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 및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자연재해별 취약지역 유형화

        이달별,나혜민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Crisisonomy Vol.12 No.12

        이 연구는 과거뿐 아니라 미래 재해에 취약한 지역을 사회적 특성에 따라 유형화하여 지역 특성에 따른 방재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는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및 도시ㆍ군 기본계획의 방재정책 수립 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재해 위험성 및 지역의 사회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있어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자연재해 저감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자연재해별 과거 피해 경험과 미래 위험성을 반영하여 지역의 사회취약성 및 사회역량에 따라 취약지역을 분류하였다. 분류 결과, 과거 재해이력만을 기준으로 한 취약지역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동시에 고려한 취약지역이 일치하지 않았으며, 미래에 취약지역의 범위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약지역 중 사회취약성은 높고 사회역량은 낮은 유형에 속한 지역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방재정책 수립 시 과거뿐 아니라 미래 재해가능성에 취약한 지역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특히 사회적 취약성이 높은 지역에 특화된 정책이 개발되어야 한다. In Korea, Natural Hazards Management Act and Comprehensive City Plans fail to consider the danger from future natural hazards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the communit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stablish actual and sustainable mitigation policies. This study aims to classify vulnerable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natural hazards (rainfall, wind, snow and storm) considering both climate change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 that vulnerable communities against the past natural hazards are different from those against the future hazards which are expected to create an impact on more communities. In addition, many vulnerable communities have characteristics of high social vulnerability and low social capacity. Thus, local governments would need to develop various policies tailored to social characteristics in the community in response to future natural hazards.

      • KCI등재

        Spatial Redistribution of Race after Natural Hazards in U.S. Metropolitan Areas

        이달별 대한토목학회 2023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7 No.4

        This study examines the short-term and long-term spatial redistribution processes of racial groups after natural hazards. It hypothesizes that racial spatial redistribution results after a natural hazard and that it may be different based on the racial group and the type of communities within a metropolitan area. Using a longitudinal data model that employs historical and multilevel analysis, it traces the racial changes that were brought about immediately after a hazard or several decades later, considering historical change patterns by community type. The results show that natural hazards have a differential effect based on race and these differences again show discrepanc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ommunity. Changes in the African American and Hispanic populations after the natural hazards are prominent across metropolitan areas. These groups, which moved to the outskirts of the metropolitan area immediately after the hazard, tended to concentrate again in the centers in the long term. The ultimate result was that racial diversity was reduced across metropolitan areas.

      • KCI등재

        The Growth of Low-Income Population in Floodplains: A Case Study of Austin, TX

        이달별,정주철 대한토목학회 2014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8 No.2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exposure of low-income people to floods in Austin. This exposure of low-income people couldfinancially and psychologically be more serious than that of others because they have less capacity to recover from the hazards. Thisstudy conducts four methods to track the vulnerability of the popu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perty values are lowerinside floodplains than outside floodplains; second, many floodplain areas have been developed for multi-family housings, mobilehomes, and single family housings in the very low-income neighborhoods between 1990 and 2000; third, low-income people aremore likely to live in floodplains, compared to higher-income people and the number has grown in floodplains; fourth, people withthe lower income are more likely to live in the areas including more floodplain. The more serious exposure and the increase of lowincomepeople in the floodplains could give a rationale for policy intervention in floodplain management and regulation. This studyproposes several policies for Austin to reduce property damage in floodplains, where low-income people tend to live.

