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중학교 가정과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효과: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중심으로

        윤호정(Yun, Ho Jeong),허영선(Heo, Young Sun),채정(Chae, Jung Hyun)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가정과 융합교육프로그램을 중학교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실행하여이 수업이 중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타교과와의 연계성을 살펴 ‘지속가능한 삶’을주제로 설정하여 핵심질문을 ‘식품자원의 환경과의 관계, 개인차원의 영향, 해결방법은 무엇인가?로 설정하고 문제와 8차시의수업을 개발하였다.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가정과 융합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평균점수가 3.54, 사후 평균점수가 3.96으로 통계적으로 문제해결능력(p<.001)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문제해결능력의 능력요소인 원인분석, 대안개발, 계획/실행,수행평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문제명료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가정과융합교육프로그램은 문제해결능력에 효과적인 수업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a home economic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pplyingproblem-based learning method focusing on the middle school food and nutrition life unit, and verify the effect of this class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For this, the study set up the theme of ‘sustainable lif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with other subjects, and set the key question as ‘what is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of food resources, the influenceof individual level, and the solution method?’ was postulated. And developed the problem and the total of 8 classes. As a resultof conduct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ith home economic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the pre-testand post-test scores were 3,54 and 3.96, respectively, which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roblem-solving ability (p<.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mensions of problem-solving ability, except for problem clarification. Therefore, itwas confirmed that the home economics an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is aneffective class for improv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 KCI등재

        고관절 디지털 방사선을 이용하여 측정한 방사선적 골다공증 측정 방법들의 유용성

        윤호현 ( Ho Hyun Yun ),이주원 ( Ju Won Yi ),임득수 ( Deuk Soo Lim ),박성철 ( Sung Chul Park ),오성록 ( Seong Rok Oh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2

        목적: 디지털 방사선 영상을 이용하여 방사선적 골다공증 지표들을 측정하고 방사선적 골다공증 지표들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관절 주위골절로 진단 받았던 65세 이상의 환자 100 명을 골절 군으로 설정하고 65세 미만의 비 골절 50명을 대조 군으로 설정하였다. Singh Index, Canal-to-Calcar Ratio, Cortical Thickness Index (CTI)를 측정하였으며 골밀도 측정을 위해서 이중 에너지 방사선(DEXA)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CTI 측정 결과들에 대한 관찰자 내 및 관찰자간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결과상 골절 군에서는 ICC 값이 모두 0.8 이상으로 대조 군과 비교 시 골절 군에서 모두 높았으며 대조 군에서는 특히 관찰자간 ICC 값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CTI와 DEXA 골밀도 검사결과들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r=0.50~0.58, p<0.05). 결론: CTI가 만족스러운 신뢰도를 보이며 DEXA 골밀도 검사와의 연관성을 보여서 특히 노령의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들에서 골다공증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노력을 유도하는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radiographic parameters for osteoporosi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radiographic parameters determined by digital hip radiographs and bone mineral density T-scores, as assess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100 subjects in the hip fracture group and 50 in the non-fracture control group. Digital hip radiograph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values of Singh index, Canal-to-Calcar Ratio, and Cortical Thickness Index (CTI). Bone mineral density was assessed by DEXA. Result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results of the CTI were above 0.8 in the fractur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fracture group showed higher ICCs. Interobserver ICCs were especially lower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TI and DEXA (r=0.50~0.58, p<0.05). In the analysis of ROC curves, a mean threshold for CTI set a value of 0.54 (0.53~0.55), and mea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75.5% (69~79%) and 67.8% (65~78%), respectively. Conclusion: CTI showed reasonable reliability and correlation with DEXA results. CTI was a useful radiographic parameter to alert the surgeon to recommend referral for osteoporosis evaluation in elderly hip fracture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재탈구된 시멘트형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의 도수 정복 중 발생한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의 이탈

