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7 No.2

        증가학습은 점진적으로 학습 데이타를 늘려가며 신경망을 학습시킴으로써 일반적으로 학습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신경망의 일반화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기존의 증가학습은 학습 데이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데이타의 중요도를 반복적으로 평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류 문제의 경우 학습이 시작되기 전에 데이타의 중요도를 한 번만 평가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분류 문제의 경우 클래스 경계에 가까운 데이타일수록 그 데이타의 중요도가 높다고 보고 이러한 데이타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두가지 합성 데이타와 실세계 데이타의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학습 시간을 단축시키며 일반화 성능을 향상시킴을 보인다. Incremental learning generally reduces training time and increases the generalization of a neural network by selecting training data incrementally during the training. However, the existing methods of incremental learning repeatedly evaluate the importance of training data every time they select additional data. In this paper, an incremental learning algorithm is proposed for pattern classification problems. It evaluates the importance of each piece of data only once before starting the training. The importance of the data depends on how close they are to the decision boundary. The current paper presents an algorithm which orders the data according to their distance to the decision boundary by using clustering. Experimental results of two artificial and real world classification problems show that this proposed incremental learning method significantly reduces the size of the training set without decreasing generalization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