      • KCI등재

        부산시 노인 인구의 공간적 확산과 집중-2000년~2010년 집계구 자료를 중심으로-

        이달별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29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ansion and concentration of the elderly in Busan. The recent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Busan, in particular, has the fastest growth of this population among large cities, which is likely to lead to various urban problem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grasp not onl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but also the changes over time in order to preemptively prepare for these urban problems. This study i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lderly by using cluster analysis and spatial statistics techniques for Census Tract, the smallest unit of space issu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elderly in Busan has been widely spread between 2000 and 2010, while this population, at the same time, has been concentrated in the specific areas. The most areas of Busan were already transformed into "elderly/old house" type in 2010 and this type has been evenly distributed in four zones during the study period. And Super-aged area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old urban areas and urban fringe areas. An understanding of the dualized spatial distribution of this elderly population can provide the basis for developing policies to alleviated urban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이 연구는 부산시 노인 인구의 공간적 확산과 집중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노인 인구의 증가가 중요한 사회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부산은 특히나 대도시 중 가장 빠른 노인 인구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다양한 도시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에 노인 인구의 공간적 분포뿐 아니라 시간에 따른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이러한 도시문제를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를 위해 통계청에서 발행하는 가장 작은 공간 단위인 집계구를 대상으로 군집분석과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노인 인구의 공간 분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부산의 노인 인구는 2000년~2010년 사이 공간적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왔으며, 동시에 특정지역으로 집중이 강화되어 왔다는 걸을 보여준다. 부산의 대부분의 지역이 2010년 이미 고령․초고령지역으로 변화되었으며 연구기간동안 노인/노후유형으로 변화된 지역이 4개의 권역에 고루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노인 인구의 공간적 확산을 설명한다. 동시에 초고령지역이 구도심지역과 도시외곽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연구기간동안 구도심으로의 집중현상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는 공간통계분석 결과는 부산에서의 노인 인구의 공간적 집중이 심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노인 인구의 이원화된 공간 분포에 대한 이해는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도시 문제를 완화하는 정책을 개발하는데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Differences in Neighborhoods’ Income According to Flood Risks in American Cities

        이달별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6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s’ income and flood risks. It tries to verify and generalize the conclusions of the previous post-disaster case studies that the low-income groups are more likely to is exposed to natural disasters, especially floods, by living in the high risk areas. Targeting ten metropolitan cities in the United State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neighborhoods’ income between inside and outside floodplains. The results show that income of neighborhoods with floodplains is likely to be higher than those in other neighborhoods. Subdivision of neighborhoods according to their income, however, makes the results different. In low-income neighborhoods, neighborhoods inside floodplains are likely to have lower-income than those outside floodplains, although there is a tendency of opposition in moderate- and high-income neighborhoods. This means that lower-income population tend to be exposed to more serious flood risks. The local governments’ hazard mitigation plans or policies that reflect this difference in exposure to flood risks according to neighborhoods’ income can contribute to reduction of social vulnerability to floods and finally bring down differential damages to some specific groups such as low-income populations.

      • KCI등재

        구급서비스의 지역 불균형: 부산시 119 구급활동일지 분석

        이달별 ( Dalbyul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는 부산소방재난본부의 119 구급활동일지를 이용하여 부산의 구급서비스의 지역적 불균형을 조사하였다. 2017년 구급신고 자료를 집계구 단위로 취합하여 구급서비스의 수요(신고건수, 인구대비 신고건)와 공급(신고건수, 인구대비 신고건수, 현장도착시간의 평균·변동계수·이상치, 관할구역 외 출동건수)의 공간분포를 GIS 공간통계분석 중 핫스팟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구급서비스의 수요와 공급 모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핫스팟지역과 콜드스팟지역이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이는 부산 내 구급서비스의 수요 뿐 아니라 공급이 지역적으로 불균형함을 의미한다. 특히 원도심과 그 주변지역과 부산시 외곽지역에서의 구급수요 및 공급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analyzed local imbalances in the supply and demand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Busan using the 119 emergency activity reports of the Busan Fire & Disaster Headquarters. The data for EMS activity reports in 2017 was converted into Jimgyegu unit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dicators representing the local imbalance of emergency demand and supply (number of reports, number of reports relative to the population, averag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outlier of on-site arrival time, and number of dispatches outside the jurisdiction) was analyzed using Hotspot analysis of GIS spatial statistics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ot spot area and the cold spot area where both supply and demand of emergency services are concentrated were clearly distinguished. This means that the supply and demand of emergency services in Busan are locally unbalanced. In particula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mand and supply of emergency services in the original downtown and its surrounding areas, and in the outskirts of Busan.

