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공동주택에 있어서 하자발생현황 및 보수책임기간에 관한 연구
유진호,김준환,김용수 중앙대학교 건설산업기술연구소 2001 건설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Vol.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actical guarantee period in apartment buildings. The study has been performed by survey and interview for apartment buildings and managers in Seoul, Kyunggi and Chonnam provi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ractical guarantee periods of plastering, waterproofing, and tiling work are 2.3∼3.2, 3.5∼4.3, and 3∼4 years. 2. Rational guarantee periods of joiner's work, factory work, and paper hanging work are 2.7∼3.4, 2∼3, and 2.1∼2.6 years. 3. Rational guarantee periods of lighting work, water supply work, and water disposal work are 1.8∼2.4, 1.8∼3.4, and 2.6∼3.8 years. 4. Rational guarantee periods of sanitary fixture work, and kitchen facility work are 2.7∼2.9, and 1.8∼2.4 years.
Polar Code 발효에 따른 북극-동북아시아 항만국통제 지역협력체제 신설에 관한 연구
유진호,이상일 한국해사법학회 2020 해사법연구 Vol.32 No.1
이 논문은 항만국통제라는 유엔해양법협약상의 인류 보편적인 공익모델을 활용하여 정체된 남북협력관계를 푸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유엔해양법협 약 제218조, 제219조, 제220조에 따른 항만국통제를 활용하여 지역적 협력체를 체결한다면 한반도의 평화적 분위기 조성이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2017년 1월 Polar Code가 발효됨에 따라서 북극의 북극항로와 북서항로는 통항의 증가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항만국통제의 지역협력체는 본질적으로 해사안전과 환경보호를 목표를 위한 지역적 연계와 협력을 수반하며, 이러한 항만국통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논의와 지역에 대한 정보교환은 남북관계를 평화롭게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2004년 남북해운합의서와 지역적 협력체 양해각서의 비(非)법적 구속력 등은 남북한 양자에게도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유엔 및 미국 등의 북한제재법령과의 충돌가능성이 최대한 낮추게 된다. 따라서 남북한이 주도적으로『북극-동북아시아 항만국통제 지역적 양해각서』(Seoul-Pyongyang MOU)의 체결을 수행할 때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관계를 감소할 것이다. 새로운 항만국통제 지역협력체는 인명보호, 극지역 바다의 환경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는 바다의 영역에서 북한을 객관화된 국제사회로 초대하는 진입문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leverage an universal public interest model under Port State Control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s(UNCLOS), as a breakthrough to the stagnant inter-Korean cooperation. The establishment of a peaceful atmosphere o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achieved if regional cooperation is concluded using the Port State Control in accordance with Articles 218, 219 and 220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As the Polar Code was effective on January 1st, 2017, the Arctic sea is expected to face more ships on the Northern Sea Route(NSR) and Northwest Passage(NWP). The nature of PSC MOU necessarily entails region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for maritime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promoting dialogues and exchanges of information in the region, which would contribute to peacemaking in the Korean Peninsula. Most importantly, the South-North Maritime Agreement of 2004 does not conflict with the legal nature of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PSC that has no legally binding effect, putting little burdens on both administrations. Accordingly, when the Seoul-Pyongyang MOU on PSC in the Arctic-Northeast Asia can be established by two Koreas, this will dramatically reduce the tension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e signing of the new PSC MOU will not only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life, property and environment of the Arctic Ocean, but also act as a catalyst to induce the North to the objective open governance in the global community.