        윤호현(Ho Hyun Yun),안길영(Gil Yeong Ahn),남일(Il Hyun Nam),문기혁(Gi Huk Moon),이정익(Jung I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의 재탈구는 단순한 합병증이 아니다.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의 재탈구 시 관혈적 정복 술은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탈구된 시멘트형 인공 관절 치환술의 정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하지 않은 견인력으로 인한 대퇴 주대의 이탈이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를 사용한 경우에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저자는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를 사용한 시멘트형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환자에서 재탈구 후 도수 정복 중 대퇴 주대의 이탈을 경험하고, 재탈구된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환자를 치료 시 현재 상태에 대한 충분한 분석을 통한 도수 정복 및 관혈적 정복 술에 대한 사전 고려가 필요하며 특히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를 사용한 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치환술에서 대퇴 주대 이탈이 정복과정 중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 및 치료 방법에 대한 주의가 요한다고 여겨진다. Redislocation of bipolar hemiarthroplasty is not a simple complication. When redislocation of bipolar hemiarthroplasty occurs, open reduction must be considered. Displacement of the polished tapered femoral stem could occur through the unwanted traction force during the reduction of the dislocated cemented hip arthroplasty as a complication. We experienced displacement of the polished tapered femoral stem during closed reduction of a redislocated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We suggest that preoperative analysis for the cause and status of the dislocation is essential and open reduction should be considered if closed reduction is not thought to be suitable for a polished femoral stem.

      • 관절경하 견갑하건 봉합술 - 8 례에 대한 예비보고 -

        윤호현,문기혁,장종훈,유연식,Yun, Ho-Hyun,Moon, Gi-Hyuk,Jang, Jong-Hoon,Yoo, Yon-Sik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2

        목적: 관절경으로 견갑하건을 봉합하여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었으므로 그 수기를 소개하고 그 적용범 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관절경하 견갑하건 봉합술을 시행했던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ll개월이였다. 견갑하건의 단독 손상이 2예, 후상방회전근개의 소범위 단순파열과 동반된 손상이 4예, 후상방 회전근개의 광범위 파열과의 동반이 2예이었다. 견갑하근의 파열형태로서 상방부의 전층파열이 6예, 관절면에 국한된 부분파열이 1예 그리고 완전파열이 1예이었다. 결과판정은 최종 추시시점에서의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 상방 전위된 상완골두의 하방이동 여부 그리고 임상적 평가로서 Constant - Murley 기능평가법 이용하였다(Table 1) 결과: 술 후 평균 11개월에서의 견관절 기능평가는 술 전 55점에서 술후 75점으로 증가되었고 광범위 후상방파열이 동반되었던 2예를 제외한다면 술 후 평균 71점으로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상완골두의 상방이동은 술 전평균 0.7 cm에서 술 후 0.5 cm로 감소하였으나 상방이동이 오히려 가속된 1 예를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경우에서 뚜렷한 하방 이동을 보였다. 최종 추시 시점에서의 술 후 만족도에서는 만족이 5예, 보통이 1예 그리고 불만족이 2예 이었고 불만족인 1예에서는 술 후 6개월에 관혈적 방법으로 견갑하건을 봉합하였다.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견갑하건의 봉합은 광범위파열과 동반된 견갑하건의 파열이 있을경우 퇴축이 심하지 않다면 피부절개와 삼각근의 절개범위를 줄일 수 있어 술 후 통증이나 삼각근의 약화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일수 있으며, PASTA 병변을 포함해서 후상방 파열과 동반되지 않은 견갑하건의 부분 파열은 매우 적합한 관절경하복원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validate and introduce the technique of the arthroscopic repair for the treatment of the Subscapulris tendon tear.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3 to April 2004, Arthroscopic repairs were performed in 8 patient with subscapularis tendon tear.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1months. two cases involved only subscaplaris tendon tear. Four cases were associated small sized posterosuperir. rotator cuff tear and two cases were in large size. The type of subscapularis tendon showed upper portion full-thickness tear in 6 cases, partial-thickness tear localized at articular surface in 1 case, complete tear in 1 case.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ubjective satisfaction, inferior movenent of superior displaced humeral head, Constant-Murley functional scoring Results: Constant-Murley scoring was improved from 55 point preoperatively to 75 point postoperatively following 11 months. Mean score was 71 point except 2 cases of large superoposterior rotator cuff tear, Most humeral heads were distaracted postoperatively. The subjective result for the 8 shoulders were very satisfying in 5 cases, satisfying in 1 case and dissatisfying in 2 cases. Therefore satisfactory results were noted in 6 cases (75%) of this overall treatment group. Conclusion: The arthroscopic repair for the subscapularis tendon tear is thought to be available method, which could reduce severe complications following the weakness of deltoid muscle and postoperative pain. Especially Partial Subscapularis tear not associated with superoposterior rotator cuff tear including PASTA lesion was the sutable indication of the Arthroscopic repair.

