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1 KNCAP 측면충돌 및 기둥측면충돌 시험결과 고찰

        이동준,최영태,이광원,임재문,Lee, Dongjun,Choi, Youngtae,Lee, Kwangwon,Lim, Jaemoon 한국자동차안전학회 2011 자동차안전학회지 Vol.3 No.2

        The side impact test in the Korean New Car Assessment program (KNCAP) has been conducted since 2003. The side impact test method has been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vehicle side structure and the enhancement of the occupant protection performance for the domestic vehicles. The pole side impact test method introduced in the KNCAP in 2010 to enhance the head protection under the severe side crash environment. The pole side impact test is optional for the additional score to be added to the overall rating score. The test results of side and pole side impact test for five vehicles were introduced and compared.

      • KCI등재

        Coarse to Fine 단계를 통한 TerraSAR-X Staring Mode 다중 관측각 영상 정합기법 비교 분석

        이동준 ( Dongjun Lee ),김상완 ( Sang-wan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3

        최근 사용 가능한 고해상도 위성 SAR 영상이 다양해지면서, 변화 탐지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SAR 영상에 대한 정밀 정합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다중 관측각 환경에서의 고해상도 SAR 영상간 정합은 SAR 영상의 특성상 발생하는 스펙클 노이즈, 기하 왜곡 등에 의해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TerraSAR-X의 staring spotlight 모드로 촬영된 고해상도 SAR 영상을 활용하여, 개략정합 단계와 정밀정합 단계의 2단계에 걸친 영상정합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개략정합 단계에서는 적응형 샘플링 기법과 SAR-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를 결합하여 정합을 수행하였고, 정밀정합 단계에서는 3가지의 강성 정합 기법인 NCC (Normalized Cross Correlation), PC (Phase Congruency)-NCC, MI (Mutual Information) 기법과 비강성 정합 기법인 Gefolki (Geoscience extended Flow Optical Flow Lucas-Kanade Iterative)를 적용하여 정합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정합 결과는 RMSE (Root Mean Square Error)와 FSIM (Feature Similarity) 지수를 사용하여 정량적인 비교를 수행하였다. 사용한 모든 영상 조합에서 강성정합 기법은 Gefolki 알고리즘에 비해 저조한 정합 성능을 보였다. 강성정합 모델들은 지형기복이 큰 지역에서 정합오차가 크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Gefolki 알고리즘 적용 결과, RMSE 1~3화소를 보이며 가장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FSIM 지수 또한 다른 기법에 비해 0.02~0.03 이상 높은 값을 취득했다. 다중 관측각 영상에서의 고해상도 SAR 영상 간 정합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강성정합 기법에 비해 Gefolki 알고리즘을 통해 지형효과를 충분히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추후 변화탐지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전 처리 과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available high-resolution (< ~1 m) satellite SAR images, the demand for precise registration of SAR images is increasing in various fields including change detection. The registration between high-resolution SAR images acquired in different look angle is difficult due to speckle noise and geometric distortion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AR images. In this study, registration is performed in two stages, coarse and fine, using the x-band SAR data imaged at staring spotlight mode of TerraSAR-X. For the coarse registration, a method combining the adaptive sampling method and SAR-SIFT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is applied, and three rigid methods (NCC: Normalized Cross Correlation, Phase Congruency-NCC, MI: Mutual Information) and one non-rigid (Gefolki: Geoscience extended Flow Optical Flow Lucas-Kanade Iterative), for the fine registration stage, was performed for performance comparison. The results were compared by using RMSE (Root Mean Square Error) and FSIM (Feature Similarity) index, and all rigid models showed poor results in all image combinations. It is confirmed that the rigid models have a large registration error in the rugged terrain area. As a result of applying the Gefolki algorithm, it was confirmed that the RMSE of Gefolki showed the best result as a 1~3 pixels, and the FSIM index also obtained a higher value than 0.02~0.03 compared to other rigid meth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mis-registration due to terrain effect could be sufficiently reduced by the Gefolki algorithm.

      • KCI등재

        인터넷 도박 중독 청소년의 낙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동준(Dongjun Lee),박채림(Chaerim Park)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2 생명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인터넷 도박에 중독된 청소년들이 경험한 ‘낙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인터넷 도박을 시작한지 최소 1년 이상이 된 중, 고등학생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참여자들의 구술자료를 얻기 위해 연구자는 1:1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Giorgi(1970; 1985)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절차에 따라 분석했다. 분석결과, 총 5개의 주제들과 12개의 공통 의미단위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차별적인 호칭’, ‘편견’, ‘또래의 비난’, ‘관계의 단절’, ‘교사와 친구들의 차별적인 대우’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들의 낙인 경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igma' experienced by adolescents addicted to Internet gambling. For this purpose, 1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been online gambling for at least one year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To obtain oral data of the selected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er conducted a 1:1 in-depth interview,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suggested by Giorgi (1970; 198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5 themes and 12 common semantic units could be extracte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d 'discriminatory title', 'prejudice', 'reproach from peers', 'severance of relationship', and 'discriminatory treatment by teachers and friend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minimizing the stigma experience of adolescents addicted to the Internet.

