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부 이소성 흉선종 1예 보고

        이기윤,전용순,남정수,이난주,윤혜경,Lee, Ki-Yun,Chun, Yong-Soon,Nam, Jeong-Su,Lee, Nan-Joo,Yoon, Hye-Kyoung 대한소아외과학회 2008 소아외과 Vol.14 No.1

        Accessory cervical thymic tissue has been rarely reported. However,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neck masses in children, along with branchial anomalies, lymph nodes and other tumors. This lesion occurs along the descending line of the thymus between the angle of mandible and superior mediastinum. A 2-month-old infant presented with an asymptomatic left sided neck mass. MRI revealed a well defined homogeneous mass in the deep lobe of left parotid gland. At operation, an easily identified soft tissue mass was found in the left submandibular area, measuring $3{\times}1.5cm$. It was completely excised. 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ed normal thymic tissue.

      • KCI등재

        교통류 난류현상을 이용한 고속도로 합류부의 영향권 분석

        이기윤(Lee Ki Yoon),노창균(Roh Chang Gyun),손봉수(Son BongSoo),정진혁(Chung Jin-Hyuk)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9 No.2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속도로 합류부 영향권은 합류지점을 중심으로 상류 100m, 하류 400m를 포함하는 총 500m로 정의된다. 그러나 실제 합류부의 교통류특성은 하류부보다는 상류부에 합류영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관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우측합류부 및 좌측합류부를 대상으로 차량간 상층으로 정의되는 난류현상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합류부의 영향권을 분석하였다. 약 500m 간격으로 설치되어있는 현재의 교통류검지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로조건의 합류부지점에 설치되어있는 교통류검지기를 통하여 수집된 원시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각 지점별 데이터를 유사한 교통조건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도로의 서비스수준을 기준으로 총 72시간의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교통류 난류현상의 분석기준을 속도의 표준편차로 규정하고 분석한 결과, 우측합류부와 좌측합류부 모두 합류부의 직접 영향을 받는 구간으로 상류부 300m에서 하류부 400m하지 약 700m구간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영향권보다 상류부로 200m확장된 영역을 포함하는 결과이다. In general, an influenced area of merging section is defined as 500 m including 100 m upstream and 400 m downstream. However, from an observation of the actual traffic flow, it is found that merging effect influences more on downstream than upstream. In this study, an influenced area of merging section on freeway is analyzed by using turbulence which is defined as conflicts between vehicl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existing traffic flow detection system established with intervals of about 500 m, this study uses raw data collected from the detectors which are established in entrance ramps with similar road conditions. To divide data of each point into similar road conditions, the data of total 72 hours is sorted by Level of Service. An influenced area analyzed by standard deviation of speed is 700 m section of highway, including 300 m upstream and 400 m downstream, for both right and left ramps. It is the result including upstream 200 m more than previous studies.

      • SCOPUSKCI등재

        의료방사선 방어시설 설계를 위한 물리적 해석 연구: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이기윤(Ki-Yoon Lee),한동희(Dong-Hee Han),정경환(Kyung-Hwan Jung),길종원(Jong-Won Gil),김장오(Jang-Oh Kim),한만석(Man-Seok Han),백철하(Cheol-Ha Baek) 한국물리학회 2024 새물리 Vol.74 No.1

        Diagnostic radiation shielding facilities provide radiation protection, comprising various components such as radiation shields and patient-viewing windows. Lead, the primary material used in these structures, may pose health risks to humans due to oxidation, cracking, and aging. This study employed Monte Carlo Simulation to appraise the shielding performance by altering the composition of lead sheets and lead glass. We conducted simulations for peak tube voltages of 80 and 120 kVp. As the lead oxide content in the lead sheet increases, the shielding performance decreases by up to 10%. Additionally, as the crack’s size increases, the leakage dose increases by approximately 7%. Moreover, the reduction in the lead oxide proportion of the lead glass resulted in diminished shielding performance. The findings regarding radiation attenuation rates in this study are considered valuable data for future assessments of radiation shielding facilities’ aging.

