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야휘집』의 중국 필기소설 전유와 그 의미

        이강옥(Lee Kang-Ok)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48 No.-

          I would argue that Dongyawhijip appropriated chinese Pilgi-novel, Iwajeon and Haetak. This paper analysed the Dongyawhijip"s appropriation strategy.<BR>  By appropriating Iwajeon, Dongyawhijip shows us the special experience in the geisha house of Peking, which extended the realistic space of Yadam. Lee Wonmeong, the editor of Dongyawhijip, appropriated Haetak by using much more diverse methods. It became possible in the condition that Lee Wonmeong thought the recording of Yadam as a kind of Sadaebu"s writing.<BR>  Two distinctive methods were employed by Lee Wonmeong in his appropriation of Chinese Pilgi-novels. Firstly, Lee inserted the whole or part of Chinese Pilgi-novels into the parts of Chosun Yadam in order to make its theme and characters more impressive. Secondly, Lee Wonmeong appropriated the forms of Chinese Pilgi-novels. By parodying the forms of Chinese Pilgi-novels, Lee Wonmeong widened the appropriation scope of Dongyawhijip.<BR>  Metaphors were hard to find in Chosun Yadam, which presented serious problems to the writers of realistic Yadam. Consequently Lee Wonmeong appropriated Chinese Pilgi-novels to solve this problem.<BR>  Lee Wonmeong attempted to bring serious ideas to the soft and enjoyable Yadam. Yadam was narrated by a realistic rhetoric, because Yadam was rooted in the real experiences of people. However, as public recitation of Yadam grew more and more popular, its realistic rhetoric sounded dull to the people. So Lee Wonmeong tried to find a way to renew Yadam, which made him tum to Chinese Pilgi-novels. In the earlier time, Yadam tended to construct the moralistic themes based on the realistic or historic experiences in rather serious ways. With Lee Wonmeong"s appropriation of Iwajeon and Haetak into Dongyawhijip, satire and allegory became the most important rhetoric of Yadam, which, I would argue, i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Lee"s appropriation of Chinese Philgi-novel.

