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신기술과 인적자원관리 : 미국과 일본으로부터의 교훈

        윤세준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1994 연세경영연구 Vol.31 No.1

        최근 세계경제환경은 20세기 이후 지속된 대규모 시장 (mass market)에 기반한 대량생산 (mass production)으로부터 다품종소량생산으로 이행하는 전면적인 구조조정 과정에 있다. 이같은 환경에서 살아남고, 또한 궁극적으로 점점 심화되어 가고 있는 국제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그 어느때보다 혁신과 효율적 경영이 필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혁신과 효율은 상호배타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들 두가지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은 쉽게 달성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결코 아니다. 이 글은 미국과 일본의 지난 100여년 동안의 역사적 경험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혁신과 효율의 동시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신생산기술의 특성과 조직 및 인적자원 관리방침의 내용들을 밝히는 시도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모순관리 : 개념적 틀과 실현조건

        윤세준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1997 연세경영연구 Vol.34 No.1

        요약기업에는 갈등, 역설, 딜레마와 같은 모순적인 경향이 偏在함에도 불구하고 조직이론가, 넓게는 경영학자들은 어느 한 가지 측면만을 강조하여 기업에 관한 이론들을 전개해 왔다. 대립적 경향들을 무시하고 기업이 마치 그림 짜맞추기(jigsaw) 퍼즐과 같이 미학적으로 완벽하고 아름답게 디자인된 것처럼 그리는 것은 이론가들에게는 편리하였지만 그렇게 구성된 이론은 기업의 실제 모습을 심각하게 왜곡하거나 고작 부분적 진실만을 다룰 수밖에 없었다. 편향된 이론적 발전이 불가피할 수밖에 없었던 역사적 맥락은 20세기 초부터 대략 1970년대까지 지속된 현대 자본주의의 특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을 둘러 싼 여러 형태의 모순들이 조직 이론의 발전과정에서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가를 추적하고, 기업의 모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개념적 틀고 모순관리의 실현을 위해서 기업이 갖추어야 할 조건을 따져보는 것이다.형식논리에서 모순은 과학의 패배를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가 참된 지식(real knowledge)에 도달하려는 데 있어서 모순은 승리를 향해 나아가는 첫걸음이다

