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유탕 유과 제조를 위한 진공팽화기의 개발 및 공정변수에 따른 유과의 팽화특성

        제혁,류기형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0 산업 식품공학 Vol.14 No.3

        기존의 재래식 유탕팽화유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공을 이용한 진공팽화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공정변수에 따른 진공팽화유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부피팽화율, 밀도, 절단강도, 색도, 미세구조를 측정하였다. 진공팽화기의 공정변수는 가열온도(100, 120, 140, 160, 180oC), 예열시간(0, 2, 4, 6, 8분), 진공팽화시간(5, 10, 15, 20분)이며, 가열온도 100oC,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0분에서 진공팽화유과의 부피팽화율은 10.04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밀도는 0.15 g/cm3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지만, 부피팽화율 9.47, 밀도 0.16 g/cm3으로 측정된 가열온도 120o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의 진공팽화유과가 유탕유과의 외관 및 조직과 가장 유사하였다. 절단강도는 가열온도 100oC,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5분에서 140 g/cm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색도는 예열시간과 진공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백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진공팽화유과의 백색도(L값)가 유탕팽화유과보다 25정도 높았으며,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는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진공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가열온도 120o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 기공이 작고 균일하였다. 유탕팽화유과와 비교 시 절단강도는 유사하였으나, 부피팽화율은 낮았고, 밀도는 높았다. 셀이 균일하게 형성된 진공팽화의 미세구조와는 달리 유탕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표면과 내부층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진공팽화기의 최적 공정조건은 진공팽화유과의 품질을 고려 할 때, 가열온도 120o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으로 판단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quality of Yukwa puffed by using a vacuum puffing machine and compare to deep-fried Yukwa. The effect of vacuum puffing condition including heating temperature(100-160oC), preheating time(0-8 min) and vacuum puffing time(5-20 min) on physical and micro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Yukwa was investigated. Vacuum puffed Yukwa at 100oC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0 min puffing time had highest value in volumetric expansion ratio(10.04) and lowest value in bulk density(0.15 g/cm3). The breaking strength showed the lowest value of 140 g/cm2 in vacuum puffing Yukwa at 100oC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5 min puffing time. The Yukwa puffed with the vacuum puffing machine at 100oC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5 min puffing time had the higher value of bulk density and the lower value of volumetric expansion ratio than those of deep-fried Yukwa. Increasing preheating time and vacuum puffing time caused an increase in white and an decrease in yellowness. The vacuum-puffed Yukwa exhibited smaller and uniform cell structure, while deep-fried Yukwa exhibited apparently in larger pores inside and smaller pores near the surface layer. The optimum condition of vacuum puff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vacuum-puffing Yukwa was 120oC heating temperature, 4 min preheating time and 5 min puffing time.

      • KCI등재

        비유탕 유과 제조를 위한 진공팽화기의 개발 및 공정변수에 따른 유과의 팽화특성

        제혁 ( Je Hyeok Yu ),류기형 ( Gi Hyung Ryu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0 산업 식품공학 Vol.14 No.3

        기존의 재래식 유탕팽화유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공을 이용한 진공팽화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공정변수에 따른 진공팽화유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부피팽화율, 밀도, 절단강도, 색도, 미세구조를 측정하였다. 진공팽화기의 공정변수는 가열온도(100, 120, 140, 160, 180℃), 예열시간(0, 2, 4, 6, 8분), 진공팽화시간(5, 10, 15, 20분)이며, 가열온도 100℃,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0분에서 진공팽화 유과의 부피팽 화율은 10.04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밀도는 0.15 g/cm3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지만, 부피팽화율 9.47, 밀도 0.16 g/cm3으로 측정된 가열온도 120℃,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의 진공팽화유과가 유탕유과의 외관 및 조직과 가장 유사하였다. 절단강도는 가열온도 100℃,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5분에서 140 g/cm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색도는 예열시간과 진공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백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진공팽화유과의 백색도(L값)가 유탕팽화유과보다 25정도 높았으며,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는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진공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가열온도 120℃,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 기공이 작고 균일하였다. 유탕팽화유과와 비교 시 절단강도는 유사하였으나, 부피팽화율은 낮았고, 밀도는 높았다. 셀이 균일하게 형성된 진공팽화의 미세구조와는 달리 유탕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표면과 내부층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진공팽화기의 최적 공정조건은 진공팽화유과의 품질을 고려 할 때, 가열온도 120℃,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으로 판단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quality of Yukwa puffed by using a vacuum puffing machine and compare to deep-fried Yukwa. The effect of vacuum puffing condition including heating temperature(100-160℃), preheating time(0-8 min) and vacuum puffing time(5-20 min) on physical and micro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Yukwa was investigated. Vacuum puffed Yukwa at 100℃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0 min puffing time had highest value in volumetric expansion ratio(10.04) and lowest value in bulk density(0.15 g/cm3). The breaking strength showed the lowest value of 140 g/cm2 in vacuum puffing Yukwa at 100℃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5 min puffing time. The Yukwa puffed with the vacuum puffing machine at 100℃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5 min puffing time had the higher value of bulk density and the lower value of volumetric expansion ratio than those of deep-fried Yukwa. Increasing preheating time and vacuum puffing time caused an increase in white and an decrease in yellowness. The vacuum-puffed Yukwa exhibited smaller and uniform cell structure, while deep-fried Yukwa exhibited apparently in larger pores inside and smaller pores near the surface layer. The optimum condition of vacuum puff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vacuum-puffing Yukwa was 120℃ heating temperature, 4 min preheating time and 5 min puffing time.