      • KCI등재후보

        김해 여성과 이학규의 시 세계

        이강옥(Lee Kang ok)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2

        이학규는 본처 나주 정씨와 후처 진양 강씨, 금기 옥섬섬을 매개자로 삼아 김해 여성의 삶을 시 세계 속에 적극 담았다. 김해 여성들은 다채로운 풍속 구성의 주체가 되면서도 수탈의 희생자가 되었다. 두 형상은 부자연스럽게 연결되었는데 거기서 이학규의 시적 타자 정약용을 발견할 수 있다. 김해 여인들은 힘든 노동을 감당했으면서도 수탈의 피해를 직접적으로 입었다. 김해 여인들은 한탄하고 울부짖는 소극적 존재였지만 수탈을 직접 문제 삼으면서 수탈자에게 저항하기도 하였다. 이학규의 시는 '풍인지지'의 전통을 계승하여 최고수준의 사실주의를 성취하였다. 그는 정약용의 인식적 동선을 따라서 민중의 현실을 목격하고 민중 생활의 폐단을 직시하여 고발했지만, 더 나아가 민중과 여인의 현실 속으로 들어갔다. 그래서 절실한 동정과 연민을 이루었다. 이학규의 시에서는 청각적 상상력이 다른 요소들을 압도하였다. 그리고 이런 특징이 자연스럽게 여성 취향으로 연결되었다. 공간 경험이 제한되었던 여성들은 청각적 상상력을 확장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학규도 이런 김해 여성들과 비슷한 처지에서 살아가면서 소리에 더 민감해졌고 소리를 문학적으로 승화시켰다. 이학규의 많은 시들이 밤을 시간적 배경으로 한 것은 시각적 영역을 차단하고 청각적 상상력을 발현시키기 위한 시적 포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자연의 소리를 향한 강한 지향성은 여인들이 일상에서 내는 소리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쪽으로 나아갔다. 여인들이 일상에서 내는 소리에 대한 강렬한 관심은 여인이 부르는 노래 소리에 대한 관심으로 귀결되었다. 이학규는 어두운 곳으로부터 들려오는 여인의 노래를 듣고서 거기에 자기의 심정을 가탁하였다. 나아가 노래를 좀 더 적극적으로 듣는 단계에 이르렀다. 여인의 노래를 둘러싼 상황을 상상하고 그 노래의 가사를 그대로 옮겼다. 그래서 시적 대상이나 시적 화자를 여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지배적인 정조는 일상의 힘겨움과 슬픔, 그리고 한이다. 시적 자아가 시적 대상 인물들이 가진 슬픔이나 한에 대하여 공감하고 또 일체감을 형성할 때 명실상부한 '우수시(憂愁詩)'가 된다. 이학규는 마음의 슬픔이야말로 우수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 생각했다. 시인이 진정한 우수시를 지어 남을 울릴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시인 자신의 마음이 슬퍼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이학규가 여성의 처지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또 여성 화자를 등장시키며 마침내 여성들의 노래를 한시로 옮기기에 이른 것도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하였다고 볼 수 있겠다. 여인들의 정조를 번역하지 않고 여인 자신의 목소리를 그대로 전하려 한 것이다. 여인의 슬픔에 다가간 시인은 그 슬픔이 깃든 그들의 노래를 듣고 그대로 옮겨서 진정한 '우수시(憂愁詩)'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들 노래는 자세한 사연을 진술하지 않고 서러운 감정만을 일방적으로 토해내었다. 시적 자아와 대상 인물인 여인 사이에 정서적 연대가 이루어져 일체가 되었다. 둘 사이에 타자가 개입할 수 없을 정도로 시적 화자와 시적 대상 인물 사이의 간극은 좁아졌다. 이학규는 이방인의 눈으로 김해 여성의 일상을 관찰하며 시비를 따지기보다는 귀를 열어놓고 소리로 들려오는 김해 여인들의 서러운 넋두리와 노래를 들었다. 이학규의 김해 시들은 청각에 의한 연대와 공감이 그 어떤 지각 작용에 의한 것보다 근원적이고 강력한 것이라는 진실을 보여준다. In this article, I analysed Lee, Hakgu's Kimhae poem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In his poems, Lee, Hakgu represented the lives of Kimhae women. Kimhae women were portrayed as active participants of various kinds of folk culture. They also became the victims of labor exploitation by the oppressing rulers of the region. Facing these exploitations, Kimhae women only lamented and cried passively. But in some cases, for example at <Seoksinmakjibuhaeng (析薪莫持斧行)>, they attempted to resist against the exploiter. His poems achieved the highest level of realism by accepting the tradition of 'Punginzizi(風人之旨)' Following the worldview of Jeong, Yakyong, Lee, Hakgu paid greate attention to the harsh reality of common people, which were actively incorporated in his poems. In addition to eyewitness account of common people and women of Kimhae, he identified himself with people and women of Kimhae. The distance between poetic subject and object disappeared and the sympathy and pity between them were established. The auditory imagination wa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in his poems. And this tendency betrayed feminine inclination of his poems. His status in Kimhae was very similar to that of women, in that he had to live in the restricted region and was not allowed to go out of Kimhae. As the confinement of space in the life of most women led them to the expansion of their auditory imagination, Lee's confinement to Kimhae area made him extremely sensitive to sound. His particular interest in natural sound made him acutely respond to the sound of women's everyday lives and then to the songs of women. Listening to women's songs from unseen dark places, he wrote his poems to express his feelings triggered by those songs. He then advanced to make efforts to listen to women's songs more actively. He imagined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particular songs and created lyrics best suited to the situation. Therefore women always became both object and subject of his poems. In these poems, the dominant mood was hardship of everyday life, grief, and sorrow. When the poetic subject sympathizes with the sorrow of poetic object, the poet can write the sincere 'Usoosi(憂愁詩)' Lee, Hakgu insisted t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Usoosi' was the sorrow of mind. He also stressed that the poet should have sorrow in his mind first in order to make the reader weep. So the poet has to not only sympathize with the poetic object, but also identify with poetic object. Instead of translating the sensibility of women, Lee, Hakgu's poems tried to incorporate the voice of women directly. Delivering the sad songs of Kimhae women, he made excellent ''Usoosi(憂愁詩)' Lee, Hakgu did not observe everyday lives of Kimhae women with a stranger's eyes, but heard the songs of sorrowful women with sympathizer's open ears. Lee, Hakgu's Kimhae poems attest that the bond and sympathy created by auditory imagination is more fundamental and powerful than those created by any other sensory imaginations.

