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 연구

        샛별(Saet Byul Jung),진홍근(Hong Kun Chin),이종민(Chong Min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3

        본 연구는 무드와 관여도의 상호작용에 따라 메시지지 프레이밍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드와 관여도, 메시지 프레이밍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광고 회상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 무드에서는 고관여와 저관여 조건 모두에서 이득 메시지 프레이밍이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보다 회상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정 무드에서는 저관여와 고관여 조건에서는 결과가 달랐다. 부정무드 저관여 조건에서는 이득 메시지 프레이밍이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보다 더 많은 회상을 보인 반면에 부정무드 고관여 조건에서는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이 이득 메시지 프레이밍보다 더 높은 회상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수준(p<.05)에는 접근하지 못하였다(p<.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nsumer`s mood and involvement on advertising message framing. Thus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ree independent variables(mood, involvement and message framing) and one dependent variable(recall). According to the results, gain message framing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inducing recall than loss message framing in the positive mood regardless of level of involvement. Meanwhile the ad effects were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high and low involvement in the negative mood. In the negative mood and low involvement condition, gain message framing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loss message framing in inducing recall. On the other hand, loss message framing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gain message framing in inducing recall in the negative mood and high involvement(p<.01).

      • KCI등재

        Terra MODIS 영상과 지상 적설심 자료를 이용한적설분포도 구축기법 연구

        샛별 ( Saet Byul Kim ),신형진 ( Hyung Jin Shin ),이지완 ( Ji Wan Lee ),유영석 ( Young Seok Yu ),김성준 ( Seong Joon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2001년 1월, 2004년 3월, 2005년 12월 그리고 2010년 1월의 4개 폭설사상을 대상으로 3가지 적설심분포도를 구축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첫째는 우리나라 76개의 지상기상관측소의 최심적설자료를 대상으로 IDW (Inverse Distance Weighting) 기법을 적용하여 구축한 경우(Snow Depth Map; SDM), 둘째는 SDM를 Terra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영상에 의한 적설분포지역(Snow Cover Area; MODIS SCA)으로 추출한 경우(SDM+MODIS SCA; SDM_M), 셋째는 둘째 경우에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고도에 따른 적설심 감률을 고려한 경우(SDM_M+DEM; SDM_MD)이다. 4개년도의 적설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Terra MODIS 영상에 의한 적설분포면적은 남한면적(99,575.3km2)의 62.9%, 44.1%, 52.0%, 69.0% 였다. 3가지 경우에 대한 평균 적설심을 비교한 결과, SDM보다 SDM_M이 각각 0.9cm, 1.9cm, 0.8cm, 1.5cm 작게, SDM_M보다 고도를 고려한 SDM_MD는 1.3cm, 0.9cm, 0.4cm, 1.2cm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make snowfall distribution map for the 4 heavy snowfall events of January 2001, March of 2004, December of 2005 and January of 2010, and compare the results for three cases of construction methods. The cases are to generate the map by applying IDW(Inverse Distance Weighting) interpolation to 76 ground measured snowfall point data (Snow Depth Map; SDM), mask out the SDM with the MODIS snow cover area (MODIS SCA) of Terra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SDM+MODIS SCA; SDM_M), and consider the snowdepth lapse rate of snowfall by elevation (Digital Elevation Model; DEM) to the second case (SDM_M+DEM; SDM_MD). By applying the MODIS SCA, the SCA of 4 events was 62.9%, 44.1%, 52.0%, and 69.0% for the area of South Korea. For the average snow depth, the SDM_M decreased 0.9cm, 1.9cm, 0.8cm, and 1.5cm compared to SDM and the SDM_MD increased 1.3cm, 0.9cm, 0.4cm, and 1.2cm respectively.

