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맞춤형 정책 수립을 위한 수도권 근교농촌의 유형화 및 특성 분석

        이다예,이희연 한국지역학회 2016 지역연구 Vol.32 No.2

        Suburbs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have been diversified by the influence of the Seoul and large cities for the last 10 years. This study aims to classify suburban rural areas and to analyze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in order to propose more area-specific policy approach to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Using the cluster analysis method, the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garden villages in rural areas, urbanization areas, agricultural-industrial mixed use areas, general rural area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four types of suburban rural areas are much differentiated one another in terms of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local dynamics and problems. In order to suburban rural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apital region, the policy efforts should be address the areaspecific problems and policy demand for each type of suburban rural areas. 수도권 근교농촌은 서울 및 대도시의 영향을 받으면서 다변화하고 있다. 전원적 가치를 추구하는 도 시민들의 귀농귀촌에 따른 고급 전원주택단지로 변화하거나 도시에서 밀려난 공장들이 무분별하게 입지하는 등 일반농촌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그러나 수도권 근교농촌의 기능적 변화와 다양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근교농촌의 다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맞춤형 계획 및 정책을 마련하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근교농촌을 대상으로 읍·면을 단위 로 하여 근교농촌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수도 권 근교농촌은 전원·농촌관광형, 침상도시형, 농·공 혼재형, 일반농촌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각 유형별 특성과 문제점도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근교농촌 발전을 위해서는 각 유 형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의 차별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Design of an 8x Four-group Inner-focus Zoom System Using a Focus Tunable Lens

        이다예,박성찬 한국광학회 2016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20 No.2

        This study presents an 8x four-group inner-focus zoom lens with one-moving group for a compactcamera by use of a focus tunable lens (FTL). In the initial design stage, we obtained the powers of lensgroups by paraxial design based on thin lens theory, and then set up the zoom system composed of fourlens modules. Instead of numerically analytic analysis for the zoom locus, we suggest simple analysis forthat using lens modules optimized. After replacing four groups with equivalent thick lens modules, thepower of the fourth group, which includes a focus tunable lens, is designed to be changed to fix the imageplane at all positions. From this design process, we can realize an 8x four-group zoom system havingone moving group by employing a focus tunable lens. The final designed zoom lens has focal lengthsof 4 mm to 32 mm and apertures of F/3.5 to F/4.5 at wide and tele positions, respectively.

      • KCI등재

        빈집 발생 촉발요인과 근린환경 특성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 인천광역시 구도심을 사례로

        이다예 한국도시지리학회 2019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2 No.2

        The number of vacant houses recently increased due to the population decline, suburban new town developments and the delay of housing re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riggering factors of vacant houses and to present countermeasures to address the problems of vacant house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case study areas in the old city center of Incheon. Especially, since vacant houses are affected by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t the neighborhood level. The result of the rare even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riggering factors of vacant houses showed that the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considerably affect the appearance of vacant houses. A high elderly population ratio, deteriorated housing and narrow roads, and low land values are related to increased possibility of vacant houses. Furthermore, if a house is close to vacant houses or located within a housing redevelopment district, the probability to ingenerate vacant houses increases more greatly. Nex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situation of several case study areas showed that the cause and degrees of vacant housing problems appeared to be distinctive per individual context. This indicates the necessity of customized measures. This study suggests necessity to recognize the vacant housing problem at the neighborhood level. Also, customized strategies based on the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should be in place. 인구감소, 신시가지 개발, 정비사업 지연 등으로 도시 구시가지가 쇠퇴하며 빈집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구도심을 대상으로 빈집 발생 촉발요인을 분석하고 사례 분석을 수행하여 빈집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빈집이 근린환경 특성의 영향을 받아 발생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빈집 문제를 근린 수준에서 고찰하였다. 희귀사건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한 촉발요인 분석 결과, 근린 수준에서 노인인구 비율, 노후주택 비율, 폭 4m 미만 도로율이 높을수록, 지가가 낮을수록 빈집 발생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비구역에 속하거나 인근에 빈집이 있는 경우 빈집 발생 확률은 더욱 크게 증가한다. 또한, 연구에서는 사례구역의 빈집 발생 실태를 살피고 근린환경 특성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사례구역별 빈집 발생량, 원인, 양상, 빈집 상태 등이 서로 달라 문제에 대한 맞춤형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빈집 관리를 위해 근린 수준에서 문제를 인식해야 하고, 지역 차원의 면밀한 분석에 기초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하며, 근린 특성과 주민 의견을 반영한 맞춤형의 대응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항만 신기술 수용성 제고를 위한 법제 개선 방안

        이다예,김보경,이지원,박민정 한국항해항만학회 2025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5 No.5