      • KCI등재

        야담집에서의 이경류 이야기의 전개와 그 의미

        이강옥(Lee, Kang-Ok)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1 No.-

        본고는 야담과 야담집의 전개라는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야담과 야담집이 이경류 이야기들을 선별하고 조합하는 양상을 정리한 뒤 그런 양상이 어떤 야담사적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유몽인의 『어우야담』은 우애와 효가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이재의 〈종사이공묘갈〉은 이경류의 행적을 ‘충효’로 갈무리하고 표창하였다. 노명흠의 『동패락송』은 이경류의 혼과 부인과의 사랑 관계를 집중적으로 보여주었다. 부부애가 중심에 있고 자애와 효도가 그를 따라가는 형국이다. 이규상의 『병세재 언록』은 환생을 보여주었으며 그런 점에서 서사적 호기심을 극대화하면서 이념적 검열을 최소화시켰다. 이희평의 『계서잡록』은 이희평이 생존하던 시기까지 한산이씨 가문 이야기판에서 전승된 이경류 관련 이야기들을 선택적으로 집대성한 것으로서 가족질서와 신분질서를 재구성하고 효행을 부각시켰다.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19세기 야담집에서 이경류 이야기가 어떻게 나타나며 그런 특징이 어떤 의미를 지향하는지를 살폈다. 먼저 19세기 야사집의 선택에 대해 살폈다. 이들은 1784년 경 편찬된 『조야집요』 소재 이경류 이야기를 근간으로 하였는데, 문헌들에서 산견되는 것들을 모으고 뒷부분은 『어우야담』의 것을 옮겼다. 환생을 간략히 언급한 것은 그것이 중국 사신과 관련되었기 때문이었고 부부애를 무시한 것 역시 야담 편찬자들이 가진 역사서술자로서의 자의식이 작동했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19세기 야담집은 19세기 야사집의 선택과 뚜렷하게 변별된다. 19세기 주요 야담집들은 모두 『계서잡록』 이경류 이야기를 전재하고 있다. 여기에는 새로운 모티프의 추가나 창조적 변개는 없다. 19세기 이후의 주류 야담집들이 『계서잡록』 계통의 이경류 이야기를 주로 수용했다는 점은 조선후기 야담집의 귀추와 관련하여 의미심장한 암시를 준다. 그것은 부부간 사랑을 중시한 『동패락송』이나 이념적 검열을 거부하고 호기심어린 환생을 보여준 『병세재언록』 등의 지호노을 19세기 야담집이 수용하지 않았음을 뜻한다. 나아가 〈이생규장전〉에서 비롯한 전기(傳奇)소설의 지향으로부터 19세기 야담집이 더 분명한 선을 그은 것을 의미한다. 조선 후기 정신사의 굵은 흐름은 ‘이념의 구현’과는 반대쪽으로 나아갔다. 그런데 야담의 경우, 야담집 편찬자 개인의 성향에 따라 이념의 구현이 극단적으로 강조되기도 하였다. 나아가 야담은 달라진 현실에 대한 일종의 대안으로서 이념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더 이상 이념이 관철되지 않는 현실을 목도하던 야담 수용자들이 이념이 더욱 강조되는 야담을 선택하여 읽기를 원했을 수도 있다. 『계서잡록』 소재 이경류 이야기는 후자의 관점에서 19세기 야담집으로 들어와서 굳어졌다. 이는 19세기 후반 야담집이 창조력을 잃고 다만 서로를 모방하거나 전재하는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뜻하면서 다른 한편, 야담집들이 전기소설이나 야사집 등 다른 성격의 장르 및 책들을 타자화하면서 야담집 자체의 고유한 속성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더 단단하게 서로 결속되었음을 의미한다. 19세기 이전까지의 야담은 집안일에 대한 미련과 부인과 아들에 대한 애착 때문에 죽어서도 혼이 되어 되돌아온 이경류를 형상화하였다면, 19세기 야담은 그런 이경류 형상을 바탕으로 하면서 국가와 가문의 질서를 재구축하는 열사로, 효행 실천의 화신으로 이경류를 재형상화하였다고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various approaches to stories about Lee Kyoogryu in each historical reincarnation and their meanings in the history of Yadam. Yoo Mongin’s Uhwooyadam depicts Lee’s story as a harmonious reunion of friendship and filial piety. Lee Jae’s Jongsayigongmyogal describes and commends stories related to Lee Kyungryu as fidelity and filial piety. Noh Myunghum’s Dongpaeraksong foregrounds the love story between the ghost of Lee Kyungryu and his wife, marginalizing the story of grace and filial piety. Lee Kyusang’s Byeongsaejaeuonrok illustrates Lee Kyungryu’s reincarnation, which both intensifies narrative curiosity and minimizes ideological censorship. Lee Huipyung’s Gyeseojaprok stresses familial and hierarchical order, and filial piety, for it was a selective anthology of anecdotes that had been transmitted from the storytelling space of the Hansan Lee family.