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TCA DO-178C와 새로운 RESSAC 소프트웨어 인증기술의 비교 분석

        이동민,이동우,오승준,권오성,나종화,Lee, Dongmin,Lee, Dongwoo,Oh, Seungjun,Kwon, Oseong,Na, Jongwhoa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20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14 No.no.spc

        RTCA DO-178C는 항공기 시스템의 감항성을 보장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지침서이다. 하지만, DO-178C는 최대이륙중량 150kg 이상의 무인기 인증에 적용하는 것은 무인기로 인한 위험의 심각도(severity)가 보통의 항공기보다 낮기 때문에 과도한 규제라는 의견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ASA와 FAA는 기존 항공기 인증 체계를 간소화 한 새로운 인증 체계 수립을 목표로 항공전자 인증표준 재편 및 간소화(RESSAC: Re-Engineering and Streamlining the Standards for Avionics Certification) 프로젝트를 2016년부터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적용되는 DO-178C 인증 프로세스를 분석하였고, DO-178C 인증 프로세스보다 과정 및 산출물을 간소화하면서도 비행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새로운 RESSAC 인증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고 장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RTCA DO-178C is a development guideline to ensure aircraft system airworthiness. However,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application of DO-178C to the development of UAV of more than MTOW 150 kg is over regulated because the severity of the risk from UAV is lower than that of normal aircraft. To address issue, EASA and FAA have been working on the Re-Engineering and Streamlining the Standards for Avionics Certification(RESSAC) project since 2016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a new certification scheme that simplifies existing aircraft certification procedures and standards.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DO-178C certification process and presents advantag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ew RESSAC certification process, which simplifies processes and outputs in comparing with the DO-178C certification process, while it ensures flight safety of the vehicle.

      • 급속경화 콘크리트 수축에 대한 실험

        이동민 ( Lee Dongmin ),이성철 ( Lee Seong-cheol ),이경찬 ( Lee Kyoung Chan ),이일화 ( Lee Il-wha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1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program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shrinkage of fast hardening concrete (FHC) which is used to replace the existing ballasted track with concrete track. In the test, curing method was considered as a test variable.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autogenous shrinkage was dominant on FHC while drying shrinkage was negligible. To represent shrinkage of FHC, a new model has been proposed through regression of the test results.

      • KCI등재

        인터랙티브 옥외광고의 표현 기법 특성에 대한 연구

        이동민(Lee Dongmin),박오름(Park Ohreum)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기존 4대 매체의 기능이 약해지면서 새로운 미디어가 부각하고 있다. 이는 기업 경쟁의 심화와 더불어 소비자정보 생산에 입각한 인터랙티브 활동에 따른 변화이다. 이러한 변화로 광고 분야에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강조되면서 옥외광고 또한 단순한 랩핑 광고 형태의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광고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받아들이는 인터랙티브 옥외광고로 변모하고 있다. 최근의 옥외광고는 다양한 콘텐츠의 실시간 반영 기술을 기반으로 소비자와 좀 더 밀접히 소통할 수 있는 양방향적 매체로 진화하고 있다. 인터랙티브 옥외광고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의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데 꼭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인터랙티브형 옥외광고를 분석하여 앞으로 옥외광고시장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옥외광고를 문헌을 통해 정의와 유형별 분류를 알아보고 인터랙티브 옥외광고의 크리에이티브 표현 방법을 국외와 국내의 사례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을 통해 인터랙티브 옥외광고가 소비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인터랙티브 옥외광고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functionality of the existing four media is waning and new media is rising. This change is due to the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with companies and interactive activities base on producing the consumer information. So the approach to ads in the future will be highlighted by the two way communication for the interactive marketing. These tend to appear in the outdoor advertising which is not a simple wrap advertising that consumers choose to accept it is the interactive outdoor advertising.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hanging patterns of interactive and the case of interactive outdoor advertising. And the impact of interactive outdoor advertising and interactive development of future access patterns to be investigated by the consumer surveys that is a case for interactive outdoor advertising.