      • KCI등재

        고속 전단 가공에서 페놀계와 인산계 산화방지제에 의한 PC/ABS 블렌드의 물성 변화 연구

        이한기 ( Han Ki Lee ),김선홍 ( Seon Hong Kim ),이형일 ( Hyung Il Lee ),유재정 ( Jae Jung Yoo ),용다경 ( Da Kyoung Yong ),최석진 ( Seok Jin Choi ),이승구 ( Seung Goo Lee ),이기윤 ( Kee Yoon Lee ) 한국화학공학회 201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2 No.2

        Polycarbonat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PC/ABS) 블렌드의 분해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고전단 압출 성형기의스크류 회전속도와 전단시간의 함수로 PC/ABS의 물성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화방지제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인산계산화방지제로 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ate) (이후 A1로 명명) and Bis(2,4-dicumylphenyl) pentaerythritoldiphosphite(이후 A3로 명명)가 사용되었고,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Octadecyl 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이후 A2로 명명)가 사용되었다. 열적 물성은 TGA를 통해 측정되었고 고속 전단 가공 후 크게 감소하였다. 산화방지제 A3가 포함된 PC/ABS 블렌드는 다른 산화방지제에 비해 스트레스로 유발된 degradation과, 열적 degradation이지연되었다. 고속 전단 가공 후 UTM을 사용한 기계적 물성 또한 산화방지제 종류에 따라 각각 감소하였고, 특히, 신율의 경우 크게 감소하는 거동이 나타난 것에 비해 인장강도의 변화는 매우 적었다. 스크류 회전속도 1000 rpm, 전단부하 시간 20초 조건에서의 신율로 예를 들면, 고속 전단 가공하기 전 신율인 148%에서 A1은 91.6%, A2는 63%, A3은 131%로 감소하였다. 형태학적 물성을 알기 위해 SEM을 사용하여 PC/ABS의 분산상을 조사하였고, 스크류 회전속도와 하중이 작용한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크기 분포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세 종류 산화방지제 모두 고속 전단 가공에서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PC/ABS 블렌드의 degradation을 억제하고, 그 효과는 A3가 가장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The effects of antioxidants on the properties of Polycarbonat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PC/ABS)blends were studied for the functions of the screw speed and loaded duration of high shear rate process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for PC/ABS blends. 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ate) (A1) and Bis(2,4-dicumylphen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A3) as phosphite antioxidants and Octadecyl 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A2) as a phenolic antioxidant are used. The thermal properties were detected by TGA and severely decreased, after the processing. The stress-induced and thermal degradation for PC/ABS blends with the antioxidant A3 was retarded better than the others. By using UTM, the mechanical properties also showed individual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antioxidants, after the processing, especially, the elongations showed considerable decline behaviors, while the tensile strengths of PC/ABS blends changed very little. For example, i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1000rpm of screw speed and 20 seconds of loaded period, the elongations decreased from 148% before the processing, to 91.6% with the A1, to63% with the A2 and to 131% with the A3 after the processing, respectively. In order to get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the size distributions of the dispersed phases for PC/ABS were investigated by SEM analysis and tended to decrease, as the screw speed and loaded period of the processing increased.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antioxidantA3 was the best of all of three to inhibit the stress-induced degradation of PC/ABS blends during the high shear rate processing.

      • KCI등재

        고속 전단 가공에 의한 PC/ABS 블렌드의 열적 물성 변화 연구

        이형일(Hyeong Ll Lee),이한기(Han Ki Lee),김대식(Dea Sik Kim),최석진(Seok Jin Choi),김선홍(Seong Hong Kim),유재정(Jea Jung Yoo),용다경(Da Kyong Yong),이승구(Seung Goo Lee),이기윤(Kee Yoon Lee) 한국고분자학회 2014 폴리머 Vol.38 No.3

        본 연구에서는 polycarbonate(PC)/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 블렌드의 고속 전단 가공 조건하에서의열적 물성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고전단 압출 성형기(NHSS2-28)를 이용하여 공정조건인 스크류 회전속도와 전단 부하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가공하였다. 고전단 부하 실험 후에 유리전이온도(Tg) 변화를 조사하여, 전단 부하 조건에 따라 약 143 oC에서 약 133 oC로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열 중량 분석(TGA)을 통해 열분해 현상을 관찰하여 전단을 가하지 않은 경우 ABS와 PC의 분해곡선이 뚜렷한 두 단계로 나타났으나, 고속 전단 가공을 한 경우분해하는 경향이 일직선상으로 변화되어 나타났다. 이에 대한 물성변화의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여 분산상의 크기 또한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만능 재료 시험기(UTM)를 이용하여 신율이 고속전단 가공을 한 경우, 소폭 감소하다가 특정 조건 이상에서는 급격한 감소를 보임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적정한고속 전단 응력 조건 이하에서는 PC/ABS 블렌드의 유리전이온도가 수렴하고, 적정 조건 이상에서는 유리전이온도가 급감하므로 전단응력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effects of high shear rate processing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PC/ABS blends were studied. It was executedby the high shear processing machine (NHSS2-28) at the varied conditions of screw speeds and loaded duration. After the samples were processed with NHSS2-28, the Tgs were shifted from 143 to 133 oC, and the behavior of degradationdetermined by TGA showed two distinct steps before high shear rate processing, while it showed a straight lineafter the processing. In order to provide the reasons of the properties, it was showen by SEM and UTM that the dropletsizes morphologically decreased after the processing, and the elongations decreased slightly until 1000 rpm of screwspeed and then sharp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high shear rate processing.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that Tg,s of PC/ABS blends were considerably shifted under an appropriate high shear rate condition, and rapidlydropped, so that blends degraded above the condition, due to stress-induced degradation.

