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경 어휘의 번역과 등가성에 관한 연구

        이보림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3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quivalence relationships in the key vocabulary from Revelations in the New Testament. Four versions of the New Testament were examined: SBL Greek New Testament, NIV English version, New Korean Revised Version and Revised New Korean Standard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fairly good one to one correspondence between Greek and English, which belong to the same language family and therefore share vocabulary with the same origin. On the other hand, Korean versions showed various results, which often lack consistency. Continuous researches in Bible translation are needed in order to obtain the best possible equivalence in the vocabulary translation in the given context. 본 연구는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몇몇 주요 명사 어휘들을 들어 그리스어 원어성경과 영어성경, 그리고 한글성경 중에서 개역개정판과 표준새번역 에서 해당 어휘들이 어떻게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원문과 번역문 사이에 어휘의 등가성이 어떻게 보존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그리스어와 영어는 동일한 어원을 가진 단어들이많아서 영어성경의 단어들은 그리스어 원어의 단어들과 대체적으로 대응이 잘 되는 편이었다. 반면에 한국어는 영어나 그리스어와는 동떨어진 언어로서 분석대상으로 사용한 버전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성경 원문 용어의 문맥 속에서의 정확한 진의가 최대의 등가성을 포함한 수용 언어의 용어로 번역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비교 및 분석 연구: 유네스코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보림,김창환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prehensive pla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Korea, the United States, England, and Germany based on the framework and criteria of UNESCO's discussion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2006, 2010). To this end, this study classified items into goals, directions, and major task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Korea and various coun- tries around the international world based on the UNESCO framework based on analyt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analyzed data. The conclusion obtained based on the UNESCO framework is that first, Korea's comprehensive plan, which deals with personal, cultural, and social dimensions in a balanced manner, is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the educational goals presented by the UNESCO framework,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Second, Korea, which presents seven other matters, including freedom, as th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nforms to the UNESCO framework at a high level, but the aspect of emphasizing reflux and fairness has been re- vealed as differences. In particular, other countries also did not emphasize reflux. Finally, Korea has a system that best meets the UNESCO framework and emphasiz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 KCI등재

        백워드 설계(Backward Design)에 바탕한 중등 ‘음악 영상 만들기’ 수업 설계 연구

        이보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3 음악교육공학 Vol.-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music video making classes in secondary music and creative areas based on backword design. To this end, McTai and Wiggins' backword design techniques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based on this, a three-step procedure was devised to make music videos in the creative area for secondary learn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ssence of important music curriculum content that can be hidden by video production activities. Second, evaluation criteria are clearly set even in situations where creative areas and media utilization are mixed. Third, the nature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is very prominent. Fourth,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and transferring learners, consideration of evaluation evidence, that is, the results of activities, is conducted in various ways in depth. Finally, in establishing a 'goal-evaluation-activity plan', the organicity of each stage is strengthened and integration is possibl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of methodological help to music creation classes using media.

      • KCI우수등재

        시각장애 학습자를 위한 음악비평수업모형 개발

        이보림 한국음악교육학회 2018 음악교육연구 Vol.47 No.1

        본 연구는 음악 감상을 즐기는 시각장애인들이 체계적 음악 비평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시각장애 학습자를 위한 음악비평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으로, 연구자는 교수매체 고안을 위해 문헌 연구를 하였고, 음악 감상과 비평에 대한 시각장애 학습자들의 요구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맹학교 고등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분석과 설문결과를 통합하여 음악비평수업모형을 개발한 후, 이 모형의 현장 적합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맹학교 음악교사 3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집중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Likert Scale)로 측정한 요구분석 결과를 볼 때, 음악 감상 선호도를 묻는 평균값이 4.47(SD=0.64)이고, 음악비평에 대한 관심은 평균 3.62(SD=1.22)였다. 여러 예술비평 유형에 관해 학생들은 대부분 다소 평이한 반응을 보였지만, 인상주의 비평유형에 대해서는 높은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스톨니츠(Stolnitz)의 5가지 예술비평유형과 펠트만(Feldman) 비평단계의 맥락적 수정(Contextual Modification)을 융합하여 만든 8단계 수업비평모형에 대해 전문가 집중 인터뷰를 통하여 진단한 결과, 3인 모두로부터 시각장애 학습자에게 적합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단계 순서나 확실한 차시계획 등에 대한 검토를 제안 받았다.

