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ecurity Level 3 의 CCTV 시스템

        윤종민(Jongmin Yoon),고종석(Jong-Seog KOH) 대한전자공학회 201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6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 보안모듈을 이용한 Military Security Level 3 의 CCTV 시스템을 제안한다.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CCTV 시스템의 영상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다양한 보안 위협으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원천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군용급 최고 보안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인공지능 생성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패턴 매칭 알고리즘 (pp.195-198)

        윤종민(Jongmin Yoon),정규식(Kyusik Chung) 한국정보과학회 199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2

        생성 시스템의 실용화를 제한하는 가장 큰 문제점중의 하나는 실행 시간이 너무 느리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행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매칭 동작(규칙들과 작업 메모리들간의 비교)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행할 수 있는 규칙을 모두 검색하여 그 중 하나를 실행하게 해주는 RETE나 TREAT 매칭 알고리즘과 실행할수 있는 규칙을 하나 찾게 되면 검색을 중단하고 그 규칙을 수행하는 LAZY 매칭 알고리즘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실행할 규칙의 일부만을 검색하고 그 중 하나의 규칙을 실행하고자 한다. 즉, 새롭게 개발된 경험 함수에 의해 매칭을 위한 네트워크상의 token수와 실행 가능한 규칙들의 모임인 충돌 집합의 크기를 제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매칭시간을 단축하는 새로운 효율적인 매칭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매칭 알고리즘이 생성 시스템의 실행시간을 개선시킬수 있음을 보인다.

      • 로드뷰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모양변화에 강인한 자동차 번호판 검출기

        윤종민(Jongmin Yoon),김대진(Daiji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B

        본 논문에서는 실제 로드뷰영상에 적용될 수 있는 사이즈 블러링 시점 변화 회전 등에 강인한 새로운 번호판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4단계의 케스케이드를 도입하여 오검출을 줄이고 공분산 기술자에 위치정보를 결합해 신경망에 적용시켰으며 마지막 스테이지에서는 HOG 기술자와 LDA를 사용해 주어진 영역의 번호판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극심한 변화가 존재하는 DB상에서 93.5%의 높은 검출율을 가지면서 8.3*10-7의 FPPW의 낮은 오검출율을 갖는 번호판 검출기를 만들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외부장착물지지 주익구조 정적 시험 및 해석

        엄원섭,윤종민,Uhm, Wonseop,Yoon, Jongmin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5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9 No.1

        Armed aircraft of a basic trainer class installs external stores under wing box by using pylon and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weapon delivery and jettison, and should be designed to withstand all kinds of loads applied to external stores. The static strength test of pylons and wing box was performed to assess the static strength of pylon and their support structures for substantiation. Based on the test, the structures were verified to fully satisfy a given design requirement. In this paper, methods of test load generation of wing box and pylon, evaluation of test result data and design result of test set-up were presented. Comparing the FEM analysis with the same test data can lead to good match and reasonable deviation between both. Finally, based on the test and the analysis, the static strength of test article was substantiated and the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of analysis math model were obtained.

      • KCI등재

        OMI 위성 자료와 국가 배출량 자료를 활용한 동아시아의 NO<sub>x</sub>, SO<sub>x</sub> 변화 장기 분석(2005-2015)

        서정현,윤종민,추교황,김덕래,이동원,Seo, Jeonghyeon,Yoon, Jongmin,Choo, Gyo-Hwang,Kim, Deok-rae,Lee, Dong-Won 대한원격탐사학회 202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6 No.2