유진호 한국법학회 2002 법학연구 Vol.0 No.11
In dieser Arbeit, habe ich die rechtliche Natur bei den Sicherungsubereignung von der beweglichen Sachen studiert. Meine Ansicht uber die rechtliche Natur bei der Sicherungsubereignung von den beweglichen Sachen ist die Sicherungsrechtstheorie wider die Treuhandgeschaftstheorie aus Deutschland. Folglich wird der Glaubiger nicht Eigentumer sondern echter Sicherungsnehmer. Dies hat zur Folge, das dem Schudner unmittelbarer Besitz, Nutzungsmoglichkeit und Eigentum verbleiben, wahrend auf den Glaubiger das Sicherungsrecht(nicht Eigentum) bestellt werden. Diese Konklusion ist darin angemessen zu den Ersten, sie stimmt in weltweite Tendenz zu, zu zweiten, sie stimmt in zutreffende Gefuhle eine Absicht der betroffenen Person zu, zu dritten, der Schuldner zu schutzen ist. Und zu Enden, fur den Aufbau von den Rechtstheorie, der mit der Sicherungsubereignung von dem Grundstuck gleichbleibend ist.
자율운항선박의 통제원리로서의 선원의 상무와 해사법규 개정방안
유진호,정찬수,이상일 한국해사법학회 2019 해사법연구 Vol.31 No.2
Autonomous technology is advancing, but attention must be paid to how it will be realized when the technology meets specific domains. This paper argued that ships with autonomous technology can not be fundamentally free from the nature of a ship that is human system. Furthermore, the ordinary practice of seamen, which has been the foundation of ship safety for thousands of years, would serve as a basis for judging the adaptability of the autonomous technology. In this regard, the maritime autonomous surface vessels (MASS)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should be re-conceptualized into remotely operated vessels (ROV) and fully-autonomous vessels (FAV), and both development models should fulfill the standards of the ordinary practice of seamen. Furthermore, insofar as the ordinary practice of seamen takes a central role in MASS, the approach of amending Maritime Law will is more appropriate in regulating MASS than that of adopting a special act. Accordingly, this paper presented a draft of minimum necessary amendments. 자율화 기술이 진보하고 있으나 그 기술이 구체적인 특정 영역과 만날 때 어떻게 구현될 것인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자율화 기술이 적용된 선박의 경우 근본적으로 인간시스템으로서의 선박의 성질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수천 년 동안 선박안전의 근간이었던 선원의 상무는 자율화 기술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작동할 것임을 밝혔다. 이 점에서 국제해사기구의 자율운항선박은 원격운항선박과 완전자율선박으로 재 개념화가 되어야 하고 두 개발모델은 모두 선원의 상무의 기준점을 통과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선원의 상무가 자율운항선박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한, 특별법보다는 해사법규를 개정하는 접근법이 자율운항선박 규제에 보다 적합할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최소한의 필요한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유진호,지상호,송혜인,정경호,임종인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 정보화정책 Vol.15 No.1
정보화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 침해사고가 점차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규모와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침해사고의 발생에 대한 예방과 대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에는 인터넷 침해사고의 피해규모에 대한 연구와 자료가 미흡하여 피해규모의 정량화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인터넷 침해사고 피해액 산출모형을 개발하고, 정량적인 피해액 산출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인터넷 침해사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의 내용을 범주에 따라 분류하고, 이러한 피해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피해액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측정한 값을 일본의 사례, 전 세계 피해액 산출 내역과 비교하여 간접적으로 검증을 시도하였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like hacking, worms, viruses, and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s have become more frequent and the scale of the economic damages from such incidents is growing. However, there is no formal approach to assess economic damages from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This paper presents a framework to analyze economic impact of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and develops formulas for each element to empirically calculate the economic damages. We also compared annual economic damages of Korea with that of Japan and annual worldwide damages to test our approach and result.
유진호,이동주 한국공작기계학회 2006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
In order to predict vibration trends occurred during vehicle drive, acceleration data was processed by using data processing algorithm with moving average and Hilbert transform. Specific mode constants of acceleration were obtained under various disturbance. Vehicle velocity, road condition, property of pointing structure were considerd as factors which make change vibration trend in vehicle dynamics. Results of signal processing were compared and analysised.