      • KCI등재

        고령의 대퇴 전자부 불안정성 골절에서 양극성 반치환술과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의 비교

        윤호현 ( Ho Hyun Yun ),안길영 ( Gil Yeong Ahn ),남일 ( Il Hyun Nam ),문기혁 ( Gi Hyuk Moon ),이재욱 ( Jae Wook Lee ),김재철 ( Jae Cheol Kim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에 대하여 양극성 반치환술과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로 치료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여 술식 간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65세 이상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 중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고, 양극성 반치환술로 치료받았던 34예와 ITST (Intertro chanteric/Subtrochanteric) 골수강내 정으로 치료받았던 22예의, 총 5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양극성 반치환술군에서 78.4세, ITST 골수강내 정에서 77.1세였다. 임상적 결과는 보행 능력, 고관절부 동통 및 대퇴부 동통의 유무를 확인하여 평가하였고, 방사선적 결과는 정기적으로 시행한 방사선 촬영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양극성 반치환술군에서 평균 134분,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군에서 평균 103분이었고, 수술 중 평균 출혈량은 양극성 반치환술군에서 648 ml,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군에서 평균 386 ml이었다. 임상적 결과상 양극성 반치환술군 22예 (65%), 2세대 골수강내 고정술군 18예 (80%)에서 수상 전의 보행 능력과 수술 후의 보행 능력간의 차이가 없었다. 양극성 반치환술군 5예 (14%)에서 고관절 동통이 발생하였고, 2세대 골수강내 고정술군 4예 (18%)에서 대퇴부 동통이 발생하였다. 합병증으로는 양극성 반치 환술군에서 탈구 3예, 표재성 감염 2예가 있었고,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군에서 지연 나사의 대퇴 골두 천공 1예, 지연 나사 돌출부동통 1예가 있었다. 결론: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양극성 반치환술군에 비해 적은 수술시간, 출혈량의 감소, 기능상의 장점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대퇴부 동통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of bipolar hemiarthroplasty and second generation intramedullary nailing for elderly unstable peritrochanteric femoral fracut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July 2004, 56 elderly unstable peritrochanteric fractures were treated with a bipolar hemiarthroplasty (34 cases) or a ITST intramedullary nailing (22 cases). The fractures were classified using the OTA/AO classification.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walking capability, hip joint pain, and thigh pain. The radiological result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radiographs at follow-up. Results: In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34 minute, the mean blood loss was 648 ml. In intramedullary nailing group,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03 minute, the mean blood loss was 386 ml. There were no different walking ability between prefracture and postoperative state in 22 cases (65%) of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 18 cases (80%) of intramedullary nailing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5 cases (14%) hip joint pain in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 and 4 cases (18%) thigh pain in ITST intramedullary nailing group postoperatively. Conclusion: Comparing the operation time, blood loss, and walking ability, ITST intramedullary nailing group show superior clinical outcomes than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 However, The effort for decreasing postoperative thigh pain might be required.

      • KCI등재

        고관절 골수정을 이용하여 안정된 원위부 고정을 얻은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원위 잠금이 항상 필요한가?

