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마인드셋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서정(李敍禎),신태섭(申泰燮)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그릿을 매개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학생들의 수학 포기 여부에 따른 모형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458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총 458명의 분석대상자 가운데 수학을 포기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학생은 312명이었으며 수학을 포기했다고 응답한 학생은 146명이었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수학 비포기 집단과 수학 포기 집단 간의 모형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그릿을 매개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다집단분석 결과, 두 집단 간 그릿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수학 포기 집단의 경우 수학 비포기 집단에 비해 그릿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의 계수가 더 낮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수학을 포기한 학생들의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증진을 위해 수학학습에서 성공할 수 있는 습관 및 직·간접적 성공경험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한편, 수학 비포기 집단에서 각 변인들은 모두 서로 유의한 정적 관련을 맺었으나, 수학 포기 집단의 성장 마인드셋은 그릿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을 포기한 학생들에게 실패를 긍정적으로 승화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적 및 정서적 지지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growth mindset on academic self-efficacy mediated by grit and test model differences by whether students have given up on mathematics or not. For this purpose, SEM analysis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458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 And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of growth mindset,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depending on whether students gave up on mathematics or not.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groups in the path from grit to academic self-efficacy. The path coefficient of grit to academic self-efficacy was lower in the group who gave up on mathematics than in those who did no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ents who gave up on mathematics should have a habit of succeeding in mathematics learning and experience of direct and indirect success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in the group who did not give up on mathematics all variables were related to each other significantly, but growth mindset of the group who gave up on mathematic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rit. Hence, this study emphasizes that it is required to provide such students with behavioral and emotional support that allows them to cope with failure positive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ICT융합 유형별 스타트업 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이서한,노승훈,Lee, Seo Han,Noh, Seung Hoo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12

        창업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ICT융합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ICT융합분야에서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성공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10개의 성공한 스타트업 기업의 사례를 바탕으로 ERIS모델을 활용하여 총 29가지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ICT융합 사업화 형태를 소프트웨어 R&D 중심, 소프트웨어 마케팅 중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한 R&D 중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한 마케팅 중심으로 구분하였다. 성공요인 가운데 창업자와 연관된 역량이 가장 많았으며 전문적인 지식, 패러다임 속에서 사업기회의 포착 등을 들 수 있다. ICT융합이라는 기존의 스타트업 기업과 다른 형태의 사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성공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스타트업 기업을 4가지 형태로 유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Although many studies about start-up existed, It is almost never shown study about ICT convergence start-up enterpris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success factor to start-up enterprise in rapidly growing ICT convergence area. Based on 10 entrepreneurial success cases, We figure out the total 29 units success factors utilizing ERIS model. We classify ICT commercialization with 4 types which are software-R&D centric, software marketing centric, software plus hardware R&D centric, software plus hardware marketing centric. Among success factors the most success factor is related entrepreneur;s ability and include major and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ICT's filed, insight through sensitivity about technical paradigm etc. It was derived the success factors indicated in the course of commercialization of ICT Covergence Unlike other forms of the existing start-up entrepreneurs and contributed to typified in four forms startups for ICT Covergence start-up entrepreneurs.

      • KCI등재
      • SCIEKCI등재

        In Vitro 에서 SO2 수용액의 화학적 변화

        이서,이미순 한국농화학회 1976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19 No.1

        Chemical changes of dissolved SO₂ were followed in vitro system. Varying concentrations of sulfite solution reached similar Eh values 20 hours after preparation. No further increase of Eh values occurred in acidic solutions. Eh values were more greatly increased in neutral solutions than in alkaline solutions, and slightly higher in light than in dark. The decrease of measurable SO₂ content tended to be greater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ulfite, on exposure to light, and at higher pH values. A larger amount of hydrogen atoms was produced with higher concentrations of SO₂ and in neutral to alkaline solutions than in acidic solutions.

      • KCI등재

        스마트 그린시티 개념을 적용한 고층주거단지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이서정(Seo-Jeong Lee),이응현(Eung-Hyun Lee),오덕성(Deog-Seong 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스마트 그린시티로 전환을 위한 설계 및 건설 측면과 지원시스템 측면의 통합적 계획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고층주거단지를 대상으로 공간위계별로 적용 가능한 계획기법과 적용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다 음과 같다. 첫째,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스마트 그린시티의 개념을 정립하고 3개 공간 위계, 7개 기본방향, 17개 주요특성으로 분류된 고층주거단지 계획체계를 설정한다. 둘째, 선행연구 검토와 전문가 FGI를 통해 스마트 그린시티 개념 을 적용한 고층주거단지 설계 및 건설 측면의 계획기법 28개와 스마트 시스템 측면의 계획기법 28개를 도출한다. 셋째, 행정 중심복합도시 2-1생활권 4개 고층주거단지 계획안을 대상으로 계획기법의 적용실태를 분석한다. 연구의 결과 스마트 그린시 티 개념을 적용한 고충주거단지 계획의 주요특성 중 ‘교통네트워크 연계’, ‘친환경 단지배치’, ‘녹색교통 활성화’, ‘신재생에 너지 효율적 활용’, ‘범죄 및 재해 안전 성능’, ‘고성능 고효율 설비 활용’에 해당하는 계획기법이 사례에서 적극적으로 적용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층주거단지 계획 시 공간 위계별로 설계 및 건설 계획기법과 스마트 시스템 계획기법 적용의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planning techniques of high-rise housing estates applying a smart green city concept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planning & building' planning techniques and 'smart system' planning techniques an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 For the research, firstl, the definition of smart green city was established and high-rise housing estates planning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a three space hierarchy, seven planning directions and 17 major features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28 'planning & building' planning techniques and 'smart system' planning technique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GI analysis. Last, four cases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were analyzed for the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 of planning techniques. In conclusion, planning techniques in 'Transportation Network', 'Environment-friendly layout planning of housing', 'Revitalization of green transportation', 'Utilization of new & renewable energy', 'Crime prevention and accident reduction', 'Use of high performance, and efficiency facility' main featur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planning techniques for Smart Green City and its implications were estimated.

      • 상황인식을 지원하는 미들웨어를 위한 메타서버 모델

        이서,황병연,윤용익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4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6 No.2

        An increasing number of distributed applications will be achieved with mobile technology. These applications face temporary loss of network connectivity when they move. They need to discover other hosts in an ad-hoc manner, and they are likely to have scarce resources including CPU speed, memory and battery power. Software engineers building mobile applications need to use a suitable middleware that resolves these problems and offers appropriate support for developing mobile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meta-server building for middleware that addresses reflective context awareness and present usability with demonstration. Metadata is consist of user configuration, device configuration, user context, device context and dynamic image metadata. When middleware send a saving or retrieval request to meta-server, it returns messages to middleware after the verification of the request. This meta-server has the application for multimedia stream services with context awareness. 이동통신 환경의 분산 응용에서는 사용자나 단말기의 위치 이동을 파악하여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모바일 기술이 요구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황 인식 미들웨어를 이용해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혹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CPU속도, 메모리 그리고 가용배터리의 변화를 적절히 지원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는 사용자와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파일, 상황의 메타데이터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식의 동적 반영을 지원하는 미들웨어 서비스에 필요한 메타서버를 모델링하고 구축했다. 메타데이터는 프로파일, 정책, 사용자 선호도로 구성되며, 메타 서버는 미들웨어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가능한가를 판별 후, 결과를 돌려준다.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제공하는 이동동신 환경에서 사용자나 통신 단말기의 상황이 변동되는 시나리오에 적용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