      • 유 · 아동 브랜드 의복 색채 분석과 조화감과 고급감의 상관관계

        혜인(Hyein Ryou),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2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본 연구는 코로나 이후 고속 성장하는 고가의 유 · 아동 브랜드 의복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로 저출산 추세 속에서도 ‘골드키즈’ 들에게 프리미엄 아동복을 입히는 소비의 주체가 된 MZ 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가 고급스럽다고 느끼는 요소의 도출을 통해 디자이너와 소비자의 색채 이미지를 일치시키고 브랜드 가치를 제고 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해외 · 국내 고가 브랜드의 핑크색 제품 색상 · 뉘앙스 분석 결과, 해외 브랜드는 YR 계열의 고명도 · 저채도 사용이 많았고 국내 브랜드는 RB 계열의 고명도 · 저채도의 뉘앙스와 중명도 · 중채도의 뉘앙스가 많았다. 각 브랜드에서 추출된 컬러로 유 · 아동복 컬러 적합성, 고급감, 조화감을 온라인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고, 그 결과 R, RB 계열의 고명도 · 저채도, 고명도 · 중채도의 색이 유 · 아동복 컬러 적합성에 긍정적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조화감과 고급감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상관계수는 r=.94로 강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조화롭다고 느끼는 색을 고급스럽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스핀코팅 하드마스크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에 관한 연구

        제정 ( Je Jeong Yu ),황석호 ( Seok Ho Hwang ),김상범 ( Sang Bum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1 공업화학 Vol.22 No.2

        반도체산업은 고집적화된 회로를 요구하면서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계속해서 발전해가고 있다. 이에 반도체 산업에서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드마스크를 도입하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드마스크는 화학증기증착법(CVD) 공정을 이용하여 다층구조로 제작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핀공정이 가능하고 단층의 하드마스크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중합체를 이용하여 그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Silanol로 처리된 siloxane 화합 물과 acetonide 그룹을 가지는 propionic acid를 에스터화 반응을 통하여 얻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중합체에 가교제 및 첨가제들의 첨가로 광학적, 열적, 그리고 표면 특성이 조절된 하드마스크 막을 제조하였다. 또한 하드마스크 막과 감광층의 식각비를 비교하여 유-무기 소재의 하이브리드 중합체에 대해 미세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는 하드마스크 막으로써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work, the primary material for a single layered hardmask which can afford a spin-on process was prepared by the min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sources. The preparation of hybrid polymer was attempted by esterification from silanol terminated siloxane compounds and acetonide-2,2-bis(methoxy)propionic acid. The optical, therm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he test hardmask film was examined in terms of cross-linking agent and additives. In addition, the etch rate of hardmask film and photo resist layer were compared. The hybrid polymer prepared from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was found to be useful for hardmask film to form the nano-patterns.

      • KCI등재

        유-무기 하이브리드 하드마스크 소재의 합성 및 식각 특성에 관한 연구

        제정(Yu, Je-Jeong),황석호(Hwang, Seok-Ho),김상범(Kim, Sang-Bu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4

        반도체 산업은 지속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내면서 점점 고집적회로를 제작하기 위하여 패턴의 미세 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현재 미세 나노패턴의 형성을 위하여 여러층의 하드마스크가 사용되고 있으며, 화학증기증 착(CVD)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핀공정(spin-on process)이 가능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중합 체를 이용한 단일층의 하드마스크를 제작하였는데, 하드마스크 내의 무기계 성분이 감광층 보다 쉽게 식각되는 반면 에 하드마스크의 유기계 성분으로 인해 substrate층 보다 덜 식각되었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중합체를 이용한 하드마 스크막의 광학 및 표면 특성을 조사하였고, 감광층과 하드마스크막의 식각비를 비교하여 유-무기소재의 하이브리드 중합체에 대한 미세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는 하드마스크막으로써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Semiconductor industry needs to have fine patterns in order to fabricate the high density integrated circuit. For nano-scale patterns, hard-mask is used to multi-layer structure which is formed by CVD (chemical vaporized deposition) process. In this work, we prepared single-layer hard-mask by using organic-inorganic hybrid polymer for spin-on process. The inorganic part of hard-mask was much easier etching than photo resist layer. Beside, the organic part of hard-mask was much harder etching than substrate layer. We characterized the opt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to the hard mask films using organic-inorganic hybrid polymer, and then etch rate of photo resist layer and hard-mask film were compared. The hybrid polymer prepared from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was found to be useful hard-mask film to form the nano-patterns.