      • KCI등재

        감성어휘에 따른 웨딩부케 스타일 분석 및 제안

        이은선 ( Lee Eun Seon ),샛별 ( Kim Saet Byul ),김유선 ( Kim Yoo Sun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화훼디자인 및 웨딩부케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일반 소비자의 선호도를 측정하여 웨딩부케 디자인에 응용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감성어휘를 바탕으로 웨딩부케의 스타일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소비자의 감성어휘에 따른 웨딩부케의 스타일과 색채를 분석하여 웨딩부케의 경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혼예정자인 20대를 대상으로 12가지 감성어휘(귀여운, 맑은, 온화한, 경쾌한, 네츄럴한, 화려한 우아한, 은은한, 다이나믹한, 모던한, 점잖은, 고상한) 따른 형태(대칭과 비대칭, 물방울형태, 다변형 물방울 형태, 비더마이어 양식의 신부화, 미국형 신부화, 삼단형태, 무지개형태, 폭포형태, 생장형 형태의 신부화, 실험적 신부화, 구조적 신부화, 선-형의 신부화, 둥글게 묶은 신부화 형태)와 색채(70가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형태는 각 감성어휘에 따라 확연히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형태가 다양해 짐에 따라 전문가와 비전문가, 남성과 여성 각 집단에 따라 다른 분포를 보이기도 하였다. 색채에서의 색상은 감성어휘에 따라 뚜렷한 색상 분포를 보였지만 색조는 다양한 형태와 유사하게 전문가와 비전문가, 남성과 여성 각 집단에 따라 다양한 분포를 보였다. 이처럼 소비자의 요구는 뚜렷한 형태와 색상을 보이며 개인차에 따라 또는 집단에 따라 다양하면서도 섬세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웨딩부케 제작자인 플로리스트는 소비자의 요구를 명확히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이 필요 시 되며 형태와 색채에 따른 이미지 변화를 빠르게 숙지해야 하며 계속적으로 연구되어 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Distribution of shapes widely varied according to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expert and non-expert groups and male and female groups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s when more diverse shapes were given. Colors showed clea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emotional vocabulary, but distribution of tones varied, like shapes, between the expert and non-expert groups and male and female groups. Accordingly, florists who make wedding bouquets will need to clearly understand and express demands of their customers by understanding changes in image according to shapes and colors,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As the interest of consumers in flower and wedding bouquet design is increasing, in this study measured preference of general consumers and analyzed wedding bouquet styles and colors according to emotional vocabulary provided by the consumers, in order to apply the result to wedding bouquet design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styling wedding bouquets. The subjects, who were in their 20s and soon to be married, were given 12 emotional words (cute, pure, gentle, playful, natural, glamorous, elegant, subtle, dynamic, modern, sophisticated, classic), shapes (symmetry and asymmetry, water drop, polygonal water drop, biedermeir bridal bouquet, American bridal bouquet, three-step design, rainbow, growth form bridal bouquet, experimental bridal bouquet, structural bridal bouquet, line-form) bridal bouquet, round-shaped tied bridal bouquet), and colors (70 colors) and choose based on their preferenc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혈액종양 ;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에 있어 FDG-PET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정현영 ( Hyun Young Jung ),샛별 ( Saet Byul Jang ),정혜련 ( Hye Ryun Jung ),이선아 ( Sun Ah Lee ),배성화 ( Sung Hwa Bae ),현대성 ( Dae Sung Hyun ),이상채 ( Sang Chae Lee ),류헌모 ( Hun Mo Ryoo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1