        윤호현(Ho Hyun Yun),윤정로(Jung Ro Yoon),서효성(Hyo Seong Seo),유중진(Jung Jin Yu)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1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을 골수정으로 치료 시 원위 잠금이 항상 필요한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4월부터 2013년 6월까지 2세대 골수정으로 안정형 대퇴 전자간 골절들(AO/OTA 31-A1)을 치료하고, 최소 1년 이상 방사선 및 임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7예의 방사선적 및 임상적 치료 결과들을 원위 잠금을 사용한 군과 원위 잠금을 사용하지 않은 군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의 방사선적 및 임상적 치료 결과 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대퇴부 동통이 8예(17%)에서 발생하였다. 대퇴골 협부 직경과 사용한 골수정 직경 간 차이는 대퇴부 동통 발생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isher’s exact test, p=0.01).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결과상 대퇴골 협부 직경과 사용한 골수정 직경 간 차이가 대퇴부 동통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였다(p=0.04, odd ratio=27.75). 결론: 2세대 골수정으로 안정형 대퇴 전자간 골절을 치료 시 정복 상태가 만족스럽고 대퇴골 협부 직경과 골수정 직경 차이가 작아서 안정된 원위부 고정을 얻었다고 예상된 경우에 한해서 원위 잠금은 불필요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tant necessity of distal locking when intertrochanteric fracture was treated with an intramedullary hip nail.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10 to June 2013, 47 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AO/OTA 31-A1) were treated with second generation intramedullary hip nailing. They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12 months. In the first group of 18 cases distal locking was used, and in the second group of 29 cases, distal locking was not used. We compared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of the two groups. Results: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of patients showed no difference in terms of radi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s. Postoperative thigh pain developed in eight cases (17%). A statistically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isthmic diameter and used nail diameter (Fisher exact test, p=0.01) for postoperative thigh pain.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isthmic diameter and used nail diameter was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thigh pain (p=0.04, odd ratio=27.75).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second generation intramedullary hip nail may be successfully implanted without distal interlocking in 31-A1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 when the reduction status was satisfactory and stable fixation of the distal area was estimated by less than 3 mm difference between isthmic diameter and used nail diameter.

      • KCI등재

        세라믹 대퇴 골두 및 교차결합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이용한 65세 이상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윤호현(Ho Hyun Yun),정지영(Ji Young Cheong),심현보(Hyun Bo Sim),박재홍(Jae Ho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6

        목적: 65세 이상 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세라믹 대퇴 골두 및 교차결합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인공 관절면으로 사용한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5년 이상 임상 및 방사선 추시 결과들을 분석하여 세라믹-폴리에틸렌 관절면의 유용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2년 9월까지 65세 이상 노인 환자 51명(56 고관절)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70.9±5.1세였다. 임상 평가는 Harris hip score를 이용하였고, 방사선 평가는 비구 컵 경사각 및 전염각, 대퇴 스템 정렬 상태, 마모를 측정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유무도 조사하였다. 결과: 임상 평가상 Harris hip score는 수술 전 평균 48점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87점으로 향상되었다(p<0.05). 방사선 평가상 평균 비구 컵 경사각은 40.9°±6.4°, 평균 비구 컵 전염각은 20.3°±8.1°였다. 거상 라이너를 사용한 16예에서 평균 비구 컵 전염각은 14.3°±7.9°, 중립 라이너를 사용한 40예에서 평균 비구 컵 전염각은 22.4°±9.1°였다(p<0.05). 평균 대퇴 스템 정렬각은 0°도(범위, 내반 4°–외반 4°)였다. 평균 선상 마모량은 0.458±0.041 mm였으며 평균 연간 선상 마모율은 0.079±0.032 mm/yr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대퇴 스템 주위 골절 6예(10.7%)가 발생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분석상 탈구나 세라믹-폴리에틸렌 관절면에서 기인한 합병증이 없으므로 65세 이상 노인 환자에서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세라믹-폴리에틸렌 관절면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수술 중 대퇴 스템 주위 골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좀 더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utility of ceramic-on-polyethylene articular bearing surface when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is performed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through an analysis of the minimum five-year follow-up results using the ceramic femoral head and cross-linked polyethylene lin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10 to September 2012, 51 patients (56 hips) who were older than 65 years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mean age at surgery was 70.9±5.1 years old. A clinical assessment was analyzed using the Harris hip score. For the radiographic assessment, the cup inclination and anteversion, stem alignment, and wear amount were measured.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lso determined. Results: The mean Harris hip score was improved from preoperative 48 points to postoperative 87 points (p<0.05). The mean cup inclination was 40.9°±6.4° and the mean cup anteversion was 20.3°±8.1°. The mean cup anteversion of the elevated liner-used group (16 cases) was 14.3°±7.9° and the mean cup anteversion of the neutral liner used group (40 cases) was 22.4°±9.1° (p<0.05). The mean stem alignment angle was 0° (range, varus 4°–valgus 4°). The mean linear wear amount was 0.458±0.041 mm and the average annual linear wear rate was 0.079±0.032 mm/yr. Six cases (10.7%) of intraoperative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were encounter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use of a ceramic-on-polyethylene articular bearing surface in elderly patients with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is beneficial. On the other hand, careful effort is needed to prevent intraoperative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 KCI등재후보

