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환조,이영철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1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support on the problem,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a stud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a stud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ho belong to H special school in Jeollanam-do. For this study,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was applied. Also For confirmation of the subject’s behavior function and development of mediation program,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was applied. Intervention was multicomponent thing which consists of antecedent, replacement behavior, subsequent outcome. For data acquisition, videos were taken as each session. And for material analysis, using partial-interval recording, The incidence of action was measured. Also variation of each session was presented as graphs. The outcom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support were efficient in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econd, those were efficient in increasing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ir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and decreased problem behaviors were maintained. In conclusio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support are efficient for target behavior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이 연구는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이 발달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전남 소재 H특수학교에 배치된 1명의 발달장애 학생이었다. 이 연구의 설계는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이다. 대상학생의 행동 기능 확인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기능적 행동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선행사건과, 대체행동, 후속결과에 대해 다요소 중재로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회기별 20분씩 영상을 촬영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부분간격기록법으로 행동발생율을 측정하여 회기별 증감을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평가에 근거한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의 증가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긍정적으로 변화된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은 유지되었다. 따라서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은 발달장애 학생의 표적행동과 기대되는 수업참여행동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재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환조 ( Hwan Jo Yoo ),이영철 ( Young Chul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문제행동,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전남 소재 H특수학교에 소속된 3명의 중학교 2학년 지적장애 학생들이었다. 본 연구의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고 부분간격기록법으로 행동발생율을 측정하여 회기별 증감을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중재는 선행/배경사건중심 중재, 대체행동중심 중재, 후속결과중심 중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지적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대상 학생들의 문제행동 발생율은 감소되었으며, 유형별문제행동 발생율도 감소되었다. 감소된 문제행동은 유지되었으며, 다른 교실 상황으로도 일반화되었다.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대상 학생들의 수업참여행동 발생율이 증가하였으며, 유형별 수업참여행동 발생율도 증가하였다. 증가된 수업참여행동은 유지되었으며, 다른 교실 상황으로도 일반화되었다. 따라서 긍정적 행동지원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교실의 수업상황에서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의 기대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problem,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3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se grade were second of H special school in Jeollanam-do. For this study, multiple probe across subject design was applied. And using partial-interval recording, the events of action was measured. Also variation of each session were presented as graphs. Central terminat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highly efficient in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oblem behaviors and the incidence by each type were decreased. Decreased problem behaviors were maintained, and generalized in other class room situation. Second,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efficient in increasing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and the incidence by each type were increased. increased problem behaviors were maintained, and generalized in other class room situation. In conclusion, positive behavior support were efficient way for affecting problem behaviors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positively.

      • KCI등재

        사진과 설명글 단서를 이용한 자기점검 전략이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청소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유환조 ( Hwan Jo Yoo ),이영철 ( Young Chul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 지적장애 아동들이 사진과 설명글 단서를 보고 자기점검 전략을 이용하였을 때 ‘청소기술’의 습득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전남의 H특수학교에 소속된 경도 지적장애아동 3명이었으며, 12주 동안 주 3회씩 매회 40분씩자기점검 전략을 실시하였으며, 중다간헐기초선설계로 ‘청소 준비하기’, ‘청소 수행하기’, ‘청소 후 정리 정돈하기’ 까지의 ‘청소기술’ 습득과 유지에 관한 변화를 그래프와 백분율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 아동들은 사진과 설명글 단서를 이용한 자기점검 전략을 이용하였을 때 청소준비, 수행, 정리정돈 기술이 향상되었다. 둘째, 대상 아동들은 습득된 청소기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경도 지적장애 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갖추어야 할 생활기술 중 자기점검 전략을 이용한 ‘청소기술’을 배울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weeping skills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en using self-monitoring strategy with picture and explanation cues. The intervention time was conducted 40minutes each session triweekly during 12 weeks with 3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ch are assigned H special education school, Jeon-nam, Korea. And b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results about acquisition and maintaining of sweeping skills - ‘preparing sweeping’, ‘sweeping’, ‘arranging after sweeping’ - were presented by graph and percentage.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preparation, execution and arrangement sweeping skill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improved when they use self-monitoring strategy with picture and explanation cues. Second, acquired skill maintained consistently. Being based on this, from now on, it is possible to apply sweeping skill with self-monitoring strategy in reality among skills which they have for everyday life.