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stories of Lee Kyungryu found in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and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Lee’s stories included in the anthologies of informal history were based on those of Joyajipyo published in 1784 and selected a few stories from several other anthologies including Uhwooyadam. A brief description of Lee’s reincarnation is included due to its relationship to the envoys from China, while conjugal affection is ignored due to the editors’ self-consciousness as narrators of history. There exists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and the 19th century Informal History anthologies in dealing with the stories of Lee Kyungryu. The major Yadam anthologies of the l9th century directly quoted the stories from Gyeseojaprok. No other creative transformation and additional motifs are found. The fact that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adopted Lee Kyungry anecdotes mostly from Gyeseojaprok suggests a significant implication regarding the eventual development of the late Yi Dynasty Yadam.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did not inherit the values of earlier Yadam anthologies that stressed conjugal affection as in Dongpaeraksong, and resisted ideological censorship and embrassed the curious reincarnation as in Byeongsaejaeuonrok. It also clearly demarcated itself from the Eccentric Novel, such as Yisaengkujangjeon. The zeitgeist of the late Yi Dynasty was the opposite of “implementation of ideology”. However, implementation of ideology was stressed in extremity in the Yadam anthologies of this period, depending on the editors’ personalities. Furthermore ideology was strongly emphasized and idealized, for Yadam was deemed as an alternative to the real world where implementing ideology was no longer possible. Lee Kyungryu stories in Gyeseojaprok represents such a view. This might suggest that the late 19th century Yadam went into a stage of creative stasis by merely imitating and adopting the pre-existing stories. On the other hand it suggest that Yadam recognized and established its own unique generic styles and characterizations as an opposite of Eccentric Novel and Informal History. Prior to the 19th century, Yadam focused on familial side of Lee’s story, portraying Lee’s eventual reincarnation as a direct result of Lee’s affection for his son and wife. Based on the earlier anthologies of Yadam, the 19th century Yadam recreated Lee Kyungryu as a paragon of filial piety, and a patriotic and familial martyr who successfully reconstructed the order of the state and family.