      • SWAT 모델의 국내 특성 반영을 위한 모델 및 보정방법 제안

        이동준 ( Lee Dongjun ),이서로 ( Lee Seoro ),홍지영 ( Hong Jiyeong ),박윤식 ( Park Youn Shik ),김종건 ( Kim Jonggun ),임경재 ( Lim Kyoung Ja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수문모델을 활용하여 수자원을 관리하고 있다. 수문모델 중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델은 미국 농무성 연구소에서 개발된 유역 단위 준 분포형 모델로서, 장기간의 하천의 유량, 수질, 수문순환을 파악할 수 있다. SWAT 모델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수치표고모델, 토지이용도, 토양도, 기상자료가 필요하며, 입력자료를 기반으로 생성된 수문반응단위(Hyrdologic Response Units, HRU)를 이용하여 수문 현상을 모의한다. 또한, 지표유출, 기저유출, 지하수 물 흐름, 토양 수분 내 물 흐름과 같은 수문 현상을 모의하기 위해 물리적 공식들을 활용한다. 하지만 모델에서 사용되는 HRU의 경사도, 경사장 추출 공식, 토양유실 산정 공식들은 미국 지역에서 개발된 경험식으로 자동 산정되기 때문에 국내의 지형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델을 국내에 적용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보정방법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보정방법만으로 국내 특성을 반영하기에 한계점이 있어 SWAT 내부 Source Code를 수정하여 국내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모델을 개선하였다. SWAT 모델의 국내 모델 적용 첫 번째 문제점은 HRU의 지형적 속성자료(경사장, 경사도) 산정 공식으로 SWAT 모델은 HRU의 경사도 자료를 기반으로 경사장 자료를 추출한다. 하지만 국내에서 실측한 지형 자료와 SWAT에서 추출한 지형 자료는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미국 지형의 특성에서 개발된 경험식과 경사도가 급한 국내 지형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두 번째 문제점은 토양유실량 산정공식으로 SWAT 모델은 MUSLE 공식을 사용하여 모든 HRU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량을 산정한다. MUSLE 공식을 국내에 그대로 적용하여 모델을 구동하였을 경우, 토지이용에 따라 토양유실 발생량을 과대 또는 과소 산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 별로 토양유실 산정공식을 달리 사용하도록 모델 Source Code를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 SWAT 모델에서는 하천 단면 생성 시 큰 유역에서 적합한 공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측 하천단면 데이터를 활용하여 하천단면 산정 공식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모델 Source Code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기반으로 모델을 구동하였을 때, 기존의 모델에서 사용한 방법보다 실측 유량 및 수질을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정 방법 및 모델 엔진을 활용한다면 국내 수자원을 예측 및 관리하는데 크게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풍력에너지 정책 포트폴리오 구상을 위한 수단과 쟁점사항 고찰

        이동준(Lee, Dongjun),신영은(Shin, Youngeun),유경진(Yoo, Kyungjin),허은녕(Heo, Eunnyeo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본 연구에서는 풍력에너지 보급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정책의 포트폴리오의 구성이라는 최종 목적 하에 먼저 적용 가능 수단 및 주요 쟁점사항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먼저 FIT(Feed in Tariff)와 RPS(Renewable Energy Portfolio) 등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들과 선진국 사례들을 중심으로 적용 가능한 그 외의 정책에 대하여 검토해보았다. 또한 이러한 정책을 시행하였을 때 성공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내 주요 정책 변수에 대하여 조사해 보고, 향후 예상되는 국내 산업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장기적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정책에서 공통된 주요 이슈들과 블레이드의 대형화나 해상풍력발전 등 풍력산업에서 차별화되어 나타나는 이슈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러한 이슈들을 정책 포트폴리오 구성에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연구가 되지 않도록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하여 태양광과 풍력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발전전략을 세우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풍력발전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장기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개발도상국 신재생에너지 시장진출을 위한투자환경 유형 구분

        이동준(Dongjun Lee),부경진(Kyungjin Boo) 한국혁신학회 2015 한국혁신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신재생에너지분야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개발도상국 시장의 투자환경을 대표적 특성에 따라 유형화 하고자 하였다. 분석 데이터로는 Multilateral Investment Fund (MIF), UK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Power Africa,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BNEF)에서 공동으로 연구하여 55개 주요 개발도상국의신재생에너지 개발환경을 평가하여 발행하는 ‘Climate Scope 2015’ 의 평가지수들(신재생에너지 개발계획, 투자 및 자금조달 현황, 신재생에너지산업 가치사슬, 온실가스 관리 활동)을이용하였으며, K-means 군집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Climate Scope 2015’는 각 세부 평가항목을 조합하여 하나의 지수를 만들고 국가별 순위를 내는 것에 목적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 평가항목들을 기준으로 개발도상국 투자환경을 세분화 하여군집을 구성함으로써 진출지원정책 수립 시 전략적 접근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결과로 55개 개발도상국들이 아시아의 유망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군집과, 아프리카의유망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군집,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산업환경이 열악한 두 개의 군집으로나뉘어 총 4개의 군집으로 유형화 되었으며, 각 군집별로 평균적 특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at differentiate renewable energy markets in developing countries using K-means clustering analysis. As a data for empirical analysis, the clean energy country competitiveness index from ‘Climate Scope 2015’ which is released by Multilateral Investment Fund (MIF), UK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Power Africa and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BNEF) is used. The ‘Climate Scope 2015’ presents various kinds of indices about enabling framework, clean energy investment, low-carbon business and green house gas management activities in 55 major developing countries and ranked on a scale of overall renewable energy investment environment based on these indices. This study differentiate renewable energy markets in developing countries using clustering analysis based on these indices, and as a results, 55 developing countries segmented into 4 segments. On the basis of these 4 segments, several implications for tailored renewable energy foreign investment policies. are presented at the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