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이지 전기 한학(漢學)의 유효성 논의 -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直)의 논리 -

        이새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1 No.-

        This article highlights how the introduction and prosperity of Western Learning affected the meaning of Chinese Learning in Meiji Japan. It focuses on the perspective of Masanao Nakamura (1832-1891), one of the greatest Confucian and Western Learning scholars of the time. After the Meiji Revolution, Western Learning education, which started at the end of the Tokugawa period, modified the traditional Chinese Learning-oriented education system from its origin. The academic mainstream quickly switched to Western Learning, and individuals had to learn it in order to succeed in society. However, this did not mean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of Chinese Learning disappeare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was inevitably accompanied by an increased demand for translations and a skyrocketing need for Chinese characters for translations. Moreover, as the literary style of official documents changed from Soro(候) to Kanbun Kundokutai(漢文訓讀體), there was a demand for a new level of sophistication and angle on Chinese Learning education. For this reason, Nakamura held that the basics of Chinese Learning were essential to learning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Western Learning. Nakamura's asser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hinese Learning fundamentally differed from the opinions of Chinese scholars from the generation after his.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Nakamura’s logic of correlation between his understanding of the West and the role of Chinese Learning. 이 글은 메이지(明治) 전기 일본에서 양학(洋學)의 도입과 융성이 한학(漢學)의 존재 의의와 어떠한 상관관계에 있었는지, 당대 최고의 유학자이자 양학자이었던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直, 1832-1891)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도쿠가와 말기부터 시작된 양학 교육은 메이지 유신 이후 기존의 한학 중심의 교육 제도를 그 근간에서부터 바꾸어 버렸다. 학문의 주류는 빠르게 양학으로 바뀌어 갔고, 사회에서 출세하기 위해서는 양학을 배워야 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곧바로 한학의 존재의의가 소멸된 것은 아니다. 서양 문명의 도입이 필연적으로 동반하게 되는 번역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한자로 된 번역어가 급증했고, 공식 문서상의 문체가 소로(候)문에서 한문 훈독체(訓讀體)로 바뀌게 되면서 한학적 소양에 대한 새로운 각도에서의 수요가 발생하였다. 나카무라에 따르면 한학의 기본 소양 없이 언론이나 정치, 학문 영역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기는 어려웠다. 그는 일정 수준 이상의 양학 학습을 위해서도 한학의 기초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이처럼 사회의 변화를 직시하면서도 한학의 유용성을 주장한 나카무라의 주장은, 1880년대 후반 이후 그의 후속 세대 한학 혹은 중국에 관한 지식인들의 논의와 근본적인 차이를 보인다. 이 글에서는 도쿠가와 시대의 마지막 유학자 세대에 속한 나카무라가 전개한 서양 이해의 논리, 그리고 이와 표리를 이루는 한학의 유효성에 대한 확신의 이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KCI등재

        포스트-소라이학(徂徠学)의 맥락으로 읽는 도쿠가와 후기 사상사의 논점: 메이지 유학자들의 사상적 토대

        이새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비평 Vol.- No.19

        Confucian intellectuals in early Meiji Japan spent their younger days in late Tokugawa period. Naturally, their thoughts were established within the context of Tokugawa intellectual history. Therefore, to understand the thoughts of Meiji Confucian intellectuals, one should not overlook the significance of their connection with the discourse of previous period. It is widely known that the popularity of the Soraism had reached its peak and declined in the middle of eighteenth century. Although the Sorai School lost its popularity, its teachings left great influence on Japanese intellectual histor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cess of history followed by the decline of Soraism and call it the context of ‘Post-Soraism’. I argue that there are three major points in the context of Post-Soraism. Firstly, the methodology of Soraism called the Ancient Rhetoric (kobunji), led to the unfolding of competitive market for letters in the late Tokugawa Japan. Second, Sorai’s emphasis on the actual political system led to the theory as Mito school’s ideas of kokutai. Third, the Kansei Edict can be construed as a result of anti-Soraism movement.