        소아 외상성 고관절 탈구 - 증례 보고 -

        윤호현 ( Ho Hyun Yun ),안길영 ( Gil Yeong Ahn ),남일 ( Il Hyun Nam ),문기혁 ( Gi Huk Moon ),김형근 ( Hyung Gun Kim ),김재철 ( Jae Cheol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5

        1998년 8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본원에서 소아 외상성 고관절 탈구로 진단 및 치료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5명 7례(2례의 재 탈구 포함)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1년(범위, 1~8년)이었다. 모든 례에서 정맥 마취하 1회의 도수 정복으로 만족스러운 정복을 얻었다. 합병증으로 2명에서 재 탈구가 각각 1회 발생하였다. 소아 외상성 고관절 탈구에서 도수 정복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 생각되며, 지속적인 추시 관찰을 통하여 초기에 발견되지 않는 합병증들(무혈성 괴사, 성장 장애, 외상성 관절염)의 발생 유무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From August 1998 to June 2005, we treated 5 children (7 cases) who suffered with traumatic dislocation of hip.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1 years (range: 1~8 years). Acceptable reduct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by first closed reduction. The complications were 2 redislocations in 2 patients, respectively. Closed reduction is an effective method for treating traumatic dislocation of the hip in children and long term follow-up should be performed for detecting late-onset complications such as avascular necrosis, growth disturbance and traumatic osteoarthritis.

      • KCI등재

        시멘트형 대퇴스템 부정정렬 예방을 위한 수술 중 방사선 촬영의 유용성

        윤호현 ( Ho Hyun Yun ),윤정로 ( Jung Ro Yoon ),이용인 ( Yong In Lee ),윤세혁 ( Se Hyeok Yun ),김경호 ( Kyoung Ho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2

        목적: 시멘트형 대퇴스템을 사용한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 중 임시 대퇴삽입물(broach)을 삽입한 상태에서 c-arm 촬영을 통하여 대퇴스템 정렬 상태를 예측하여 부정정렬을 예방하였던 저자들의 방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0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일차 인공 고관절 부분치환술이나 인공 고관절 전치 환술을 시행 받은 10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중 예측된 대퇴스템 정렬각 및 최종 대퇴스템 정렬각들을 세 군 분류하였고, 수술 중 예측된 대퇴스템 정렬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예상된 요인들(나이, 성별, 진단명, 체질량 지수, 대퇴스템 크기, 골다공증, 근위대퇴골 형태)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중 예측된 대퇴스템 정렬각은 중립위 군이 80예, 내반위 군이 18예, 외반위 군이 5예 등으로 분포하였다. 최종 대퇴스템 정렬각은 중립위 군이 100예, 내반위 군이 2예, 외반위 군이 1예 등으로 분포하였다. 수술 중 예측된 대퇴스템 정렬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었다. 결론: 저자들이 시행하였던 방법이 시멘트형 대퇴스템의 부정정렬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유용하였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our method, which estimated femoral stem alignment using a c-arm when the broach was inserted, for prevention of femoral stem malalignmen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3 hip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underwentprimary hip arthroplasty from October 2011 to February 2013. The study was conductedretrospectively. Intraoperative estimated femoral stem alignments and final femoral stem alignm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analysis of factors (age, sex, diagnosis, body mass index, femoral stem size, osteoporosis, and proximal demur geometry) thatmight affect intraoperatively estimated femoral stem alignment. Results: The distribution of intraoperative estimated femoral stem alignment was 80(78%) in the neutral group, 18(17%) in the varus group, and 5(5%) in the valgus group. The distribution of final femoral stem alignment was 100(97%) in the neutral group, 2(2%) in the varus group, and 1(1%) in the valgus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intraoperatively estimated femoral stem alignment. Conclusion: Intraoperative estimated femoral stem alignment using a c-arm is an effective method for prevention of femoral stem malalig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