        동아시아 지역은 최근 인구급증과 경제성장으로 인해 화석연료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증가하여 대기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MI (Ozone Monitoring Instrument) 위성 자료와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National Emission Inventory)를 활용하여 동아시아의 대기현황 및 우리나라의 대기질에 국내외 배출량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동아시아의 NO<sub>2</sub>, SO<sub>2</sub> 농도를 분석한 결과, 두 물질 모두 NEC (North East China), SEC(South East China), SMA (Seoul Metropolitan Area) 순으로 높았다. SO<sub>2</sub>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NEC 지역은 SMA보다 1.63배 높았다. 농도비와 배출비 분석을 통해 국외 배출원이 우리나라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는데, NO<sub>2</sub>/SO<sub>2</sub> 농도비는 우리나라와 중국 모두 2013년에 가장 높았고, SMA의 NO<sub>x</sub>/SO<sub>x</sub> 배출비는 2013년 이후 22% 이상 증가했다. 국내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나 농도-배출량 비율(NO<sub>2</sub>/NO<sub>x</sub>, SO<sub>2</sub>/SO<sub>x</sub>)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곧 국내 배출량 외에 다른 요인(국외 배출원, 체류시간 변화 등)이 우리나라 수도권의 대기질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SMA의 미래 배출량은 2025년에 NO<sub>x</sub>, SO<sub>x</sub>가 각각 296.2, 39.0 kton, 2035년에는 284.4, 33.8 kton 만큼 배출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위성자료의 장점을 이용하여 농도와 배출량 사이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위성관측 농도와 배출량 간의 상호비교 분석방법론과 GEMS(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위성 산출물을 활용하여, 향후 국내 대기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국외 발 대기오염물질 기여도 분석과 배출 인벤토리 보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ata from the 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 satellite and national emission inventories were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air quality in East Asia and estimate the impact of domestic and foreign emissions on South Korea's air quality, based on which future emissions were predicted. The concentration trends of nitrogen dioxide (NO<sub>2</sub>) and sulfur dioxide (SO<sub>2</sub>) in East Asia from 2005 to 2015 showed that both substances were highest in North East China (NEC), followed by South East China (SEC) and Seoul Metropolitan Area (SMA). The average SO<sub>2</sub> concentration was 1.63 times higher in NEC than in SMA. Analysis on the ratios of NO<sub>2</sub>/SO<sub>2</sub> and NO<sub>x</sub>/SO<sub>x</sub> provides an indirect picture of the effect of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on atmospheric composition in Korea. The concentration ratio of NO<sub>2</sub>/SO<sub>2</sub> in all study areas peaked in 2013 and SMA's emission ratio of NO<sub>x</sub>/SO<sub>x</sub> increased in 2015 by over 22% from 2013. Despite the reduction in domestic emissions, the concentration-to-emission ratios (NO<sub>2</sub>/NO<sub>x</sub>, SO<sub>2</sub>/SO<sub>x</sub>) rose gradually, which implies that other factors besides domestic emissions (e.g., foreign sources, lifetime, etc.) influence air quality in SMA. We estimated future emissions of NO<sub>x</sub> and SO<sub>x</sub> in SMA to be 296.2 and 39.0 ktons in 2025 and 284.4 and 33.8 ktons in 2035, respectively. Application of the inter-comparison techniques of this study to the data from the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Instrument (GEMS) is expected to provide concrete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to improve national emission inventories and figure out factors and sources that affect domestic air quality.

      • KCI등재

        GOCI AOD를 이용한 서울 지역 지상 PM<sub>2.5</sub> 농도의 경험적 추정 및 일 변동성 분석

        김상민 ( Sang-min Kim ),윤종민 ( Jongmin Yoon ),문경정 ( Kyung-jung Moon ),김덕래 ( Deok-rae Kim ),구자호 ( Ja-ho Koo ),최명제 ( Myungje Choi ),김광년 ( Kwang Nyun Kim ),이윤곤 ( Yun Gon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4 No.3

        The empirical/statistical models to estimate the ground Particulate Matter (PM<sub>2.5</sub>) concentration from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Aerosol Optical Depth (AOD) product were developed and analyzed for the period of 2015 in Seoul, South Korea. In the model construction of AOD-PM<sub>2.5</sub>, two vertical correction methods using the planetary boundary layer height and the vertical ratio of aerosol, and humidity correction method using the hygroscopic growth factor were applied to respective models. The vertical correction for AOD and humidity correction for PM<sub>2.5</sub> concentr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accuracy of overall estimatio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models with additional meteorological factors (wind speed, visibility, and air temperature) affecting AOD and PM<sub>2.5</sub> relationships were constructed for the whole year and each season. As a result, determination coefficients of MLR mod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empirical model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easonal, monthly and diurnal characteristics of AOD-PM<sub>2.5</sub>model. when the MLR model is seasonally constructed, underestimation tendency in high PM<sub>2.5</sub> cases for the whole year were improved. The monthly and diurnal patterns of observed PM<sub>2.5</sub> and estimated PM<sub>2.5</sub> were similar.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estimates surface PM<sub>2.5</sub> concentration using geostationary satellite AOD, are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the future GK-2A and GK-2B.

      • KCI등재
      • 형태학적 특성 기반의 유사문헌 검증기법을 이용한 표준특허 사례연구 사례연구

        안정은(AN Jeongeun),윤종민(Yoon Jongmin)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1C

        표준특허란 표준문서의 규격을 기술적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특허로서, 최근 선진국은 "R&D-특허-표준화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고 글로벌 기업 또한 표준과 연계한 특허 획득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기술선점, 시장지배력 및 경제적 파급효과 등의 표준특허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정부와 정부부처의 산하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표준특허 관련 법 · 제도 등의 관련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표준특허 분석결과만이 연구결과로 공개되고 있을 뿐, 실제로 표준특허 선별을 위한 정형화된 기법은 전무한 상태이며 분석방법론 관련연구 또한 매우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형태학적 특성에 기반을 두어 표준과 특허문서 간 유사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유사도를 분석하여 신뢰성 있게 표준특허를 선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적용사례를 분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