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 교육’ 연구동향과 쟁점: 교육사회학 연구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민경 한국교육사회학회 2013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3 No.-

        세계화의 진전과 함께 2000년 이후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는 초국적 이주자의 증가 는 규모와 범위, 속도에서 과거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지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주자들 의 증가는 그 자체로서 사회 · 문화 · 경제적 요인을 포괄하는 복합적인 현상이며, 이주 로 인한 영향은 개인의 삶을 지배하는 미시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구조와 질서 등 거시적인 차원의 변화를 추동하는 매우 막강한 동인이다. 이처럼 세계화와 이 주로 인한 최근의 급격한 변화를 새로운 근대화 과정, 즉 ‘두 번째 근대 화’(Beck-Gransheim, 2008)로 명명하면서 근대화에 버금가는 새로운 삶의 질서로 개념 화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이민경·김경근, 2012).

      • KCI우수등재

        평등에서 경쟁으로?: 프랑스 대학입시제도 혁신의 특성과 쟁점

        이민경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ationale for the recent French university admission reform by exploring its characteristics and issues. As France carried out educational innovation in 2018,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was completely reorganized into a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ORE Act (Loi relative à l'orientation et à la réussite des étudiants). In line with the new college admission system, the high school curriculum was also reorganized and implemented in 2021. This reform,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university selection system as its core, has sparked a heated social debate in that it changes the basis of French university entrance exam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s college admission system by analyzing what kind of socio-cultural or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is, what the key changes are, and what the main issues are in France's new university entrance system reform. To this end, in order to provide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proposal for entrance examination refo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nch higher education system and the background of the reform proposal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re summarized. Next, major changes such as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baccalaureate (Bac) test are analyzed according to France's college admission reform plan. Lastly, the issues surrounding France'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reform are analyzed, and,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a Korean entrance examination policy are presented. 이 논문은 최근 단행한 프랑스 대입개혁안의 특성과 쟁점을 탐색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려는 것을목적으로 하고 있다. 프랑스는 2018년 교육혁신을 단행하면서 ORE 법(Loi relative à l'orientation et à la réussite des étudiants)에 의해 대학입시체제를 기존의 추첨제에서 선발제도로 전면 개편하였다. 새로운 대입제도에 맞추어 고교교육과정도 개편하여 2021년부터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성적에의한 대학선발체제 도입을 핵심으로 하는 이 입시개혁안은 프랑스 대학교육의 근간을 흔드는 변화라는 점에서 뜨거운 사회적 논쟁을 촉발해 왔다. 이 논문은 프랑스의 새로운 대학입시 제도 개혁에는 어떤 사회문화적 혹은 교육적 배경이 있는지, 핵심적인 변화내용과 이로 인한 주요한 쟁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한국사회 대입제도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입시개혁안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프랑스 고등교육 시스템의 특성과 대입제도 혁신안의 배경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대학입시개혁안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바깔로레아(Bac)시험 등 주요한 변화내용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입시 개혁안을 둘러싼 핵심적인 쟁점을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한국사회 입시정책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보육교사의 영아돌연사증후군에 대한 인식과 예방실태

        이민경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12 아동중심실천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아돌연사증후군에 대한 인식과 예방실태를 조사하여 예 방을 위한 대책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0세 영아를 보육하고 있는 서울지역 어린 이집 보육교사 3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설문지는 미국 AAP와 보건복지부가 제시한 영아돌 연사증후군 예방지침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처 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영아돌연사증후군 발생 불안감에 대해 낮게 인식하였지만, 사고 발생 시 죄책감과 회의감, 경제적 보상과 법적 책임 등에 큰 염려를 느 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돌연사증후군 사고원인으로 ‘영아의 건강을 높게 인식하였지만 ‘영아의 수면자세’와 ‘수면환경’이 원인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을 보였다. 둘째, 영아돌연사증후군을 예 방하기 위하여 ‘보조 조명 또는 밝기 조절장치 설치와 어린이집 금연 홍보’ 실태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 며, 보육교사의 42.78%가 안전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영아의 건강관리는 적극적으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는 영아돌연사증후군 예방을 위하여 총 평균 4.14점의 높은 예방보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그 중 건강관리(4.42점), 온도․공기 관리(4.34점), 수유지도(4.42 점)에서 높은 실태를 보였다. 하지만 수면지도(3.88점), 수면환경 관리(3.95점) 실태는 낮게 나타났으며, 그 중 필요시 노리개 젖꼭지 사용(2.81점)과 낮잠 중 조명등 사용(3.10점)은 가장 낮은 실태를 보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71.0%가 영아돌연사증후군 발생률을 높인다고 보고된 ‘엎드려 재우기나 옆으로 재우 기’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영아돌연사증후군 사고를 예방을 위하여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올바른 수면자세와 수면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체적인 안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의 제도적․재정적인 지원이 강 력히 요구된다.