        전 세계적으로 항만의 스마트화를 위한 기술 도입이 활발하게 추진되는 가운데, 국내 스마트항만 관련 연구는 변화를 충분히 수용하기 위한 법제도적 문제의 진단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정책, 전략, 기술개발 현황을 검토하여 국내 항만에 도입 가능성이 높은 신기술을 식별하고, 신기술 도입 시 예상되는 법제도적 쟁점사항을 도출한다. 또한 국내외 신기술 도입을 위한 법제도 개선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 항만 분야의 법제도 개선 방향을 점검한다. 본 연구는 현행 법제도의 현대화와 새로운 법제도의 도입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일본·미국·영국의 빈집 관련 제도에 관한 연구

        이다예,유재성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As the number of vacant houses increases, it begins to draw public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to construct effective policies related to vacant hous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vacant housing policies of Japan,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Particularly, we find out that each country has different perspectives of awareness and management purpose for vacant houses, and examine its effect of management system on vacancy problems. While Japan,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set goals based on the current conditions and develop specific strategies for vacant and abandoned houses, the system of administrative role for vacant houses in Korea is ambiguous and the present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vacant houses are inadequate. This study suggests to define vacant houses according to the management purpose and divide the rol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 management and implement regulations on vacant houses to establish effective management system in response to vacant housing problems. Moreover, it stresses the development of legal basis for exercising administrative orders to solve the problems of vacant houses and the provision of institutional strategy to attract participation from local organizations and residents. 빈집이 증가하고 사회적인 주목을 받게 되면서 빈집 관리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보다 먼저 빈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온 일본, 미국, 영국의 빈집 관련 제도 고찰을 통해 실효성 있는 우리나라 빈집 관련 제도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각 국가별로빈집에 대한 인식과 빈집 관리 목적이 다르다는 점을 파악하고, 빈집 문제에 대한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빈집 관련제도들과 그 효과를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빈집 문제에 대응하는 관리체계가 모호하고 빈집 관련 법령과정책 수단들이 미흡한 반면, 일본, 미국, 영국의 경우 빈집 문제 실상을 토대로 빈집 관리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추진해나가기 위한 빈집 관련 제도와 구체적인 대응 전략들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효성 있는 빈집 문제 대응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빈집 정의와 빈집 관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정립하고, 중앙정부-지방정부 수준별 역할을 분담하여 빈집 관리체계와 제도를 구축해야 하며, 더 나아가 신속하면서도 공공성 있는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경우 행정 명령을 행사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구축하고, 지역 단체와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난청 아동 부모의 언어적 입력 양상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이다예,이영미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9 No.1

        Objectives: Parental linguistic input has long been shown to predict children’s later language ability.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arental linguistic input of children who are deaf and hard-of-hearing (DHH)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and meta-analysis. Methods: One thousand seven hundred sixty-one articles from 2001 to February 2022 investigating parental linguistic input in children with DHH were identified via database searches. Nine articles were identified that met the PICOS (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s, and Study design) criter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of the literature were conducted. We used mixed effects models to estimate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metric to address each research ques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 selected articles had a low risk of bias. In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presented meta-analytic articles, mothers and children aged 24-36 months participated. We did detec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total words,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the proportion of the high-level facilitative language techniques from the parents’ utterances between the DHH and the typical hearing (TH) group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otal uttera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is meta-analysis reports on different patterns of parental linguistic input between children with DHH and children with TH.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the findings and consideration of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 호프 중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Acetamiprid, Clothianidin의 잔류특성

        이다예,김한성,이도아,최후락,김윤한,고성림,김용택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Acetamiprid와 clothianidin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로 nAChR(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와 결합하여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의 정상적인 분비를 저해하며, 곤충의 신경 과자극을 유도하여 곤충을 치사에 이르게 한다. 본 연구는 소면적 재배작물인 호프를 대상으로 acetamiprid, clothianidin의 잔류성을 구명하여 농약 품목등록 자료 및 잔류농약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호프 품종은 싸츠이며, acetamiprid 8.0% WG와 clothianidin 8.0% WG 농약을 각각 7일 간격 2회 경엽살포한 후, 건조시료와 생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호프 중 acetamiprid와 clothianidin은 1.0% formic acid를 첨가한 acetoniltrile로 추출 및 감압 후, dichloromethane을 이용하여 분배하였다. 정제는 PSA, C18, MgSO₄를 사용하였으며,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cetamiprid의 정량한계 수준에서 회수율은 건조호프는 76.2∼93.2%이었고, 생 호프는 85.9∼99.5%이었다. Clothianidin의 정량한계 수준에서 회수율은 건조호프는 83.3∼92.6%이었고, 생 호프의 회수율은 71.2∼101.1%이었다. 농약에 대한 MLOQ(method limit of quantiation)는 모두 0.01mg/kg 이었다. Acetamiprid의 건조 호프에서의 잔류량은 7일 간격으로 2회 약제살포 후 0.08∼6.08mg/kg이었고, 생 호프의 잔류량은 4.77∼5.06mg/kg 이었다. Clothianidin의 건조 호프에서의 잔류량은 7일 간격으로 2회 약제살포 후 0.17∼9.11mg/kg 이었고, 생 호프의 잔류량은 6.30∼6.64mg/kg 이었다. 이것으로 소면적 재배작물인 호프에 대하여 acetamiprid와 clothianidin의 안전성 평가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