      • KCI등재

        고속전단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ABS 블렌드의 열분해 및 기계적 특성 연구

        유재정(Jae Jung Yoo),용다경(Da Kyoung Yong),이한기(Han Ki Lee),김대식(Dae Sik Kim),이형일(Hyung Il Lee),김선홍(Sun Hong Kim),이기윤(Kee Yoon Lee),이승구(Seung Goo Lee) 한국고분자학회 2014 폴리머 Vol.38 No.4

        Polycarbonate (PC)/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블렌드를 고속전단압축성형기로 1000rpm 이상의 소크류 속도로 압출하여 전단속도와 전단시간에 따른 PC/ABS 블렌드의 열분해와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속전단조건으로 스크류 회전속도를 1000에서 3000rpm 범위에서 조절하였고, 전단부하시간은 10에서 40초로 변화를 주었다. 그 결과, 2000 rpm 이상의 고속전단을 통해 얻어진 시편의 경우, 고분자의 열분해의 발생으로 열분해 시작 온도가 낮아졌다. 스크류 회전속도와 전단부하시간에 따라 열분해에 의하여 시편의 인장강도와 신율이 낮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PC/ABS 블렌드의 고속전단 조건에 따라 기계적 특성이 크게 변화하였으며 특히, 신율이 고속전단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Polycarbonate (PC)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blends were prepared using a high shear extruder to investigate thermal decomposi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with shear rate and shear time. In this experiment, high shear rate, from 1000 to 3000 rpm, in blending process was applied for 10to 40 sec, respectively. At high shear rate over than 2000 rpm, the initial decomposition temperature was dropped significantly compared to a com-pounded sample because of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blend by high shear. Consequently, high shear processing g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PC/ABS blend In particular, elongation of the blend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shear rate.

      • SCOPUSKCI등재

        다양한 필라멘트 매질에 따른 3D 볼루스의 방사선량 특성 평가

        한동희(Dong Hee Han),권다은(Da Eun Kwon),정경환(Kyung Hwan Jung),안우상(Woo Sang Ahn),정원석(Won Suk Jung),박현민(Hyun Min Park),이기윤(Ki Yoon Lee),이수정(Su Jung Lee),김장오(Jang Oh Kim),백철하(Cheol Ha Baek) 한국물리학회 2022 새물리 Vol.72 No.10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치료 시 사용되는 조직등가물질인 볼루스를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필라멘트 매질로 제작된 3D 볼루스의 방사선량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몬테카를로 전산모사 코드 GATE를 이용하여 필라멘트 매질과 두께, 광자선 에너지에 따른 선량상승영역(Build-up region) 및 최대선량깊이 (D<SUB>max</SUB>)를 도출하였다. 8가지 매질의 3D 볼루스는 선원과의 거리 100cm에 놓인 물팬텀 표면에 위치시켰으며 조사면의 크기는 10×10 cm²로 설정하였고, 이때 필라멘트 두께 0.5, 1.0, 1.5, 2.0 cm를 대상으로 선량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사된 선형가속기의 최대선량깊이와 가장 유사하게 확인된 매질은 6, 10, 15MV의 광자선 에너지에 대해 1.4, 2.4, 3.2 cm 로 나타난 TPU와 1.5, 2.4, 3.1cm에서의 PLA, 1.5, 2.4, 3.0 cm에서의 PETG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a three-dimensional (3D) bolus fabricated using different filament materials to replace clinical bolus, a commercially available tissue equivalent in radiation therapy. The build-up region and the maximum dose depth (D<SUB>max</SUB>) in different filament materials, thicknesses, and various photon energies were calculated using the GATE Monte Carlo code. The 3D-printed boluses were placed on the water phantom at a source-to-surface distance of 100 cm, and the field size was set as 10×10 cm². The dose distributions were evaluated for eight thermoplastic filaments with the thicknesses of 0.5, 1.0, 1.5, and 2.0 cm. Consequently, the filaments most similar to the maximum dose depth of the simulated linear accelerator exhibited the TPUs at 1.4, 2.4, and 3.2 cm for the photon energies of 6, 10, and 15 MV, PLAs at 1.5, 2.4, and 3.1 cm, and PETGs at 1.5, 2.4, and 3.0 cm, respective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