      • KCI등재

        오세암 설화와 동자의 수행득도

        이강옥(Lee, Kang-ok) 한국어문학회 2015 語文學 Vol.0 No.128

        This paper proposes that a wide variety of modifications in each version of Oseam tales results from people’s own experience of enlightenment and Buddha and Bodhisattva’s miracles, and thus seeks people’s wisdom in them. This paper first explores the images and implications of by in Buddhist Scriptures and Buddhist discourse and their materialization in Oseam tales. Based on each version of Oseam tales, the basic form of Oseam tales is reconstituted. From characteristics of each version, search people’s thoughts and inclinations. The most prominent image of boy in Oseam tales is that of sympathy. By showing Oseam boy fulfilling his maternal deprivation, Oseam tales respond people’s worldly interests. Some versions of Oseam tales represent Bodhisattva’s eccentric miracles and people’s belief in his religious teachings. Other versions illustrate the practice of Buddhist prayer chanting and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Particularly each tale that foregrounds Buddhist prayer chanting and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stresses the fact that belief is the corner stone of the ascetic practice. Similarities are abound between Oseam tales and the tales that depict “people who succeeded in going to heaven by faithfully chanting wrong prayers.” Protagonists of these tales are mainly grandmothers, dim-witted people, and boy. They full-heartedly accept and practice prayer chanting without any suspicion. They all are free from the discrimination by not discerning or not being able to. Particularly the five-year-old boy at the Oseam is so innocent as to listen to and believe no matter what other people say. Even when it is evident people are telling him lies, he would not judge them for not telling him truth. Oseam tales teach the great wisdom on the enlightenment practice by having the boy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pursue enlightenment practice and achieve enlightenment prior to everyone else. However, Oseam tales does not solely focus on the practice and acquirement of enlightenment. They also reflect ordinary people’s worldly expectations. The process of the five-year-old boy’s fulfillment of maternal depravation at his most desperate moment proves that Oseam tales satisfy ordinary people’s desire to pursue happiness in their every lives. These two different narrative inclinations either coexist in a varying degree in individual versions of Oseam tales. People are equally and sometimes lopsidedly interested in both fulfillment of maternal depravation and religious enlightenment through prayer chanting. Coexistence, sometimes lopsidedly, of these two inclinations help expand the empathy of Oseam tales and disseminate the wisdom of Buddhist enligthenment practice.

      • KCI등재

        송와잡설(松窩雜說)의 서사적 재현과 이기(李墍)의 의식시계

        이강옥(Lee, Kang-ok) 한국어문학회 2013 語文學 Vol.0 No.120

        This paper attempts to interpret the view of the editor Lee Ki by analysing Songwajapseol. Lee Ki was a member of Hansan Lee family. Lee Saek, Lee Gaerin, Lee Gaejon, and Lee Gae were the ancestors of Hansan Lee family, but they showed opposite attitudes in King Sejo’s usurpation of the crown. Lee Ki was agonized by those conflicting attitudes of the ancestors of Hansan Lee family. His internal conflict and search were reflected in Songwajapseol. Lee Ki experienced power struggle between Parties a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ich made him fall into deep despair. The feeling of hopelessness became the basis of the narrative representation of Songwajapseol. Lee Ki groped for four ways to overcome the despairing reality. First, heaccused and lampooned the problematic reality. Second, he searched for the ideal type of person. Third, he paid respect to the loyal subjects of the late Koryeo dynasty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Fourth, he confirmed the way the destiny was realized and colored the world mysteriously. Lee Ki captured the Chosun reality of the time by incorporating the narrative principle of contrast. But he looked for an alternative way to overcome the exclusion and collapse. Lee ki emphasized and represented the paradoxical coexistence of Lee Saek and King Taejo, and Won Chonsuk and King Taejong. While Lee Ki criticized King Sejo’s usurpation of the crown and mourned the tragic end of King Danjon, he also excused Sin Sukjoo who turned against his friends and joined King Sejo’s rebellion. Lee Ki’s conflicting attitude was rooted in his hope to transcend the extreme dualism. Lee Ki’s desire to transcend dualism was successfully accomplished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Whanghi anecdotes. By stressing the fact that Whanghi was educated by the subjects of the fallen Koryeo dynasty, he emphasized Koryeo as an ideal past. This Ideal past became an alternative time which could overcome dualism and glorious past shedding light of hope for present despair.

