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야기할머니의 이야기전달능력과 언어교수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민옥(Lee, Min-Ok),최나야(Choi, Na-Y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이야기 할머니의 이야기전달능력과 언어교수효능감이 어떠한지, 이 두 변인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속된 `이야기할머니` 43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할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변인에 따라 이야기전달능력, 언어교수효능감,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야기할머니가 되기 이전 교육경력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이야기전달능력, 언어교수효능감, 유아와의 상호작용 수준이 더 높았다. 둘째, 이야기할머니의 이야기전달능력, 언어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들과 유아와의 상호작용 하위 요인들 간에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야기할머니의 이야기전달능력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언어교수효능감 또한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이야기할머니의 이야기전달능력과 언어교수효능감을 높여 유아의 언어 발달 및 문학교육에 적합한 효율적이며 질 높은 풍부한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이야기할머니 양성과정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Storytelling Grandmothers story delivery capability and language teaching efficacy impact their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The surveys were carried out to Storytelling Grandmothers who served at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in metropolitan area, Gangwondo, Gyeongsangdo, Jeonlado and Chungcheongdo areas, also affiliated at the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Totally 43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key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Storytelling Grandmothers story delivery capability, language teaching efficacy, and interactions with children showed noticeabl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former career in the field of education. Furthermore, their level of education made differences to their language teaching efficacy and interactions with children, while older participants showed higher level of language teaching efficacy. Secondly, all the sub-factors of Storytelling Grandmothers story delivery capability, languag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interactions with children were positively correlated each other. Thirdly, Storytelling Grandmothers story delivery capability had great impact on their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their language teaching efficacy also affected on the interaction.

      • KCI등재

        만 3세 유아의 말하기·듣기능력이 내·외적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민옥(Lee, Min-Ok),최나야(Choi, Na-Ya),정수정(Jung, Soo-Jeong),조혜정(Cho, Hye-J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만 3세 유아의 말하기·듣기능력의 하위요인이 유아의 내적·외적 학습동기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16개 유아교육기관의 만 3세 유아 221명이다. 담임교사 23명이 질문지를 이용해 유아의 말하기·듣기능력과 학습동기를 평가하였다. Cronbach s α 계수, 왜도와 첨도를 산출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유아의 말하기·듣기능력의 하위요인이 유아의 내적·외적 학습동기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말하기 및 듣기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내적 학습동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적 학습동기는 유아의 듣기 태도 및 반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아의 듣기 이해와 태도, 담화구성 능력이 우수할수록 내적 학습동기가 강하고, 듣기 태도가 좋을수록 외적 학습동기가 강했다. 만 3세 유아의 말하기·듣기능력은 내적 학습동기를 높이는 데 중요한 변인이고, 인정, 칭찬, 격려와 같은 외적 학습동기도 어린 유아에게 의미가 있다. 유아의 음성언어 발달을 돕는 양육과 교육 환경 조성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 of subfactors of three-year-old children s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y on their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a classroom-based setting. Twenty-three teachers of 6 kindergartens and 16 daycare centers rated 221 three-year-old children s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y and their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children s intrinsic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subfactors of their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y. Their extrinsic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only with their listening attitude and response. When children s gender was controlled, children s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and attitude positively predicted their intrinsic motivation. Children s discourse abilities also influenced their intrinsic motivation. Meanwhile, only the listening attitude predicted children s extrinsic motivation in classroom-based setting. Three-year-old children 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play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ir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resulted from approval, praise, and encouragement, can be also meaningful for young children s development. Therefore, we recommend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which aim to support young children s spoken language development as one way to support children s motivation in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공간디자인 분야에서의 헬스케어디자인 연구 경향 분석