      • KCI등재

        판매자의 두 가지 설득전술이 심리적 의무감에 미치는 영향: 정보보유도의 조절효과

        이민경,박경도,이호택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1 마케팅논집 Vol.29 No.1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seller’s two influence tactics of recommendation strategy and incentive strategy on luxury cosmetic customer’s felt obligation.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form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ler’s two influence tactics and customer’s felt obligation. To this end, survey was conducted on 185 luxury cosmetics consumers,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1)seller’s recommendation tactics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to customer’s felt obligation, (2) seller’s incentive tactics reveal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customer’s felt obligation, and (3) consumer informedness ha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ler’s two influence tactics and customer’s felt obligation. Finally, the authors describ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고관여제품인 명품화장품 판매와 관련하여 판매자의 두 가지 판매설득전술인 추천 전술과 인센티브 전술이 소비자의 심리적 의무감에 미치는 영향과 판매설득전술과 심리적 의무감 사이의 관계에서 소비자 정보보유도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명품화장품 소비자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서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가 지각하는 판매자 추천전술은 소비자의 심리적 의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소비자가 지각하는 판매자 인센티브 전술은 소비자의 심리적 의무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자 정보보유도는 명품화장품의 추천 전술과 인센티브 전술이 심리적 의무감의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판매자의 추천 전술이나 인센티브 전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상황은 소비자의 정보보유도가 높은 상황보다는 정보보유도가 낮은 상황으로 이러한 상황에서 판매설득전술이 심리적 의무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향후연구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 KCI등재

        데이터 기반 실시간 성과관리시스템 도입을통한 경영혁신: GC(녹십자홀딩스)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경,김보영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3 창조와 혁신 Vol.16 No.1

        Companies considering improving the traditional performance managementsystem in line with digital natives’ expans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acceleration, centered on generation Z, are using the working environmentalchang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s an opportunity to adopt a new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Primarily, companies that attemptdata-based, real-time performance management combining AI- and bigdata-based people analytics with performance management have recentlyemerged. This study aims to present specific strategies and promotionmeasures to the companies reviewing the real-time performancemanagement system. It is performed through a case study of Green CrossHoldings (GC), which has adopted the data-based, real-time performancemanagement system and has successfully applied it through a retrospectiveevaluation-focused tradi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To this end,this study used a ser-M model consisting of subject, environment, resource,and mechanism as an analysis frame in order to analyze the dynamicmechanism of innovative management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case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 the top management’s activeidentification of the environment and using resources in the new systemadoption’s innovative process were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Objectiveperformance management in which the subject used data, and challengingmanagement by objective, continuous feedback, and environmental creationmechanism in which digital natives’ forming bond of sympathy and activeparticipation were applied. From a functional aspect, this study ascertainedthe following: The most suitable system and priorities were selected for GCamong various factors, including subject, environment, and resources. Also, external capability absorption through open innovation, a learning process within the organization through internal capability consolidation, continual consultation to opinions for improvement, and a coordination mechanismthrough risk management were applied.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확장과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맞춰, 전통적 성과관리 방식의 개선을 고려하던 기업들은 COVID-19 팬데믹으로인한 근무환경의 변화를 새로운 성과관리시스템 도입의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반의 피플 애널리틱스를 성과관리에 접목한‘데이터 기반 실시간 성과관리’를 시도하는 기업들도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회고적 평가 중심의 전통적인 성과관리 방식에서 데이터 기반 실시간 성과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 성공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GC(녹십자홀딩스) 사례분석을 통해 실시간 성과관리 제도를 검토하는 기업들에게 구체적인 전략과 추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영혁신 활동의 동태적 메커니즘을 분석하고자 주체(Subject),환경(Environment), 자원(Resource), 메커니즘(Mechanism)으로 구성된 ser-M모델을 분석 프레임으로 사용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새로운 제도 도입의 혁신과정에서 최고경영자인 주체가 능동적으로 환경을 파악하고 자원을 활용한 것이 핵심성공 요인임을 확인했다. 특히, 주체가 데이터를 활용한 객관적인 성과관리, 도전적인 목표관리와 지속적인 성과피드백, 그리고 디지털네이티브 세대의 공감대 형성과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 기술 수용 환경을 창조한 환경창조 메커니즘이 적용되었다. 기능적 측면에서는 주체, 환경, 자원의 다양한 요소 중에서 현재 GC에 가장적합한 시스템과 우선순위를 선택(Selection)하고,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외부역량 흡수 및 내부 역량 강화를 통한 조직 내 학습 과정(Learning), 그리고 지속적인 의견 청취와 개선, 리스크 관리를 통한 조정(Coordination)의 메커니즘이 순차적으로 적용되었음을 확인했다.