      •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의 사회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동민(Lee, Dongmin),이지연(Lee, Jiyeo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1 No.-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새로이 부상하는 Active Senior의 사회적 참여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 예측하여 향후 노후세대를 맞이하게 될 60세 이상의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 디자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Active Senior 세대들은 이전 시니어 세대들과 다르게 IT 기술의 발달로 능동적으로 인터넷을 검색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등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Active Senior의 변화된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Active Senior가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귀납적 방법을 이용한 정성적 조사로, Active Senior에 관한 사용자 리서치를 바탕으로 서비스 대상자의 Persona를 작성, Service ideation을 진행 후 Service direction에 관한 Framework을 구축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Active senior의 Life style에 대응할 수 있는 service direction을 제시하였으며, 서비스 방향은 Direct와 Indirect service의 두 가지 방향성을 보였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각각의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콘텐츠 방식과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는 맞춤형 솔루션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위와 같은 서비스 방향을 통하여 제 2의 인생을 살고 있는 Active Senior들이 젊은 층과의 정보 격차를 감소하고, 그들의 원하는 사회활동을 본인들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바탕으로 질적인 삶을 살 수 있길 바란다. The population is getting older and leading us in to the aging society. Senior citizen take important roles in our society as an increase of their population and gaining more opportunities than ever before. They became a new generation what we call, an "Active senior". This study focuses on providing well-designed services to the active senior and they could be defined by looking in th their lifestyles. This study is formed with qualitative research which founded on inductive reasoning methodology, our procedure on this study begins with making personas based on the result of the user research regarding to the active senior the service ideation follows next in order to develop and get a direction to build a legitimate framework. We defined the service direction to the active seniors for their particular lifestyles as a result of the study, which led to direct and indirect service details. We assume that these services would require optimized solution for each one due to their different characteristics, which makes distinct from another in contents wise and increase accessibility. We expect this out come would modify and decrease the gap of an ability to gain infos between youngers and elders. Therefore, seniors to carry on their contented lives throughout optimized services and supports.

      • 소프트웨어 제품 개발 프로젝트 환경에 기초한 PMS 사용 프로젝트 품질 성과에 관한 연구

        이동민 ( Dongmin. Lee ),이석주 ( Seoukjoo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2 No.1

        글로벌 소프트웨어 시장은 연간 4~5%씩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렇듯 ‘규모’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소프트웨어 제품의 ‘질’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소프트웨어의 ‘질’을 위한 추가적인 활동을 사람이 일일이 추적하기 어려운 지표화, 진척도, 품질 등을 정량화 시키는 도구의 존재가 필요조건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제품 개발 프로젝트 환경에서 PMS 의 사용이 프로젝트의 정량화된 지표 데이터를 제공하고, 품질 성과에 관한 연구를 하는데 있다.

      • 액티브 시니어의 행동특성 분류에 따른 인터렉션 디자인 방향성에 관한 연구

        이동민(Lee, Dongmin),김정곤(Kim, Junggo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현재 우리나라는 2012년 기점으로 총 인구 대비 11.8%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현재 시니어들은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대수명의 증가 및 신체적 조건이 과거 시니어들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보수적이며 소극적이었던 성향은 진취적이며 합리적인 생활추구와 같은 의식변화도 동시에 일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급격한 고령화 추세로 인해 변화되는 시니어들의 생활특성을 반영한 사회 구조적인 움직임과 대응은 미진한 상황이다. 이런 사회 현상을 반영하여 본 논문은 시니어들이 생활하는 주거공간에서 심리적 변화요소를 파악하여 그들 특성에 맞는 디자인 해결방안을 제시해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현재 시니어의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생활양식의 특성을 분류하여 주거 생활에서 필요한 제품시스템을 파악하였다. 주거생활내의 필수적인 제품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니어의 제품 사용성에 어려움에 있다는 점을 전제로, 인터랙션 디자인 요소로서 시니어를 위한 제품 디자인에 고려되어야 할 방향성을 도출하였으며, 방향성에는 기본적인 시니어 제품의 필수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유니버셜 디자인 원칙을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유니버셜 디자인과 인터랙션 디자인 요소의 매트릭스를 바탕으로 현재 제품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특성을 근거로 제품디자인의 외형과 기능을 나누어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시니어층이 사용한 제품의 디자이닝에 따른 방향성 설정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Now, this country enters an aging society that aging people is 11.8% of the total population with 2012 as its starting point, and seniors are distinguished from the past seniors about increase of desired life time and physical conditions by t 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In addition, conservative and passive tendency is changed into promotion of adventurous and rational life. However, social structural movement and correspondence are unsatisfied by reflecting changed lifestyle of seniors by a sharp aging. By reflecting such social phenomenon, this study understands psychological change in residental space where old men live, so desires to suggest design solution that is suitable for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tudy desires to prepare an opportunity that can connect between product design and service for old men in the future. For this, this study desires to understand Internal and external necessary conditions in housing life that is suitable for their characteristics by dividing overall understanding of modern aging, psychological analysis according to this, and characteristics showing their changed lifestyle, and through this, to suggest design principle that can apply 5 kinds of product commonly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 combined with Interaction Design. Based on such investigated factors, the study desires to help problem solving of the rise of an aging society by suggesting design direction for seniors.