        이민아 ( Mina Lee ),박혜경 ( Heykyung Park ),오찬 ( Chanohk Oh ),백지원 ( Jiwon Baik ),김석태 ( Suktae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고령화된 현대사회는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양한 분야에서 헬스케어디자인에 주목하였고, 이는 헬스케어 환경인 공간디자인 분야에 집중되어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간을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디자인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하여, 헬스케어공간디자인이 갖는 현시점의 쟁점과 미래의 연구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재까지 축적된 헬스케어공간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체계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의 경향 분석을 위해, 2018년 11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키워드 검색, 학술지 분야 한정, 전문가 5인 판단으로 총 499건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1) 헬스케어디자인에서의 공간 의의를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공간을 개념화하여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의 의미를 밝히고, (2) 헬스케어디자인 관련 키워드로 KCI 시스템으로 대상논문을 추출하고, (3)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를 시계열, 연구방법, 그리고 대상공간, 중점 행위자, 디자인 요소 등의 공간디자인 하위주제를 유형화 하여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메타분석 결과, (1)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는, 2002년을 시작으로 전통적 헬스케어디자인 범주인 환자와 의료인의 행위 영역인 병원 중심에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고령자복지공간으로, 그리고 일반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일상공간까지 헬스케어공간이 확대되며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 (2) 연구방법으로 사례분석, 설문조사, 실험 및 평가가 수행되어,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된 결과물의 방향성 제시를 위해 실증적 연구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3) 효과적인 헬스케어공간 구현을 위해 공간디자인 요소를 단일 요소가 아닌 복합적으로 제시하는 연구 경향을 발견하였다. 또한 (4) 공간의 주된 기능이 직접적인 의료를 위한 공간뿐만 아니라, 타 기능의 공간에서도 정신적·육체적 건강 기반의 삶의 질 향상을 요구하는 사용자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 경향도 발견하였다. (결론)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를 메타분석한 본 연구는 전반적인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1차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로, 헬스케어디자인을 통한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이 갖는 시지각적 결과물의 방향성을 발견하는 데 의미 있는 연구이다. 앞으로 공간 이외의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디자인 연구 경향도 분석하여, 각 디자인 분야별 헬스케어디자인 연구가 주목한 쟁점을 비교함으로써 헬스케어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종합적 디자인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y life, the aging modern society has paid attention to healthcare design in various fields, which was mainly researched in the spatial design field of a healthcar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research on healthcare spatial design to date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healthcare design centering on spaces to provide materials for current issues and to predict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Method) Meta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by selecting 499 papers in total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until November 2018, from keyword search, limited to journals, and 5 experts' judgement. In this study, (1) the healthcare space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space in healthcare design was conceptualized to reveal the meaning of research on healthcare spatial design, (2) subject papers were extracted by the KCI system with keyword related to healthcare design, and (3) as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the trend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sub topics of spatial design such as time series, research methods, target space, key actors, and design el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meta analysis, (1) the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staring from 2002 with expanding healthcare spaces from a traditional healthcare design category focusing on hospital, the area of behavior of patients and medical professionals, to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and even to everyday spaces for healthcare. (2) As research methods, empirical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analysis, survey, experiment and evaluation were mainly carried out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ser-centered design results, and (3) the trend of research was found that suggests spatial design elements in complex rather than single to realize effective healthcare spaces, and Also, (4) the research trends was found that deal with users who dem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not only in the space for direct medical care but also in other functional spaces. (Conclusions) This study, which meta analyzes the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is a follow-up to the first study that analyzes the trend of overall healthcare design research, and is meaningful to find the direction of visual and perceptual results of the user's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healthcare design. By analyzing the trend in healthcare design research focusing on design other than spa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material for enabling comprehensive design prediction for healthcare design in the future by comparing issues of healthcare design research in each design sector.

      • KCI등재

        와이블 고장모형 하에서의 이중샘플링 T<sup>2</sup> 관리도의 경제적-통계적 설계 (이중샘플링 T<sup>2</sup> 관리도의 경제적-통계적 설계)

        홍성,이민,이주호,Hong, Seong-Ok,Lee, Min-Koo,Lee, Jooho 한국품질경영학회 2015 품질경영학회지 Vol.43 No.4

        Purpose: Double sampling $T^2$ chart is a useful tool for detecting a relatively small shift in process mean when the process is controlled by multiple variables. This paper finds the optimal design of the double sampling $T^2$ chart in both economical and statistical sense under Weibull failure model. Methods: The expected cost function is mathematically derived using recursive equation approach. The optimal designs are found using a genetic algorithm for numerical examples and compared to those of single sampling $T^2$ chart. Sensitivity analysis is performed to see the parameter effects. Results: The proposed design outperforms the optimal design of the single sampling $T^2$ chart in terms of the expected cost per unit time and Type-I error rate for all the numerical examples considered. Conclusion: Double sampling $T^2$ chart can be designed to satisfy both economic and statistical requirements under Weibull failure model and the resulting design is better than the single sampling counterpart.