      • KCI등재

        지역 고전문학에서의 자연과 일상생활의 풍경

        이강옥 ( Kang Ok Lee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6 No.-

        지역 고전문학의 풍경을 살필 때 일상과 자연, 이념이 풍경을 통하여 관철되는 양상을 해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풍경은 사건이나 지식, 서정을 표상하기 위한 수단이나 배경이 아니라 그 자체의 형상이 부각되는 경우를 지칭한다. 풍경은 일상을 지향하기도 하고 자연 자체를 지향하기도 한다. ``일상의 풍경`` 은 때로는 형용 모순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일상은 풍경이 성립하는 필수적 조건인 ``거리``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상의 풍경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풍경과그것을 바라보는 주체 사이의 거리가 최소한이라도 유지되어야 한다. 자연 공간에 대한 ``내부적 관점``을 취하는 민요에서는 주체와 대상 사이의 거리를 부정하는 일상의 경향과 최소한의 거리를 설정하고자하는 문학의 경향이 길항작용을한다. 그 결과 주체의 의식과 공간의 객관적 형상이 뒤섞이는 현상을 초래했다. 반면 ``자연의 풍경``은 바라보기의 주체와 객관적 공간 사이의 거리가 분명히설정된다. 이 거리를 전제로 하여 풍경에 대한 묘사가 탁월하게 이루어졌다. 사대부의 일상은 풍경에 대한 거리가 순조롭게 설정되게 하기에 사대부의 일상을묘사하는 것이 자연 풍경 자체를 묘사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게 되었다. 사대부의 공간 경험을 다루는 기문(記文)이 오늘날 사라진 풍경을 현실 공간에 재현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또 사대부들은 구곡문화의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자연 공간에 이념성을 깃들임으로써 자연 풍경 자체를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었다. 이렇게 재현된 풍경은 이념성을 의식한 사대부에게는 이념적 풍경이 되지만, 그 이념에서 자유로운 사람들에게는 풍경 자체로 향유될 수 있다. 일상과 이념은 다소 다른 방식으로 풍경에 깃들여진다. 이념은 풍경을 바라보는 사람에 의해 시각적으로 포착될 수가 없다. 그래서 보는 사람의 입장에 따라다르게 이해된다. 반면 일상은 풍경 자체를 구성하는 요소가 된다. 일상이 깃든풍경은 그것을 보는 관점과 관계 없이 ``일상적 풍경``이지 ``자연의 풍경``이 될 수는 없다. 그래서 일상적 풍경은 일상을 벗어나고자 하는 사람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이상향 추구 야담에서 ``세속 → 이상향 → 일상적 풍경 → 순수한 자연 풍경``으로 나아간 까닭이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사람이 어떤 풍경을 목도하고 지속적으로 떠올리는 것은 한 평생을 다한 뒤죽음의 길을 가는 데까지 영향을 끼친다. 사람이 살아있을 때 일상적으로 어떤풍경에 노출되고 어떤 풍경을 지향하는가 하는 것은 죽음의 길과 저승의 풍경에까지 영향을 끼친다. 문학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풍경을 찾아내고 풍경을경험하고 풍경을 떠올리는 의의는 여기에도 있다고 하겠다. 풍경을 통해 일상을 지향하는가, 풍경을 통해 일상을 벗어나려하는가, 풍경자체에서 이념적 비약을 이루는가. 이것이 고전문학에 나타난 풍경의 변주이다. 이 변주의 양상을 더 정교하게 역사적으로 살피는 것은 앞으로의 중요한 과제라할 것이다. In analyzing local classical literature, it is imperative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everyday life, nature, and ideology are incorporated into landscape. Landscape points to either everyday life or nature itself. "Landscape of everyday life" seems oxymoron, for everyday life does not allow necessary ``distance`` that is prerequisite for creating landscape. In folk songs which take insider`s perspective on the space of nature, there is a contention between tendency of everyday life which denies the distance between subject and object, and that of literature which tries to keep the minimal distance between them. The result causes intermingle of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objective form of space. On the other hand, in ``landscape of nature`` there is a clear demarcation between object of gaze and objective space. Outstanding description of landscape is possible based on this distance. Since everyday life of Sadaebumakes it possible to keep a proper distance from landscape,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portrayal of Sadaebu`s everyday life and that of landscape of nature. Sadaebu was able to represent nature`s landscape faithfully by imbuing ideology into landscape of nature. This landscape becomes ideological landscape to Sadaebu who are conscious of ideology, while people free from ideology can enjoy nature at it is. Both everyday life and ideology are incorporated into landscape in a little different ways. People can not capture ideology by just looking at landscape. Interpretation of landscape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ir positions. On the other hand, landscape incorporating everyday life is not ``landscape of nature`` but ``that of everyday life`` regardless of onlookers` perspectives, for everyday life constitutes landscape. Everyday landscape can not satisfy people whoseek to escape from their everyday lives. Narrative of Utopia-seeking-Yadam proceeds from mundane world, Utopia, everyday life to landscape of pure nature for this reason. The kind of landscape people have been exposed to and aiming at daily during their life time affects landscape they will encounter on their journey to death and afterlife. Aiming at everyday life through landscape; escaping from it through landscape; projecting ideology into landscape itself. There are some of the variations of landscape found in the classical literature. More detailed analyses of these variations in the specific historical contexts would be thenext significant task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청구야담』『버클리대본』의 제목 붙이기와 짝 만들기