      • KCI등재

        프랑스 다문화교육의 배경과 쟁점

        이민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France for Korea, in light of the fact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recently become an important social and educational issue with the changes in Korea’s position in the national and global context. In France where it is called “intercultural education (Education interculturelle)”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affirm democratic principles through sensitivity to multiculturalism, to recognize and accept the diversity of people and life. It is guided by the principles of openness, equal opportunity and justice, and social unity. As such education on multiculturalism is an intimate part of the civic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in France is not about paternalistic sympathy for minorities or simply learning about other cultures; it is about advancing the capacity for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on, and about reconstru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e ‘other’ through such critical reflection; it is an educational approach based on the principle of mutual equality. In particular, multicultural education in France focuses on building ‘perceptive infrastructure’ for differences and co-existence. In this regard, in terms of both content and direction, I believe the French example has much to offer to the inchoat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Korea. 이 논문은 프랑스 다문화교육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과 쟁점을 살펴보고 한국사회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에의 시사점을 찾으려는 시도로 연구되었다. ‘문화 간 교육(Education interculturelle)’으로 통칭되는 프랑스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적 감수성으로 민주적 이상을 확인하며, 인간과 삶의 복수성을 받아들이고 인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적 행위로 정의된다. 이러한 프랑스 다문화교육의 방향성은 다름과 공존의 지구촌 시대의 시민을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세계 시민교육의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다양성으로의 개방, 기회 균등과 평등, 사회적 통합이라는 기치 아래 이루어지는 프랑스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비판적 성찰능력의 증진을 통해, 나와 타자와의 관계를 설정하는 시민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다름과 공존의 삶에 대한 인식의 인프라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는 프랑스 다문화교육은 다른 사회의 사례로 한국 다문화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치매두려움에 대한 개념분석

        이민경,정덕유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8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9 No.2

        Purpose: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and clarify the concept of fear of dementia. Methods: The hybrid model method was used to perform a conceptual analysis of fear for dementia. Results from both the theoretical review of 35 studies and the field study with 8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tage. Results: Fear for dementia had 4 dimensions with 14 attributes including cognitive factors (direct experience of precursor symptoms of dementia, indirect experience of dementia, preliminary knowledge of dementia, impossibility of cognitive control, and confidence in dementia), emotional factors (negative feelings and pessimistic thoughts), social factors (social isolation, economic instability, embarrassment), and behavioral factors (existing health problems, making efforts to maintain health, impossibility of body control, peripheral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 along with 34 indicator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reveals the attributes of Korean elderly adults’ fear for dementia. In addition, the results may serve as a basis for the early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fear for dementia.

      • Hot Issue-Sensor Expo Japan 2006을 다녀와서

        이민경,장선호,Lee, Min-Gyeong,Jang, Seon-Ho IT-SOC협회 2006 IT SOC magazine Vol.13 No.-

        일본 동경 오다이바 Big Sight에서 지난 4월 5일부터 7일까지 사흘간 국제 센서 박람회가 개최되었다. 약 90여개사가 참여하여 가속도, 압력 센서 등을 선보였으며, 해외 센서 현황을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 장애인의 사회활동 및 문화·여가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이민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보건복지포럼 Vol.263 No.-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서 장애인의 사회 및 문화·여가활동 실태를 보면 장애인의 4.5%는 지난 한달 동안 전혀 외출하지 않았으며, 집 밖 활동 시 46.6%가 불편을 느끼고 있었다. 지난 한 해 영화를 관람한 경우는 24%로 전체 인구의 영화 관람 경험 61%에 비해 낮았고, 문화·여가활동의 만족 수준은 49.3%로 여전히 장애인의 과반은 불만족하는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이 만족스러운 사회활동과 문화·여가생활을 누리도록 하기 위해 대중교통에서의 편의 증진 방안과 장애인 특별운송수단 개선 논의를 소개하고 장애인의 문화·여가생활을 위한 제안, 투표 참여에 필요한 지원 등의 정책 제안 및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과 영향 요인

        이민경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5 재활복지 Vol.19 No.1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nfluencing factors on public service utilizatio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investigated based on Anderson model and analyzed the data of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y in 2011”focusing on those over 18 and under 65.(adults with disabilities, 3,289 persons). Public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service type; (1) income support(payment of disability allowance etc.), (2) medical assistance(support for medical cos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etc.), (3) care service(personal assistance services et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rough social consensus it should be guaranteed to provide public care services as the righ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ly, medical support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have a different targets and contents. It is necessary a change from the medical assistance services focusing the poor to the health care services supported in accordance with demand. Thirdly, it is suggested to manage a fund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provide personalized care services.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서비스 이용 현황과 영향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개별화지원 도입에 대한 함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의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 성인장애인 3,289명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장애인복지서비스 중 소득지원, 돌봄지원, 의료지원 서비스 이용의 영향요인에 대해서 앤더슨 모형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둘째, 장애인복지서비스 이용에 따른 장애인의 집단 구분과 이용 분포를 통해 장애인복지서비스 이용의 현주소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합의를 통해‘장애’에 대한 권리와 보장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그럼으로써 개별화 지원이 결과적으로 제한된 예산, 자원에 의해 조정되지 않고 권리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에 대한 의료지원은 보편적인 건강 지원 서비스로의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발생 초기에 의료 및 건강 관련 정보 등이 적절히 지원되어 필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에 대한 개별화지원 서비스를 위한 기금형태의 예산 운영을 제안한다. 개인의 욕구와 상황에 부응하여 예산 운영을 해야 하는 돌봄 지원 등의 개별화지원 서비스의 경우, 현재 공공부문 예산의 경직적 운영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기금 등의 독립적인 예산 운영을 통해 재원의 유연성을 도모하는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