      • KCI등재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의 장소별 안전사고 발생을 중심으로

        이달별(Dalbyul Lee)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3

        Small accidents are common in places closely related to public life. This study focused on the neighborhood, i.e., the space where our daily lives take place, and sough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rhood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This study targeted Busan. Busan is highly likely to be vulnerable to safety concerns, as it has the highest proportion and increase rate of the elderly among large cities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neighborhood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nd observed the differences in safety accidents by place. Then, the causes of housing safety accidents (the most common type of safety accident) were identified from the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demonstrated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safety accidents by place according to the neighborhood type. In most neighborhoods, safety accidents in houses were the most common. In addition, the residents under the age of 14 and over 65, single-person households, housing types, and housing deterioration in a neighborhood we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valid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housing safety accidents.

      • KCI등재

        부산시 노인 인구의 공간적 확산과 집중 -2000년~2010년 집계구 자료를 중심으로-

        이달별 ( Lee Dal-byul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8 No.-

        이 연구는 부산시 노인 인구의 공간적 확산과 집중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노인 인구의 증가가 중요한 사회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부산은 특히나 대도시 중 가장 빠른 노인 인구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다양한 도시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에 노인 인구의 공간적 분포뿐 아니라 시간에 따른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이러한 도시문제를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를 위해 통계청에서 발행하는 가장 작은 공간 단위인 집계구를 대상으로 군집분석과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노인 인구의 공간 분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부산의 노인 인구는 2000년~2010년 사이 공간적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왔으며, 동시에 특정지역으로 집중이 강화되어 왔다는 걸을 보여준다. 부산의 대부분의 지역이 2010년 이미 고령·초고령지역으로 변화되었으며 연구기간동안 노인/노후유형으로 변화된 지역이 4개의 권역에 고루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노인 인구의 공간적 확산을 설명한다. 동시에 초고령지역이 구도심지역과 도시외곽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연구기간동안 구도심으로의 집중현상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는 공간통계분석 결과는 부산에서의 노인 인구의 공간적 집중이 심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노인 인구의 이원화된 공간 분포에 대한 이해는 노인인구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도시 문제를 완화하는 정책을 개발하는데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ansion and concentration of the elderly in Busan. The recent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Busan, in particular, has the fastest growth of this population among large cities, which is likely to lead to various urban problem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grasp not onl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but also the changes over time in order to preemptively prepare for these urban problems. This study i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lderly by using cluster analysis and spatial statistics techniques for Census Tract, the smallest unit of space issu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elderly in Busan has been widely spread between 2000 and 2010, while this population, at the same time, has been concentrated in the specific areas. The most areas of Busan were already transformed into "elderly/old house" type in 2010 and this type has been evenly distributed in four zones during the study period. And Super-aged area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old urban areas and urban fringe areas. An understanding of the dualized spatial distribution of this elderly population can provide the basis for developing policies to alleviated urban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 KCI등재

        종합병원 공백이 119 구급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 부산 침례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이달별(Lee,Dalbyul)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1

        이 연구는 부산의 침례병원을 대상으로 종합병원의 공백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응급의료기관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는 119 구급서비스의 병원 이송시간에의 영향을 분석한다. 부산소방재난본부의 119 구급활동일지의 이송병원;병원 이송시간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이송 건별 병원까지 이송소요시간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침례병원이 위치했던 금정구에서의 평균 이송시간이 침례병원 공백에 의해 증가하였으며;특히 응급환자 대상 평균 이송시간은 더욱 증가하였다. 금정구 내 대부분 동에서 평균 이송시간이 증가하였는데;시 외곽에 가까운 동일수록 평균 이송시간 증가폭은 더 커졌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내 종합병원의 기능 및 역할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특히 종합병원으로 이송되어야만 하는 응급환자의 경우 해당 지역 뿐 아니라 인근지역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은 침례병원을 공공병원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현 시점에서 실증적 논리의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lack of general hospitals on the residents of Busan;South Korea. In particular;it analyzes the impact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on hospital transit tim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n hospital transfer time obtained from the Busan Fire and Disaster Headquarters 119 EMS activity log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analysis indicated that;after the Baptist hospital was closed;the average transit time in Geumjeong-gu increased;especially in the case of emergency patients. The average time increased in most dongs in Geumjeong-gu but more so in the ones located in the outer cit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general hospitals in local communities. In the case of emergency;patients who must be transferred to a general hospital;the fact that it can affect not only the relevant area but also neighboring areas can provide the basis for empirical logic at the present time to regenerate a baptist hospital into a public hospital.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