        이강옥(Lee, Kang-ok)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5 No.-

        이 연구는 『청구야담』『버클리대본』의 제목 붙이기와 짝 만들기 양상을 세밀히 분석하고 그것이 우리 야담 편찬사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의미를 지니는지를 살폈다. 조선 후기 야담집 중 『천예록』 등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제목은 7음절 혹은 8음절로 2-4개의 의미단위를 담았다. 그것은 『삼언이박』 등 중국 화본소설의 전통과 연결되어 있다. 이 전통이 『청구야담』『동야휘집』 등으로 이어진 것이다. 두 편씩 쌍을 만드는 것도 『천예록』, 『청구야담』, 『동야휘집』 등으로 이어진 야담 편찬의 전통이다. 야담집에 존재하는 야담 작품의 쌍은 야담의 서사적 결속과 흥취를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독서의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청구야담』『버클리대본』이 이러한 제목 붙이기와 짝만들기의 형성과정에서 보인 특징과 역할을 밝혀냈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짝과 쌍은 제목의 의미 단위뿐 아니라 작품의 실제 내용에서 이루어진다고 할 것이다. 이 연구는『버클리대본』은 물론 『천예록』, 『동야휘집』 등 야담집이 만들어낸 쌍이 과연 그 서사적 내용 면에서 어떻게 대응되는가를 살핀 결과를 지면 형편상 제시하지 못했다. 그 부분은 다음 논문을 통해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of making titles and pairs of Berkerley version Cheongguyadam. The titles of Yadam,, which were composed with 7 or 8 syllables of Chinese Characters, first appeared in Cheonyerok, the 18th century Chosun Yadam anthology. Imfluenced by the tradition of Ming Qing’s Hua-ben Novels, Yadam anthologies such as Cheongguyadam, and Dongyawhigip. adoped to attach a title to individual story. Coupling Stories was an important narrative phenomenon in Yadam’s history. The paired stories in Yadam anthology were a kind of narrative strategy which made the narrative interrelatedness stronger and their interest much more enhanced. This study clarified the features and function of the Berkerley version Cheongguyadam, by foreground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making titles and pairs in Chosun Yadam.