      • KCI등재

        中村正直의 文明론― 天의 사상과 品行의 관계

        이새봄 일본사학회 2015 일본역사연구 Vol.41 No.-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a common knowledge that the heyday of Japanese Confucianism was the latter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i.e. from the last days of the Tokugawa period to the early Meiji period. This historical fact is connected to a perspective which sees the Confucianism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auses in bringing about the Meiji Revolution in 1868. It has also been a pillar that supports the idea of continuity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okugawa and Meiji Japan. It opposes the argument that sees the Meiji Revolution as the starting point of Western modernization or the point of discontinuation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By focusing on the continuity of historical contexts between Tokugawa and Meiji Japan,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Nakamura Masanao's understanding of civilization. In order to illuminate it, I have put his Confucianist’s perspective on the forefront. It means that this article objects to the previous researchers' view which depicted him as a “Meiji Enlightenment thinker”. “Enlightenment” is not a historical term used at the time, but an invented concept to evaluate the past. With such an ambiguous term, one cannot give a clear explanation on why he put such an emphasis on Christianity. To show his logic on Christianity clearly,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his writings by sticking to the words and the standard of value that he actually stated. In doing so, the correlation between his idea of civilization and Confucian idealism would be the main focus.

      • KCI등재

        「경천애인설」에 나타난 나카무라 마사나오의 사상적 전환

        이새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비평 Vol.- No.16

        이 글은 일본의 메이지(明治) 초기를 대표하는 지식인의 한 사람인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 直, 1832~1891)의 메이지 유신을 전후로 한 문제의식의 전환에 대한 고찰이다. 소위 메이지 일본을 대표하는 계몽사상가로 꼽히는 나카무라에 대해 기존의 연구들이 주목한 부분은 영국 유학(1866~1867) 이후의 그가 전개한 본격적인 서양 이해의 논의들이었다. 그러나 나카무라는 영국 유학 이전에 이미 창평횡(昌平黌)의 최고 유학자로 확고한 사상적 기반 위에서 다양한 글을 남긴 바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전체 사상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영국 유학 이전 시기인 창평횡에서의 나카무라의 논의에서부터 출발해 메이지 이후로 연결되는 맥락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나카무라의 글 중 「경천애인설」(敬天愛人說)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경천애인설」은 1868년에 집필된 글로 귀국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쓴 글로 추정된다. 이 글에 는그의 유학적 세계관이 서양을 직접 경험하면서 겪은 사상적 변화가 드러나 있다는 의미에서 중요한텍스트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이 글을 전면적으로 분석한 적이 없었다. 이 글은 먼저 「경천애인설」 에 나타난 나카무라의 사상이 놓여 있는 맥락을 설명하기 위해 메이지 이전 시기의 그가 어떠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경천애인설」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통해 그특징을 알아봄으로써 이전 시기와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그의 사상적 변화를 분명히 밝혔다. 마지막으로 「경천애인설」상의 ‘하늘’[天] 개념을 선행연구들의 관점과 같이 기독교적 신(神)으로 봐야 할 것인지를 고찰함으로써 그의 종교 이해의 논리를 분석했다.

      • KCI등재
      • KCI등재

        메이로쿠샤(明六社) 지식인의 religion 이해의 맥락-니시 아마네(西周)의 「교문론」 분석-

        이새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7 일본사상 Vol.0 No.32

        One of the reasons that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late Tokugawa period paid much attention to Christianity was because they regarded it as the key factor contributing to the wealth and strength of the Western countries.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religion held by most of the so-called Western learning intellectuals after the Meiji Revolution was somewhat similar. They believed that it wa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realization of Civilization. Nishi Amane’s articles ‘On Religion’ were written in this historical context.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Nishi’s understanding of religion and his thoughts on how Japan should deal with it by analyzing ‘On Religion’. Also, some articles written by other members of the Meirokusha relating to religion would also be examined. 도쿠가와 말기부터 일본의 지식인들은 서구의 기독교에 주목했다. 기독교가 서구 국가들의 부강을 설명하는 요인이라는 점에서였다. 이 연장선상에서 메이지 유신 이후 본격적으로 기독교를 논의하게 되었을 때, 그들은 서양 사회에서의 기독교가 religion이라는 범주 안에서 이해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기독교가 아닌 종교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서양 사회에서 종교란 무엇이며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는지, 또 그것을 일본에 적용할 경우 어디에 해당하는지 등등에 대해 여러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했다. 이들의 관심은 학문적・정치적 논점으로서의 종교에 있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메이로쿠샤 회원들 간에 일어난 흥미로운 논의들 중 하나인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의 「교문론(敎門論)」이 있다. 본 논문은 「교문론」에 나타난 니시의 종교 이해 논리와 그에 대한 기대란 무엇이었으며, 이것이 어떻게 다른 메이로쿠샤 회원들의 논의와 연관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메이지 초기의 religion 이해가 가진 특유의 성격을 해명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