      • KCI등재

        과학, 인문학 그리고 경영학 : 미국의 경영대학 발전사에서 얻는 교훈

        윤세준,Se Joo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2

        최근 한국의 기업들 사이에 ‘열풍’이라는 단어가 부족할 정도로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민감한 경영학자들은 이 현상을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겠지만 대부분의 경영학자들은 이를 무관심으로 대하고 있다. 한국의 기업들은 왜 갑자기 인문학에 관심을 보이는가? 이 현상은 다른 나라의 기업들에서도 발견되는 보편적 경향 일까?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 논문은 근대적 경영학이 발원한 미국으로 시각을 돌려 미국의 경영대학들이 인문학과 역사적으로 어떤 관계를 맺어왔는지,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소들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최근의 발전상은 어떤 것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세기 말 경영학이 대학사회에 최초로 진입하던 시기에는 경영 대학을 대학사회의 일원으로 위치시키는 문제, 즉 정당성 확보의 문제가 매우 중요 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당시의 경영대학들은 기업 경영을 전문직(profession)으로 격상시킨다는 명분을 전면에 내세웠는데, 당시의 전문직이란 전문적 지식 이외에도 공익을 수호하는 책임의식과 윤리적 판단능력을 보유하는 직업군을 의미하였다. 따라서 최초의 경영대학들은 정체성 확보의 중요 방편으로서 인문학을 강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경영대학에서 인문학이 점하는 위상은 점점 쇠퇴하였다. 특히 Carnegie 재단과 Ford 재단이 미국 경영학의 실태를 조사한 보고서들이 1959년에 나란히 출간되었는데, 이때를 기점으로 해서 경영학은 과학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작업에 몰두하였고 인문학적 요소의 상대적 중요성도 크게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과학 으로서의 경영학은 그 후 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그렇게 큰 성과를 산출하지 못했고, 경영학계는 유용한 지식을 축적하지 못했다. 그리하여 학계에는 현대경영학의 위기, 혹은 쓸모없음(irrelevance)을 지적하는 경영학자들이 적지 않고, 산업계에서도 경영학의 유용성을 의심하는 시각이 광범위하게 유포되어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경영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등장하고 있는데, 현재 한국 기업들이 몰두하고 있는 인문학 열풍도 이런 흐름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그 실상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많은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이 논문은 한국 기업들의 인문학 수용의 현 상태에 대한 진단, 바람직한 방향, 그리고 이를 위해 한국의 경영학계가 수행해야 할 과제들을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During the last decade or so, many Korean firms have enthusiastically pursued the idea of using various disciplines of the humanities (i.e., philosophy, history, literature, and art) to boost corporate performance. For example, many firms are offering various in-house, humanities-related lectures to their employees, and in this milieu, outside training and education organizations and some humanities scholars are also busy seeking opportunities in this burgeoning market. So in Korean companies, especially large ones, corporate lectures that cover various humanities topics such as ancient history or the works and thoughts of great thinkers (e.g., Socrates, Goethe, Confucius, or Michelangelo) are very common. Books that try to bridge the humanities and business world, however clumsy and without elegance they may be, are also extremely popular among various ranks of Korean businessmen. As bizarre as they may seem, on a surface level these developments may well be viewed as the arrival of a new management paradigm in Korea. As a matter of fact, these developments, often dubbed ‘humanities fever’, are affecting all of Korean society, not just the business world. However, most of the management scholars and educators in Korean business schools are silent on these curious developments. Given the long-standing coevolution of the business world and business schools, this silence is unusual and awaits plausible explanations. This paper thus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y are Korean firms so fervently trying to embrace the humanities while management scholars pay little attention to them? Have Korean firms become humanized through these endeavors? And, can these developments be observed globally and thus signify some fundamental changes, or are they just peculiar to Korean companies? To satisfactorily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begins by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early years of American business schools and trying to gauge the nature and trans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that the humanities have maintained with the business world. Since American business schools are widely emulat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and Korea is no exception, it was expected that understanding how the humanities were assimilated by American business schools and the trajectory of that relationship over the years would provide insights and a frame of reference by which the developments in Korea can be comprehended.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umanitie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ve stages of American business schools.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schools on university campuses was pioneered by such institutions as Wharton, Tuck and Harvard Business School, which actively mobilized the ‘professionalization of businessmen’discourse as a rationale for their inclusion during a time when most university constituents were quite hostile about the idea. As the humanities were considered a necessary ingredient of the professionalization project, liberal arts education was heavily emphasized and, in the case of the Wharton School for example, historical approaches were deeply incorporated into the very core of business education. Second, the status of the humanities vis-à-vis science began to diminish rapidly as the business world became increasingly uncomfortable with humanitarian values and perspectives. Thus, business schools turned away from the humanities and began to emphasize the scientific aspects of managerial practices. This trend persisted during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and, in 1959, it culminated in Ford and Carnegie Foundation research reports on the state of business education. Since then, research in business schools has become a quasi-scientific activity and as a consequence management education has become detached from the real world.

      • 비청결노동(dirty work)과 정체성 : 청소노동자의 직무 빚어내기(job crafting)

        윤세준,양경욱,채연주,김혜련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2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2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폄하되는 직무(stigmatized work)인 비청결노동(dirty work)을 수행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일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는지에 대해 직무 빚어내기(job crafting)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에 근무 중인 청소노동자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접 등의 질적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직무 빚어내기의 네 가지 유형인 재구성(reframing), 재조정(recalibrating), 초점이동(refocusing), 수용(accepting)이 어떻게 인지적으로 과업(task)과 관계(relationship)를 빚어내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인지적으로 과업과 관계를 빚어낸 이후, 행동적인 측면에서 과업수행에 임할 때 적극적(proactive)이거나 소극적(reactive)인 변화를 꾀하였으며, 관계형성은 관계 확장(extending relational boundaries)과 관계 축소(depressing relational boundaries)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본 연구는 그간 우리나라 경영학계에서 관심이 적었던 비청결노동자들이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해가는 모습을 고찰함으로써, 사회적으로 폄하된 직무의 수행이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과정에 대한 연구를 최초로 시도해보았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