      • KCI등재

        IT 기술력으로 대한민국을 연결하다: 메쉬코리아의 성공 메커니즘 분석

        정범(Jeong-bum Rhyu),박재홍(Jae-hong Park),이동근(Dong-gun Lee),박기찬(Kichan Park) 한국경영학회 2021 Korea Business Review Vol.25 No.신년 특별호

        온라인 쇼핑 시장의 발전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비대면 생활 시대가 점진되면서 라스트 마일 시장(Last Mile Market)은 유래 없는 호황을 맞이하고 있다. 이제는 배송의 대상이 음식에 국한되지 않고 편의점, H&B 스토어 등 비(非)음식분야까지 서비스가 보편화 되었다. 본 연구는 라스트 마일 업계에서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력을 기반으로 성공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메쉬코리아의 성공 사례를 자원기반이론(RBV)의 확장 모델로 평가되는 SER-M 패러다임을 통해 분석했다. 주체의 특성, 환경적 조건, 자원의 역량요인 등이 융합 · 결합을 통해 어떠한 메커니즘을 형성하여 성공할 수 있었는지, 그리고 더 큰 성장을 위해 어떤 도전과제에 직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선순환적 성장 메커니즘을 구축시켜준 주요 원동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주체변수의 특성은 창업가의 기업가정신으로 나타났다. 메쉬코리아의 창업주 유정범 대표는 아버지의 장례식장에서 배달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보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창업을 결심했다. 유대표의 기업가 정신은 현장 중시 철학인 ‘우문현답’, 모두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려는 모토인 ‘세상에서 가장 깨끗한 1원의 가치’, 그리고 흔히 라이더(Rider)라 부르는 배송기사들에 대한 ‘섬김의 리더십’실천으로 부각된다. 둘째, 성공을 위한 환경적 요인은 온라인 쇼핑이 활성화되어 라스트 마일 사업이 확대된 시장 환경,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신유통 등 물류 시장에 혁신의 바람을 불게 한 시대적 환경, 그리고 코로나-19 신종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등의 정책적 환경이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정범 대표의 기업가 정신과 코로나 팬데믹 환경에 더하여 메쉬코리아가 보유하고 있는 인적, 물적 자원을 업계에서 유일하게 직영 구조로 운영하는 전략적 자원으로 구축 및 활용함으로써 글로벌 배송 업체까지도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메쉬코리아의 선순환적 성공 메커니즘이 사내외로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사업과 산업이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도 배송업계에 대한 낙관적 전망에 따라 포화상태로 접어들고 있는 라스트 마일 업계에서 메쉬코리아가 향후 직면하게 될 도전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메쉬코리아의 성공적 성장사례를 통해 스타트업 기업들의 시장진입 및 성장전략, 그리고 그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이슈와 과제를 어떻게 대응하고 극복해 갈 것인지에 대한 방법을 토론하는 데 그 의미를 두고자 하였다. The Last Mile Market is experiencing an unprecedented boom due to advent of the non-faceto-face life era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shoppong market and the spread of the COVID-19. The target of delivery is not limited to food, and services have become common in non-food fields such as convenience stores and H&B stores. This study analyzed the success cases of Mesh Korea, which has achieved successful results based on IT(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Last Mile Industry, through a ser-M model. and this study examines what kind of mechanisms the subject, environment, and resourse factors could have formed and succeeded through fusion and combination, and what challenges they face for greater growth. CEO Rhyu Jeong-beom, founder of Mesh Korea, decided to start a business in order to improve the inefficiency of the delivery system at his father’s funeral. His entrepreneurship is “Woo Moon Hyeon-dap(The answer to our problem is in the field),” a philosophy that focuses on the field, “the cleanest value of 1 won in the world,” and the leadership of serving delivery riders. Environmental factors for succes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 to Market Environment in which the Last Mile Market has expanded due to active online shopping,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in which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AI(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have been developed to blow the wind of innovation in the logistics market. and Policy Environment such as strong social distancing following the spread of the COVID-19. This study presents the challenges that Mesh Korea will face in the future in the last mile industry, which is saturated with indyustry optimism. And it is meaningful in discussing how to overcome the start-up and growth of start-up companies and the challenges they will face through the case of Mesh Korea.

