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사격 조사 ‘-(으)로’의 의미기능에 따른 중국어의 대응 양상 연구

        이문화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어 교육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Korean adverbial particle ‘(eu)ro’ by looking at actual linguistic data presented in a newspaper parallel corpus and a drama parallel corpus, and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correspondence with the Chinese language through various semantic functions. It is meaningful to analyze and describe the complex Chinese correspondence to the Korean adverbial particle ‘(eu)ro’ by contrasting newspaper and drama parallel corpora.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and compare the relative usage of the respective meanings of the adverbial particle ‘(eu)ro’ using a parallel corpus of approximately 600,000 words that consists of a parallel newspaper corpus of 300,000 written words and a parallel drama corpus of 300,000 spoken words.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meanings of the adverbial particle ‘(eu)ro’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suggests what supplementary meanings should be added based on the corpus analysis. In addition, the different cases of correspondence with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will be provided as a basis for practical translation and communicative education related to the adverbial particle ‘(eu)ro’.

      • KCI등재

        한국어 사동표현과 중국어 무표지 어휘 사동의 대응 현상 연구 -한·중 병렬말뭉치 중심으로-

        이문화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9 언어사실과 관점 Vol.48 No.-

        Based on a parallel corpus of 1,700,000 syntactic words including newspaper report texts and subtitle texts of TV series, this contrastive study analyzed the corresponding structures in Korean and Chinese causative expressions.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and elucidated these correspondences and their major tendencies. In particular, it tried to probe the causes of these tendencies. Furthermore, it illustr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corresponding structures in written versus spoken languages, and tried to find the causes of these differences. The research found that the first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correspond most frequently to the “multi-category causatives” in Chinese; it further calculated and listed the frequencies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nefit both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learns of Chinese in acquiring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and unmarked causatives in Chinese respectively. It will also help the translation from Korean causative expressions to their unmarked Chinese counterparts.

      • KCI등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선어말어미 사용 오류 연구

        이문화,한승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0 한국어 교육 Vol.3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levels, and types of errors according to Chinese language user’s usage of prefinal endings in the learner error corpus constr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roficiency level in the written corpus, the lower the error rate of the spoken word ending, and the opposite applies to the spoken corpus. The written and spoken corpus share a lot of common tense errors, especially in the past tense. The study further examined the patterns of the prefinal ending errors amongst the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The types of errors in the prefinal endings according to the level of error and the aspect of error were analyzed. The errors in the prefinal endings were found to be mainly due to syntactic errors. Furthermore, the analysis demonstrates the necessity of separating writte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thus can serve as useful resources for teachers, learners, and research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 ‘-고 있다’와 ‘-아/어 있다’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이문화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5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37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references on Korean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subdividing the meanings of auxiliary predicates of ‘-고 있다’와 ‘-아/어 있다’ for Chines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examining their respective Chinese corresponding phrases and meanings. Despite the numerous Korean-Chinese contrastive studies recently, there are not many convincing studies on the ‘-고 있다’ auxiliary predicat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it examined 50,000 syntactic words from the parallel corpus, differentiated the written words from the spoken ones, analyzed the usage aspects of the meanings of ‘-고 있다’와 ‘아/어 있다’ respectively, and identified the meanings which are not commonly used. Second, the respective meanings of ‘-고 있다’와 ‘-아/어 있다’ and their corresponding Chinese phrases in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were scrutinized. Third, similar Chinese corresponding phrases and those corresponding phrases that are not usually used were picked out and further delved into. Finally, rules and differences the emerged from such corresponding phrase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This study is relevant in three ways. First, it clarified the complex meanings of Korean ‘-고 있다’와 ‘-아/어 있다’ and their corresponding Chinese phrases by utilizing the parallel corpus method which incorporates both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Second, it can be used as a useful reference, a textbook or a dictionary compilation,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inally, it can also positively contribute to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education and contrastive studies specifically as a basic resource in differentiating written language from the spoken one.

      • KCI등재

        한국어 선어말어미 ‘-았/었-’, ‘-았었/었었-’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이문화,정효진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5

        본 연구는 실제 한중 신문과 드라마 병렬말뭉치 자료를 통하여 한국어 선어말어미 ‘-았/었-’과 ‘-았었/었었-’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모습과 그들이 중국어와 대응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글말이나 입말에서 ‘-았/었-’의 세 가지 의미가 모두 출현하였지만 주로 [과거] 의미의 ‘-았/었-’으로 많이 나타났다. 한편, ‘-았었/었었-’은 글말보다 입말에서 비교적 더 많이 출현하였다. 다음으로 중국어와의 대응을 살펴보았을 때, 글말에서는 [과거] 의미의 ‘-았/었-’이 주로 중국어 문장 안에서의 ‘과거 시간’을 통해 과거 시제를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입말에서는 중국어 과거 시제 조사 ‘了’와 주로 잘 대응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와는 달리 ‘-았었/었었-’은 글말에서는 주로 ‘대응 없음’으로 나타났고 입말에서는 과거 시제 조사 ‘了’와 주로 잘 대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입말에서 ‘-았/었-’의 세 가지 의미와 ‘-았었/었었-’이 모두 중국어 과거 시제 조사 ‘了’와 대응되는 현상이 있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았/었-’ 과 ‘-았었/었었-’의 오류를 빈번하게 범하는 이유를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한국어 번역이나 의사소통 교육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기반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 황사현상과 중국의 환경오염 문제점