      • 사용자 사용상황을 고려한 모바일 지도 서비스디자인 연구

        이동민(Lee, Dongmin),이지연(Lee, Jiyeo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디지털 미디어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정보는 컴퓨터 영역에서 벗어난 다양한 디바이스로 제공되며, 현대인의 생활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게 되었다.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인터넷 환경과 다양한 이동형 개인 디바이스의 사용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획득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개인화와 맞춤형 정보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통용되는 모바일 지도 서비스는 다양한 정보들이 인터넷 지도 위에 매쉬업 되면서 실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표현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여러 사람의 참여와 협업에 의해 더욱 풍부한 콘텐츠로 만들어 지고 있지만 앞으로의 모바일 지도 서비스는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니즈와 부합되는 현재 상황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해야할 것이다. 모바일 지도 서비스의 차별화된 상황 속에서 이동성, 즉시 접속성이라는 기존의 매체와 차별화된 특성으로 모바일 지도서비스에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UX에 대한 방향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귀납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정성적 조사로, 기본적인 지도의 이해를 바탕으로 발전되어온 지도의 변화과정을 살피고, 모바일에 적용된 지도 서비스의 특성 및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사용자 유형을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사용자 유형이 적용된 모바일지도서비스를 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도출된 방향성으로는 현재 공간집약적인 기존의 지도서비스가 수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한계성이 있음과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다각적 맞춤형 솔루션 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지도서비스를 바라보는 관점을 세분화 하여, 공간적 관점 이외의 시간적 관점, 정보적 관점, 심리적 관점, 관계적 관점 그리고 감각적 관점을 설정하였으며 각 관점에 서 얻어지는 사용행위를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서비스 방향성을 통하여 모바일 지도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하고, 콘텐츠를 바탕으로 질적인 삶을 살 수 있길 바란다. Information is offered by various devices, departing from computer, through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is closely connected with a life of modern people. Necessity about acquisition of information users need increases by the environment with wireless internet information can be offered at anytime and anywhere, and various individual mobile devices, and user needs about personalization and customized information increase continuously. However, present mobile map service has its limit to express actual necessary information by doing mash-up of a variety of information on internet map. Richer contents are made b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several people, but the future mobile map service should offer information that is suitable for present condition fitting needs of user based on users’ information of the situation. In the differentiated situation ‘using in moving’ of mobile map service, the study is about new UX that can offer mobility and immediate access that ar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media in mobile map service.

      • < 전시-P-69 > 광합성 기작을 이용해 바이오슈가를 생산하기 위한 남세균의 최적배양조건 확립

        이동민 ( Dongmin Lee ),안지은 ( Ji-eun An ),이수민 ( Soo 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남세균(Cyanobacteria)은 광독립영양생장을 하는 원핵생물로서, 미세조류나 육상식물과 거의 동일한 광합성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엽록체의 진화적 조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광합성 생물은 동종형질전환(Homologous recombination)을 통해 유전자의 조작이 비교적 간편하며, Synechocystis PCC 6803과 S. elongatus PCC 7942, Synechococcus sp. PCC 7002의 3가지 strain에서 바이오 연료의 개발 기술들이 많이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낮은 수율로 인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남세균의 광합성 효율을 높여 바이오슈가의 생산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strain중에서 담수종인 Synechocystis PCC 6803과 S. elongatus PCC 7942를 선별하여 최적배양조건을 찾고자 한다. 이 균주들은 26-38℃의 다양한 배양조건들이 보고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광원이 중요한 배양조건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광원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26℃ 항온항습실내 배양기에서 30,000 lux, 100 rpm 조건으로 배양하며 24시간 마다 흡광도(Optical Density)를 750 nm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25 mM NaHCO<sub>3</sub> 첨가로 생장속도가 증가한 내용을 바탕으로 NaHCO<sub>3</sub>의 농도를 다르게하여 생장량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배양조건에 따라 광합성의 효율이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80% Acetone으로 색소를 추출하여 chlorophyll a와 total carotenoids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