      • KCI등재후보

        패설과 소화, 패설 속의 소화

        李康沃(Lee Kang-ok)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4 No.-

          본고는 패설과 소화의 다양한 정의와 용법의 실상을 정리하고 분석함으로써 학계 차원에서 의견을 조정할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문제 해결을 위한 하나의 출발점으로서 ‘소화’를 규정했고 앞으로 학계가 함께 검토해야 할 과제도 설정하였다.<BR>  패설론은 패설을 잡록집 전체 혹은 일부를 지칭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한 경우, 패설을 필기와 대립하는 갈래로 설정한 경우, 필기 속에 패설이 하위 영역으로 포함되는 갈래로 설정하는 경우로 나눠진다. 패설을 교술적인것까지 포괄하는 거대 갈래로 볼 것인가? 민중들의 다채로운 생활이야기를 지칭하는 중위의 갈래로 볼 것인가? 우스운 이야기 혹은 우습게 만드는 이야기로 국한시킬 것인가? 앞으로 이에 대한 분명한 관점을 분명하게 해야 할 것이다.<BR>  소화론의 경우 소화와 일화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다. 소화의 개념을 매우 넓게 설정한 연구자들은 소화가 설화를 대표하거나 최소한 일화를 포함하는 갈래라고 보았다. 조선 초기에 웃음을 특별한 방식으로 창출하는 소화들이 많이 나타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어떤 사건이나 사람에 대한 특별한 사실을 전하려 하였던 일화들은 더 많았다. 그래서 소화와 일화를 구분한 연구자들도 많았다<BR>  소화의 등장인물은 어떤 인간형을 극도로 단순화하여 유형화한 것이다. 이 유형화는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어떤 속성을 과장하였기에 가능했다. 그런점에서 소화는 독자나 청자가 쉽게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작위성이 강하다.<BR>  소화는 다양한 단형 서사 갈래와의 관계 속에 존재한다. 그래서 소화와 다른 단형 갈래와의 관계와 차이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소화는 주인공에 대한 서술자의 태도에서 민담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민담의 서술자는 주인공에 대해 관심을 집중하여 주인공이 어떤 고난에 봉착하여도 결국 그것을 극복하게 만들어준다. 이에 반해 소화의 서술자는 그 주인공에 대해 애착을 갖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인공을 조롱하거나 주인공이 봉변당하게 만들거나 상대인물과의 다툼에서 주인공이 패배하게 만들기도 한다. 또 민담의 서술자는 주로 단순한 어른이나 어린이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반면 소화의 서술자는 성숙한 어른의 눈을 가지고 있다.<BR>  소화는 일화와도 구분된다. 단지 우스운 내용이라고 하여 모두 일화가 아니고 소화라 할 수 없듯이, 실제로 일어난 이야기라 해서 모두 소화가 아니고 일화라 할 수는 없다. 무엇보다 소화는 과장되고 꾸며진 것인데 비해 일화는 있었던 그대로가 제시된 것이라는 점에서 구분된다. 소화의 서술자가 기본적으로 주인공을 희화화하는 서술태도를 취하는데 비해, 일화 서술자는 설사 심각한 자세로 그 인물을 묘사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일관된 희화화의 태도를 취하지는 않는다.<BR>  소화는 서술자의 역할이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우화와 비슷하다. 우화는 패설집이나 소화집에 적지 않게 들어있다. 소화의 위상을 정립하는데 우화의 존재를 인정하고 소화와 상호 조명하는 작업이 요긴하다.<BR>  패설이나 소화에 대한 검토는 구연과 기록을 함께 대상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기록된 것이 치중되었다면 앞으로 구연까지 고려한 논의가 충분하게 이루어져야 하겠다.<BR>  패설이나 소화를 재조명하는 과정에서 교술적인 작품을 잘 살펴야 하겠다. 교술과 서사는 갈래론에서 가장 상위에 속하는데 이 둘이 잡록집에 함께 들어있다. 우선 교술과 서사를 구분하고 양자가 잡록집에서 공존하게 된 내외적 논리를 살펴야 하겠다. 그 맥락에서 패설과 소화의 자리를 찾아주어야 할 것이다.   Paeseul and Sowha are genre terms which indicate the funny short narrative works. But scholars have used them with various concepts and denotations, which caused serious problems. To help solving those problems, I summarized and criticized those aspects case by case.<BR>  The scholars who used the term Paeseul started their theoretical arguments based on the previously published books, Japrok(雜錄). They had accepted the arguments of Sadaebu(士大夫) of Koryo and Chosun dynasties. However, because Sadaebu"s theories were not consistent, the scholars have to make their own theoretical system in order to close the gaps.<BR>  The scholars who use the term Sowha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insists that Sowha contain Anecdote. They argue that Sowha was the representative genre of the 14-16th century short narratives. The scholars of second group separated Anecdote from Sowha. Although Anecdote resembles Sowha in many aspects, Sowha cannot contain Anecdote. It become clear if only we read some anecdotes.<BR>  I would argue that Sowha should become foundation for the short narrative genres and that it is urgent to make accurate definition of Sowha. To define Sowha accurately and clear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wha and other short narrative genres, especially Anecdote, Fable, Legend etc should be firmly established.<BR>  In this article, I made some suggestions to overcome contradictions in the discussion of short narrative genres. Firstly, we have to consult not only the written records but also the oral performance. Secondly, we should consider about patriarchy and class distinction in Paeseul or Sowha. Thirdly,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we study the didactic works which exist in the same anthologies of the narrative work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