        목적: 폐암은 우리나라에서 암으로 사망하는 환자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전체 폐암 중 비소세포폐암은 80~85%를 차지하며, 특히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은 예후가 불량하여 1년 생존율은 35%에 불과하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18F] fluorodeoxyglucose (FDG)를 이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은 다양한 FDG 섭취 정도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제 IIIb 병기 이상의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FDG-PET의 SUV (Standardized Uptake Value) 정도에 따라 이들의 치료 경과 혹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제 IIIb, IV 병기인 비소세포폐암을 진단받고 치료 전 FDG-PET을 시행한 5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각 환자의 PET 영상에서 FDG 섭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병소 부위에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병소의 SUV를 구하였다. 생존기간(overall survival)과 무진행 생존기간(time to progression)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생존율의 차이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종양의 FDG 섭취 정도에 따른 차이는 SUV 값을 7로 구분하였을 때 각각의 생존율이 가장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되어 SUV 7의 값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SUV 7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한 FDG 섭취 정도는 생존기간(p=0.02) 및 무진행 생존 기간(p=0.04)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예후인자로 확인되었고, 이외에 일상생활수행능력(p=0.02)이 생존 기간에 대한 예후인자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FDG-PET에서 원발암의 SUV가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FDG-PET에서 높은 SUV 섭취 정도를 보이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서 생존 기간과 무진행 생존 기간이 더 짧아 나쁜 예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더 오랜 기간 동안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치료 방침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를 확인하는 전향적인 대규모, 다기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Lung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in Korea.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omprises 80~85% of lung cance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with [18F]fluorodeoxyglucose (FDG-PET) shows various levels of FDG uptake for patients with NSCLC. This study determined whether the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of FDG uptake by PET is a prognostic factor for advanced NSCLC. Methods: FDG-PET was performed in 59 patients with stage IIIb and IV NSCLC. The SUV was calculated for each patient. Overall survival (OS) and time to progression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evaluated with the log-rank test. The prognostic significance was assessed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A cutoff of 7 for the SUV gave the best criminative value. In the univariate analysis, performance status (p=0.02) and SUV (p=0.03)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S. The patients with low SUVs (≤7) had significantly better times to progression than those with high SUVs (>7, p=0.04). A multivariate Cox analysis identified performance status and the SUV as important for the prognosi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V i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Korean J Med 77:76-83, 2009)

      • 카드뮴 독성에 대한 Metallothionein의 보호 작용

        이샛별,김완종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5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11 No.1

        The protective roles of metallothionein(MT) exogeneously adiministered have been examined in the liver and kidney of cadmium(Cd) treated mouse, In Cd treated mouse, cellular damages such as nuclear pyknosis and necrosis were observed, Increased intercellular spaces and obscure liver lobules were often observed. The extent of damages of liver cells in Cd-MT treated group decreased compared with Cd treated group. And also, MT reactivity of this group was prominent in nuclei and cytoplasm. The enzyme activities of ALT and AST showed less alterations in CchMT treated group. In the case of kidney, protective effects of MT against Cd toxicity were comparatively not clear, In conclusi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metallothionein reduces cellular damages resulted from cadmium in the liver of mouse.

      • KCI등재

        자폐의 정도에 따른 행동조절법의 적용 : 증례보고

        샛별,이긍호,최영철 大韓小兒齒科學會 199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5 No.3

        치과의사는 자폐인의 치료시 자폐증의 정도와 의학적 관리가 필수적인 질환, 내과적 병력 , 또는 현재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약물등을 고려하여 이에 따라 적절한 행동조절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행동조절 방법의 선택시 술자가 선호하는 방법을 우선 하기보다는 환자의 상태와 치과치료시 환자와 보호자가 받는 스트레스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자의 현증에 대한 적절한 행동 조절하의 치과치료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환자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치과에 내원할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과 지속적인 구강위생 관리이므로 보호자를 위한 구강위생 관리교육 및 주기적인 내원에 의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autism is a complex disorder, characterized language impairment, perceptual-motor difficulties, and social disturbance. The autistic children have hyperactivity, lack of cooperation, inappropriate patient/dentist interaction, so they require pro fessionally recognized behavioral management technique during dental treatment such as behavior modification, pharmacological agents, and general anesthesia. A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 can be chosen by factors such as the severity of autism possible accompanying disabilities, degree of cooperation, oral and general conditions of children. A non-pharmacological behavior modification may be selected for the autistic children who are able to communicate with dentist with mild dental caries, without compromised medical history. In case of excessively hyperactive, destructive, antisocial, and/or severe communicative disorder, a sedation technic with chloral hydrate, antisocial, and/or severe communicative disorder, a sedation technic with chloral hydrate, hydroxyzine, midazolam or nitrous oxide gas might to be performed. General anesthesia is preferred for severe communicative and/or behavioral disorder, elder age, excessive dental care need, and living a remot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