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D 안전상태지도 제작을 위한 건물 화재안전 평가항목 도출

        윤준희,김태훈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0

        Various technologies, systems, and legal systems are applied to prevent and quickly respond to fire disaster; nevertheless, the damages to life and property caused by fires are not reduced every year. For managing fire disaster, generating spatial information-based safety status map and procuring suitability of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osition information are essential. The safety status map is generated by deriving the fire safety status assessment factors, indexing, and locating the surveying results through various methods. In this paper, we deal with derivation of building fire safety assessment factors for 3D safety status map. At first, we survey the foreign and domestic fire assessment model cases and its factors, and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Korean 3D fire safety status map. Next, assessment factors for fire safety assessment model are derived. Assessment factors are derived and categorized by their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y; factors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basic building information and factors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field survey. As a derivation result, 14 assessment factors were derived over five categories(Industry Risk, Structural Risk, Fire Fighting Facility, Fire Dangerousness, Fire Response Status). 화재예방 및 신속대응을 위한 다양한 기술, 시스템 및 법제도가 도입되고 있지만 매년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줄지 않고 있다. 화재로 인한 재난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 기반의 안전상태지도의 개발이 필요하며, 각 위치정보에 대한 속성정보의 적합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안전상태지도는 목적에 맞는 안전상태 평가의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지수화 한 후, 다양한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를 위치정보에 정합시켜서 제작된다. 본 논문에서는 3D 안전상태지도 제작을 위한 건물 화재안전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우선, 국내외 안전평가 모델의 평가항목을 조사하여 한국 3D 안전상태지도로의 적용성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화재안전 평가모델의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평가항목은 정보수집 활동에 따라 ‘건물의 기본정보를 통하여 평가가 가능한 항목’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평가가 가능한 항목’으로 구별되어 도출된다. 항목 도출 결과, 다섯 개 카테고리(업종위험, 건물 안정성, 소방 설비 시설, 화재위험성, 화재대응상태)에 걸쳐 총 14개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국내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확산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정보보호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중심으로 -

        윤준희,허지용,김화경,신용태 한국융합보안학회 2023 융합보안 논문지 Vol.23 No.5

        As digital infrastructure increases connections and convergence progress rapidly in all areas, and it is most important to ensure safety from cyber infringement or hacking to continue national growth. Accordingly, it examines the obstacles to cyber threat information sharing, which is the basis for responding to cyber infringement,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efficiency. First of all, information sharing is divided into three areas: the government, cyber security compani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individuals and the requirements are checked from their respective positions. We will supplement this and explore ways to strengthen cybersecurity and provide economic benefits to each other. Therefore, national and public organizations will propose policies to create an cybersecurity industry ecosystem with a virtuous cycle that leads to diversification of cyber threat information sources, strengthening cybersecurity for general companies and individuals, and creating demand for the cybersecurity indust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help establish policies to strengthen national cybersecurity. 디지털 인프라가 증가하면서 모든 영역에서 연결과 융합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 성장 지속을 위해 사이버 침해, 즉 해킹으로부터 안전을 담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사이버침해 대응의 기본이 되는 사이버위협 정보공유에 있어서 저해 요인들을 살펴보고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정보공유에 있어서 정부, 정보보호업체, 중소기업‧개인 3개 분야로 구분하고 분야별의 입장에서 요구사항을 확인한다. 이를 보완하고 상호 간에 사이버 보안 강화 및 경제적 이득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본다. 그리하여 정부는 사이버위협 정보 출처 다변화, 중소기업‧개인은 사이버보안의 강화, 정보보호업체는 수요가 창출되는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 중소기업‧개인 사이버보안 강화 → 정보보호 산업 수요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의 정보보호 산업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국가 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에 BIM/GIS 통합 플랫폼 적용을 위한 SOC 시설물 우선순위 선정방안

        윤준희,이우식,최현상,강태욱 대한공간정보학회 2013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1 No.5

        Recentl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is widely applied to all stages of SOC (Social Overhead Capital)facilities life cycle from planning to maintenance. While BIM is an analysis tool focussing the inner space of facilities, GIS is principally applied to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facilities. Therefore, integrating BIM and GIS, we expect to get a potential synergy effect in aspects of effective information management and various analysis for SOC facilities. This paper deals with prioritizing SOC facilities for applying BIM/GIS integrating platform to local governments. First, investigate facilities required by law, and identify SOC facilities suitable for SOC characteristics. Second,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BIM/GIS integrating platform applying each facility. For the purpose, we quantify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in aspects of UIS management and GIS functions. Lastly, prioritize the SOC facilities applying BIM/GIS integrating platform. 최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계획부터 유지관리까지 SOC 시설물의 전 생애주기단계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 BIM이 시설물의 내부 공간 분석에 초점을 맞춘 도구인 반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시설물 간의 관계 분석에 주로 이용된다. 따라서 BIM 과 GIS를 통합한다면, SOC 시설물의 효과적인 정보관리와 다양한 해석이란 측면에서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에 BIM/GIS 통합플랫폼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SOC 시설물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방안을 다루고 있다. 첫째, 법에서 규정하는 시설물을 분석하고, 이 중 SOC 성격에 맞는 시설물을 설정한다. 둘째, 각 SOC 시설물에 대한 BIM/GIS 통합 플랫폼의 적용성 및 효용성을 분석한다. 적용성 및 효용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UIS 관리대상 측면과 GIS 분석기능 측면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BIM/GIS 통합 플랫폼 적용을 위한 SOC 시설물의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