      • KCI등재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 연구

        오판진(Oh, Pan-jin),상언(Yoo, Sang-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hold a pencil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Korean and to find ways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Methods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among the qualitativ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Yoo Sang-eon for a single case of how to hold a pencil, Hangul files related to his claims, YouTube materials, student handwriting materials, and testimonials were used in this study.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s were analyzed in a multi-layered manner, along with texts and letters.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position of the finger guiding i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 textbook. In other words, if you look at the position of your fingers when writing, holding a pencil while holding your thumb and index finger in a circle is not the optimal way. Also, it is not appropriate to place your elbows on the desk when writing, so it is a guideline that needs to be corrected. On the other hand, Yoo Sang-eon s method of holding a pencil is a better way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Here s how to hold a pencil correctly, as he suggests. First, put the tip of the thumb and middle finger together to make a round shape, and then place the pencil on the nail area of the middle finger and the area next to the bone where the index finger begins. Second, lift your thumb upwards, bend it at a right angle, and press the pencil gently from above. Third, bend the forefinger close to a right angle and put it lightly between the thumb and middle finger without straining. Fourth, write in such a way that the wrist or arm where you are writing extends slightly over the edge of the desk. Conclusions If you write accor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inger holding the pencil as suggested by Yoo Sang-eon, the force of the finger applied to the pencil is maintained evenly, so that you can write more correctl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을 분석하고, 학생들이 바른 글씨를 쓰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가운데 사례 연구라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유상언의 연필 잡는 법이라는 단일 사례를 대상으로 그와의 인터뷰 자료와 그가 주장하는 내용과 관련한 한글 파일, 유튜브 자료, 학생들의 글씨 자료, 소감문이나 편지글 등과 함께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다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교과서에서 안내하고 있는 손가락의 위치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글씨를 쓸 때 손가락의 위치를 보면, 엄지와 검지를 둥그렇게 모으면서 연필을 잡는 방법은 최적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글씨를 쓸 때 팔꿈치를 책상 위에 올리도록 한 것도 적절하지 못해서 수정해야 할 지침이다. 이와 달리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학생들이 글씨를 바르게 쓰는 데 도움을 주는 더 나은 방법이다. 그가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끝을 맞잡아 둥글게 만든 후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부위와 집게손가락이 시작되는 뼈 옆 부위에 연필을 올린다. 둘째,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서 직각으로 꺾은 후 연필을 위에서 지그시 눌러 준다. 셋째, 집게손가락도 직각 가깝게 꺾어서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의 사이에 힘주지 않고 살짝 붙여만 준다. 넷째, 글씨 쓰는 손목이나 팔이 책상 모서리에 약간 걸치는 정도로 해서 글씨를 쓴다. 결론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 잡는 손가락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글씨를 쓰면, 연필에 가해지는 손가락의 힘이 균등하게 유지되어 편안한 자세로 글씨를 더 바르고 쉽게 쓸 수 있다.

      • KCI등재

        지방공기업의 공공서비스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동(柳水東),전성훈(全成勳),사용진(史容鎭) 한국정부학회 2018 한국행정논집 Vol.30 No.3

        본 연구는 서울시주택도시공사 직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공공서비스동기와 직무만족의 영향관계에서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공공서비스동기의 하위변수 중 공익몰입, 자기희생은 혁신문화에 정(+)의 영향을, 공공정책 호감도, 공익몰입은 관계문화에 정(+)의 영향을, 공익몰입은 합리문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정책 호감도, 공익몰입, 자기희생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익몰입, 자기희생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혁신문화의 부분매개효과를, 공익몰입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관계문화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First, among the sub-variable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and self-sacrifice positively (+) influenced on adhocracy culture, attraction to public policy making and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positively (+) influenced on clan culture. And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positively (+) influenced on rational culture. Second, attraction to public policy making,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and self-sacrifice positively (+)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Thir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he adhocracy cultur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interest commitment, self-sacrifice and job satisfaction. Also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he clan cultur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interest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자의식과 성취동기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혜승(柳慧承),신명희(申明熙)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발표불안과 관련한 개인적 특성에 초점을 두어, 인지적 특성인 자의식과 정의적 특성인 성취동기가 발표불안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그 상호관계를 분석하고 자의식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취동기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총 272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의식은 발표불안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이며, 발표불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동기는 발표불안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이며, 발표불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표불안을 예측하는 데 있어 성취동기는 자의식에 비해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의식이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취동기는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발표불안을 예측하는 변인으로서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성취동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onsciousnes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college students" speech anxiety,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peech anxiety. To achieve the purpose,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300 college students and 272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in several steps using SPSS 18.0: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sciousness was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speech anxiety.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verall self-consciousness and speech anxiety. Second, achievement motivation was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speech anxiety.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speech anxiety. Third,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motivation was greater than the influence of self-consciousness on speech anxiety. Fourth,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peech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