      • KCI등재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를 수반한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환조 ( Yoo Hwan Jo ),이영철 ( Lee Young Chul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를 수반한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전남 소재 H특수학교에 소속된 1명의 지적장애를 수반한 자폐성장애 학생이었다. 본 연구의 설계는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고 부분간격기록법으로 행동발생율을 측정하여 회기별 증감을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중재는 선행/배경사건중심 중재, 대체행동중심 중재, 후속결과중심 중재의 다중재 요소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지적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대상 학생의 문제행동 발생율은 감소되었다.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감소된 문제행동과 증가된 수업참여행동은 유지되었다. 따라서 긍정적 행동지원은 지적장애를 수반한 자폐성장애 학생의 교실수업상황에서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의 기대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problem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utism which accompany intellectual disabilities.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a student with autism which accompany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as attached to H special school in Jeollanam-do. For this study, multiple probe across Three problem behaviors design was applied. And using partial-interval recording, the events of action was measured. Also variation of each session were presented as graphs. Mediation consists of antecedent-centered, replacement behavior-centered, subsequent outcome-centered mediation interventio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highly efficient in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of student with autism whic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cidence of problem behaviors were decreased. Second,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efficient in increasing of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decreased problem behaviors and increased participation behaviors in class were maintained. In conclusion,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efficient method for decreasing problem behaviors and increasing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which accompany intellectual disabilities positively.

      • KCI등재
      • KCI등재

        독립 연쇄 모델과 그 확장 모델들을 위한 통합 영향력 최대화 프레임워크

        김진하,유환조 한국정보과학회 2013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9 No.2

        소셜 네트워크의 “입소문” 효과는 근래의 마케팅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영향력 최대화 문제는입소문 효과를 최대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 목표를 조합 최적화 문제로 정형화 한다. 영향력 최대화 문제해결 과정의 중요한 요소로서, 영향력 측정은 다항시간 내에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지는 #P-hard 문제로분류된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영향력 측정/근사 알고리듬을 고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효과적인 영향력 근사 알고리듬인 Independent Path Algorithm(IPA)를 제안한다. IPA의 주된 아이디어는 영향력 전달 경로를 영향력 측정의 최소 기준으로 삼는 것이다. 이 아이디어를 통해, IPA는 기존의 가장 효율적인영향력 근사 알고리듬인 Prefix excluding Maximum Influence Arborescence(PMIA) 보다 10배 이상 빠르고 더욱 정확히 영향력을 근사한다. 이와 더불어, IPA는 독립 연쇄 모델(Independent Cascade(IC) model) 뿐아니라 그 확장 모델들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The “word-of-mouth” effect on social networks – opinion propagation– nowadays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rketing. The influence maximization problem aims at maximizing the word-of-mouth effect and formulates such goal as a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 As an important process of the influence maximization problem, evaluating influence is #P-hard which cannot be affordable in a polynomial time. Accordingly, devising a fast influence evaluation/approximation algorithm is crucial. We propose a scalable influence approximation algorithm called IPA. The main idea of IPA is considering an influence path as an independent influence evaluation unit. Using that idea, IPA approximates influence an order of magnitude faster and more accurately than PMIA,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approximation algorithm. In addition,IPA is applicable to independent cascading(IC) model and its extensions.

      • KCI등재

        메타패스를 사용한 영화추천

        김성철,유환조 한국정보과학회 2013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9 No.2

        영화추천시스템의 주된 목표는 사용자들이 좋아하다고 판단되는 영화의 집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추천시스템의 경우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평가점수정보를 기반으로 한 정확도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하지만 추천이라는 분야의 특성상 추천이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을 때 단순히 정확하다는 측면보다는왜 해당 추천을 제공했는지에 대한 합당한 이유를 제시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메타패스를 사용한영화추천 시스템 (MEMO: MEta path based MOvie recommendation)을 제안하는 바이다. MEMO는 먼저영화의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영화집합을 다형네트워크 (Heterogeneous Information Network)로 표현한 후, 해당 네트워크와 사용자의 영화히스토리를 기반으로 하여 메타패스를 추출하고, 그 메타패스가 사용자가영화를 찾아가는 방향성이라고 가정한다. 추천을 위해서 우리는 영화 다형네트워크 내에서 사용자가 기존에 높게평가한 영화와 메타패스를 기반으로 하여 높은 확률로 연결되어 있는 영화를 찾아내어 그 영화들을 추천한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MEMO는 기존의 연구와 유사한 수준의 정확도를 보였다. 보다 중요한 결과는 추가적으로 새로운아이템들이 왜 추천되었는지에 대한 이유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goal of recommender systems is to provide a set of items that users might have interests. Most recommender systems only focus on increasing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based on user rating data. However, recommendations typical require "reasoning" in order to convince users to accept the recommendation. To do this, we propose a new recommendation system called MEta path-based MOvie recommendation system (MEMO) based on heterogeneous information network. In this work, we represent movies with their meta information as a form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network, and recommend new items based on the meta path extracted from the network. We assume that user rating data contains hidden relationships between movies and these hidden factors are represented as a form of the meta path. We first propose a method that automatically and representative meta path from users' rating history by using top-k shortest path. After that, we build probabilistic models based on meta path for recommending new items. In experimental results, we provide quantitative results and a case study to qualitatively evaluate our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commendation of our system is comparable to the competitor in terms of accuracy. More importantly, our system additionally provides an interpretation of recommendation based on the meta p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