        이문화 한몽경상학회 2005 동중앙아시아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중국 황사현상의 원인과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연구하고 있다. 황사의 직접적인 발생 동력은 대기상의 기상현상인 강풍의 발생으로 인하여 야기되지만, 문제의 근본 원인은 인간의 불합리한 토지이용으로 인해 초래된 토지사막화이며 토지사막화의 원인은 결국 물부족이다. 중국 내 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해 밝혀졌듯이 토지사막화와 사막지역 인구의 증가 곡선은 완전하게 일치한다. 따라서 토지 사막화의 주요 원인은 전통적으로 농경에 부적합하여 수렵과 유목활동에 종사하던 지역에서 인구증가에 따라 증대되는 식량 증산 수요를 충족하며 살아남기 위하여 농경에 부적합한 토지를 부단히 개간하고 농목교차지역(農木交叉地域)을 부단히 북방으로 이동시켜 왔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같은 자연환경용량을 초과한 과도한 토지이용은 식생을 파괴하고 수자원을 고갈시켜 토지사막화를 촉진시켰다. 최근에는 중국정부가 그동안 권장하고 장려해 오던 서북부 초원 및 사막지대에서의 농지개간과 오아시스 농업지대 조성 및 확장사업을 오히려 통제하고 있다. 그동안의 연구조사를 통하여 이같은 행위가 결국에는 주변지역 수자원의 고갈과 토지사막화를 촉진시킨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접미사 사동과 중국어 사동의 대조연구

        이문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7 언어와 문화 Vol.13 No.4

        This study examined, clarified and interpreted the reasons behind the various correspondence patterns of Korean causative suffixes and Chinese causative forms by analyzing a parallel corpus of drama. First, the case-frames of the Korean causative suffixe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whether their roots were automatic, transitive or adjective. Subsequent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corresponding Chinese causative form could be determined by the root of the Korean causative suffix. This means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root of the Korean causative suffix and the meaning of the Chinese causative forms, ‘讓, 叫, 给,把'. Finally, corresponding Chinese causative forms differ according to the case-frames of the Korean causative suffix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certain patterns between the root type and case-frames of Korean causative suffixes and their corresponding Chinese causative form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help Chinese Learners of Korean to identify whether a particular Korean suffix is causative or passive. This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so be useful for translating and communicating complicated Koran suffixes to Chinese learners.

      • KCI등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전성어미 사용 오류 연구

        이문화,한승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verall transformational ending errors of Korean Learners in Chinese Language and examine the patterns and types of errors. Methods For this purpose, 1,467 examples of grammatical ending errors by Korean Learners in Chinese Language were analyzed from the error annotation corpus constr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mong them, there were 1,040 errors in written language and 427 errors in spoken language. After analyzing learners' errors by dividing them into written and spoken words, the types, patterns, and levels of errors for each proficiency level from beginner to advanced were examined. Results Korean Learners in Chinese Language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use transformational endings in written and spoken words. In general, the error forms of mainly adjective endings were calculated relatively. In addition, the types of errors shown with high error rate in written language are ‘syntactic error’ and ‘form error’. A high rate of error in spoken language is ‘pronunciation error’. Also, errors in the form of ‘replacement’ were found with high frequency in written and spoken words. Lastly, ‘misformal aspect + form error’ and ‘replacement aspect + syntactic error’ appeared relatively frequently from intermediate to advanced in written or spoken language.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the types of errors in the transformational endings that appeared in each stage of the Korean Learners in Chinese Language according to the level and pattern of the error targeting the error annotation learners cor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re are more errors in the transformational endings produced b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ducate Korean Learners in Chinese Language from beginner to advanced in the educational field. 목적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전성어미 오류를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오류의 양상과 유형을 살펴보도록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에서 구축한 오류 주석 말뭉치에서 중국어권 학습자의 전성어미 오류 용례 1,467개를 분석하였다. 그 가운데 문어의 오류 용례는 1,040개, 구어의 오류 용례는 427개로 정리됐다. 문어와 구어로 구분하여 학습자의 오류를 분석한후 초급부터 고급까지 각 숙달도별 오류 형태, 양상, 층위까지 살펴보았다. 결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문어와 구어에서 전성 어미 사용 오류의 경향성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보면 주로 관형사형 어미 ‘-는’, ‘-(으)ㄴ’, ‘-(으)ㄹ’의 오류 형태가 비교적으로 많이 산출하였다. 또 문어에서 고빈도 오류율로 나타난 오류 유형은‘통사 오류’와 ‘형태 오류’이다. 구어에서는 나타난 고빈도 오류율은 ‘발음 오류’이다. 그리고 문어와 구어에서 ‘대치’ 양상의 오류는고빈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어나 구어에서 중급에서 고급까지 주로 ‘오형태 양상+형태 오류’, ‘대치 양상+통사 오류’는 비교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의 오류 주석 학습자 말뭉치를 대상으로 오류 층위, 양상에 따른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각 단계에서 나타난전성어미의 오류 유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중급, 고급 학습자들이 산출한 전성어미의 오류가 더 많다는 것을 보면 교육 현장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초급부터 고급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교육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