      • KCI등재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돼지 수정란에서의 cd163 발현 효율 분석

        박미령(Mi-Ryung Park),이민국(Min Gook Lee),이보람(Bo Ram Lee),선아(Sun A Ock),변승준(Sung June B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4

        유전자 편집 돼지는 농업과 의료 분야에서 제공될 수 있어 폭넓게 각광 받고 있다. 최근 CRISPR/Cas9 시스템이 적용됨에 따라 genome editing이 효율적으로 향상되었다. 돼지 수정란 내 CRISPR/Cas9을 세포질내 미세주입으로 site specific mutations을 가능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수정란 내 cd163 gRNA와 CRISPR/Cas9 components를 이용하여 도입한 후 그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CRISPR/Cas9 protein과 cd163 gRNA를 수정란 내 주입하여 발달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대조구 (90.6%)와 미세주입 그룹 (78.9% and 85.2%)에서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배반포 발달율을 비교 분석 한 결과 CRISPR/Cas9 protein과 cd163 gRNA 주입 그룹 (19.9% and 19.6%)로 대조구와 (21.5%) 유사하게 나타났다. 각각의 배반포를 이용하여 cd163 유전자의 targeted modification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d163(10+134) gRNA를 주입한 그룹의 경우(22.7%) cd163(10) 주입한 그룹보다(12.9%) 유의적으로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유전자 변형은 4bp deletion 일어난 것부터 72bp insertions 패턴까지 다양한 패턴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CRISPR/Cas9 system을 돼지 수정란 내 미세주입 함으로써 유전자 편집 돼지 생산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ene editing (GE) in pig production can have a wide impact by increasing the availability of gene-edited pigs for agriculture and biomedicine. Recent applications of the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 CRISPR-associated protein 9 (Cas9) system hold promise for improving the efficacy of gene editing. The cytoplasmic microinjection of the CRISPR/Cas9 system enables the induction of site-specific mutations in porcine zygot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iciency of the CRISPR/Cas9 protein and cluster of differentiation 163 (cd163) guide RNA (gRNA) components for introduction into zygotes by cytoplasmic microinjection. The cleavage rates of the CRISPR/Cas9 protein and cd163 gRNA injected groups (78.9% and 85.2%) were statistically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90.6%). Moreover,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s of the CRISPR/Cas9 protein and cd163 gRNA injected groups (19.9% and 19.6%) were also statistically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21.5%). When individual blastocysts were genotyped, we observed targeted modification of the genes in the subsequent blastocysts. In the samples of 10 ng/ul, each of the CRISPR/Cas9 protein and the cd163 (10+134) gRNA injected group (22.7%)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in the 10 ng/ul samples each of CRISPR/Cas9 protein and cd163(10) gRNA injected group (12.9%). Various types of indel mutations, including 4 bp deletion to 72 bp insertions, were detected in the mutant blastocy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RISPR/Cas9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produce gene-edited pigs by direct zygote injection.

      • KCI등재

        와이블 고장모형 하에서의 이중샘플링 T2 관리도의경제적-통계적 설계 (이중샘플링 T2 관리도의 경제적-통계적 설계)

        서양모 ( Yang Mo Seo ),홍성 ( Seong Ok Hong ),이민구 ( Min Koo Lee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5 품질경영학회지 Vol.43 No.4

        Purpose: Double sampling T2 chart is a useful tool for detecting a relatively small shift in process mean when the process is controlled by multiple variables. This paper finds the optimal design of the double sampling T2 chart in both economical and statistical sense under Weibull failure model.Methods: The expected cost function is mathematically derived using recursive equation approach. The optimal designs are found using a genetic algorithm for numerical examples and compared to those of single sampling T2 chart. Sensitivity analysis is performed to see the parameter effects.Results: The proposed design outperforms the optimal design of the single sampling T2 chart in terms of the expected cost per unit time and Type-I error rate for all the numerical examples considered.Conclusion: Double sampling T2 chart can be designed to satisfy both economic and statistical requirements under Weibull failure model and the resulting design is better than the single sampling counterp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