      • KCI등재

        인문적 소양 함양을 위한 하브루타 기반 음악교육 설계 방안 연구

        이보림 한국문화교육학회 202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8 No.2

        This paper aims to design Havruta-based music education to enhance humanities literacy. Humanities thinking, which looks at and thinks about humanity from various perspectives, is an indispensable part of all social and academic fields. Music education to foster humanistic literacy is meaningful in enhancing artistic and humanistic thinking skills and strengthening expressiveness through discussion and debate among studen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humanities and examined humanities literacy, the driving force behind cultivating humanities knowledge. Second, Habruta's educational method was examined and examined in relation to its effectiveness in that various discussions and debates were required to develop humanities. Third, music education was designed to foster humanistic literacy based on Havruta. Fourth, we devised the evaluation criteria for Havruta classes to improve humanities literacy. In music education linking humanities and music subjects, students' cognitive level is the biggest key to class success. Therefore, this study showed a case under the theme of 'We are one!'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entering behavior, interest inducement, and level of aspir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humanistic thinking skills, strengthen students'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expand artistic thinking skills, and develop expressiveness in school music education. 이 논문은 인문적 소양 함양을 위한 하브루타(Havruta) 기반 음악교육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관점에서 인류를 바라보고 생각하는 인문학적 사고는 모든 사회와 학문 분야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부분이다. 인문적 소양 함양을 위한 음악교육은 학생 상호 간의 토론과 논쟁을 통해 예술적ㆍ인문적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표현력을 강화시키는 데 의미를 둔다. 이 점에서 본 연구는 해석적 연구방법론을 토대로 하여 크게 4가지 연구의 과정을 거쳤다. 첫째, 인문학의 개념을 살펴보고, 인문적 소양 함양의 원동력인 인문적 리터러시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인문적 소양을 기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토론과 논쟁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하브루타의 교육법을 살펴보고 효과성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우리는 하나’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하브루타에 기반한 인문적 소양 함양을 위한 음악교육을 설계하였다. 넷째, 인문적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하브루타 수업의 평가 기준을 구안해 보았다. 인문학과 음악 교과를 연계한 음악교육에서 학생의 인지적 수준은 수업 성공의 최대 관건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의 내용을 통한 시사점으로는 하나의 주제를 바탕으로 생각하기-생각 펼치기-생각 넓히기-꿈 키우기-서로 격려하기-평가하기 로 이루어지는 수업의 형태가 하브루타에 기반한 인문적 음악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으로 일반화되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 한국어 화자의 영어 어말 폐쇄음 파열의 인지와 발음 연구

        이보림,이숙향,박천배,강석근,Lee Borim,Lee Sook-hyang,Park Cheon-Bae,Kang Seok-keun 대한음성학회 1999 말소리 Vol.38 No.-

        Researches on perception have, in recent years, been increasingly popular as a means of accounting for cross-linguistic sound patterns (Ohala, 1992; Hemming, 1995; Jun, 1995; Steriade, 1997 among others). In loanword phonology, Silverman(1990, 1992) argues that words from a source language are scanned through the perceptual level and that the features perceived by a speaker are stored in the input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his/her native language's phonological constrai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est the validity of Silverman's proposal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We specifically focussed o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stop release by contrasting English loanwords with English words loarned through education to see if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ubstan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speakers' perception of the loanwords pronounced by English speakers and their own production of those words. In the case of English words, however, the Korean speakers' productio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ir perception, although some inter-speaker variations were observed. With Optimality Theory (Prince & Smolenksy, 1993) as a theoretical framework of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theory is a useful means of implementing a phonetics-phonology interface and relating perceptual processes with speech production. Specifically, under the assumption that loanwords with [t]~[t/sup h/] alternation (e.g.,'cut') are originally borrowed into Korean as two different input forms, all the alternations could be straightforwardly accounted for in terms of a unified ranking of constraints.

      • KCI등재
      • KCI등재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시 엔드 페이퍼에 마스크팩 유효성분 첨가에 따른 모발 보호효과

        이보림,고경숙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는 마스크팩 유효성분을 흡착시킨 엔드 페이퍼를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시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고자 수행하였다. 시중에 판매되는 마스크팩 중 청귤, 콜라겐, 어성초 유효성분을 함유한 마스크팩을 구입하여 엔드 페이퍼에 흡착시켜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하였다. 실험 방법으로 모발 굵기, 모발 보습력, 인장강도, SEM을 이용한 모표피 관찰, EDS를 이용한 모발 구성 원소 분석을 하였다. 실험 결과 어성초 유효성분을 엔드 페이퍼에 처리한 실험 군이 모발 굵기, 인장강도, 모표피 관찰, 모발 구성 원소 분석 결과 모발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청귤 유효성분을 엔드 페이퍼에 처리한 실험군은 모발 보습력 실험 결과에서 비교적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유효성분들이 함유된 기초화장품 제품들을 활용하여 모발화장품으로 개발하여 활용하고, 산업현장에 서 화학시술 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료와 도구들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d paper adsorbed with mask pack active ingredients on hair during permanent wave treatment. Permanent wave was performed with purchasing mask packs containing green tangerine, collagen, and Houttuynia cordate active ingredients among commercially available mask packs and adsorbing them to the end paper. As experimental methods, hair thickness, hair moisturizing power, tensile strength, hair epidermis observation using SEM, and hair constituent element analysis using ED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Houttuynia cordate active ingredient on the end paper had a hair protection effect as a result of hair thickness, tensile strength, hair epidermis observation, and hair component analysi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green tangerine active ingredient on the end paper contain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moisture in the hair moisturizing power test result. It is hoped th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materials and tools will proceed so that basic cosmetic product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can be developed and used as hair cosmetics, and applied during chemical treatment in the industria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