공공용지 취득에 따른 손실보상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유진호,권경수,김용수 中央大學校 建設環境硏究所 2002 環境科學硏究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공공용지 취득에 따른 민원제기 및 패소사건 현황에 대한 원인을 조사ㆍ분석하여 문제점 도출하고, (2) 우리나라와 외국의 관련 제도에 대하여 주요 내용을 비교ㆍ조사한다. (3) 상기에서 도출된 문제점과 외국의 관련 제도를 바탕으로 손실보상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건설교통부(토지수용위원회)의 보고서 및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0년도에 접수된 민원의 종류는 보상금액(80.7%), 현실이용 상황판단 잘못(3.4%)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정부가 패소한 주된 요인은 상황판단 미흡(42건), 대상지 선정 타당성 결여(15건)등으로 조사되었다. 현행 손실보상제도의 문제점은 공익사업의 범위에 관한 법률적 사항과 이원적인 법체계로 인한 보상업무의 지연 및 비효율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보상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토지수용위원회 및 보상심의위원회의 전문성 부족을 지적할 수 있다. (2) 공익사업의 범위에 관하여 외국의 경우는 공익사업의 범위를 명확히 제시하여 공공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보상법제의 경우 일본과 프랑스는 단일화된 보상법제를 가지고 있다. 손실보상 관련 위원회의 겨우 외국에서는 위원의 임기를 3년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위원회를 수명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위원의 임기를 명확히 하고 현재의 9명에서 다수로 증원시켜 업무의 전문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3) 공공용지 취득에 따른 손실보상제도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개별법의 사업인정 의제 및 사업인정 실효기간 연장 규정은 점진적으로 폐지되어야 하고, 2) 현재의 이원적인 법률 체제는 토지수용법을 중심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재구성해야 하며, 3) 중앙토지위원회의 위원수를 외국의 경우에서와 같이 다수로 증원하여 전문성을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1)to analyze causes about grievances and last law cases (2)to compare legal systems of other countries (3)to suggest improved compensation system for acquisition. For this study, the reports that was issued from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year 2000, accepted grievances are segmented as compensation money area(80.7%), circumstantial misjudge area(3.4%) and so on. The lost law cases of the government are segmented lack of circumstantial judgement(42) feasibility(15), etc. Therefore, the major problems related to the system of compensation are summarized as scope of public projects, current compensation system, committees related to compensations. (2) The suggestions to improve the compensation system include that : 1)the extension of project validation periods in individual acts should be abolished because of the problem of prolonged project accreditation. 2)the current dual law system should be restructured, and 3)it would be desirable to increase Central Land Tribunal members like other countries.
다세대주택의 재건축에 대한 경제성 분석 연구 : 광명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Focused on case studies of Gwang-myeong city
유진호,이만구,김용수 中央大學校 建設環境硏究所 2002 環境科學硏究 Vol.13 No.2
본 연구는 아파트 중심의 재건축 사업의 문제점에 대하여 그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다세대 주택을 대상으로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광명시의 다세대 주택 재건축 사례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일반 건설회사에서 사용하는 수익성 분석방법을 통하여 경제성을 분석·비교하였다. 본 사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독형 다세대는 기존 용적률121%에서 198%로 증가(+77%)되었고 평당이익은 111만원으로 분석되었다. 2) 연립형 다세대는 단독형 보다 2%적은 75%의 용적률 증가가 있었으며 평당이익은 단독형 보다 58만원 많은 169만원으로 분석되었다. 3) 변화형 다세대의 경우는 용적률이 64%증가되었고 평당이익은 세 가지 유형 중 가장 많은 213만원으로 분석되었다. 상기의 세 가지 유형 중 변화형 다세대 주택 유형이 가장 경제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효과적 재건축 개발방안으로서 리모델링 사업의 선택적 적용과 인센티브제의 확대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conomic feasibility in the multi-family house reconstruc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ncludes cases studies for multi-family houses in gwang-myeong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the single multi-family house is analyzed as follows : the floor area ratio is increased at 77% and the profit of one pyong(3.3㎡) is 1,110,000 won, 2) the duplex multi-family house : the floor area ratio is increased at 75% and the profit of one pyong(3.3㎡) is 1,690,000 won and 3) the varied multi-family house : the floor area ratio is increased at 64% and the profit of one pyong(3.3㎡) is 2,130,000 won. Therefore, the varied multi-family house of the three types is analyzed to be the most economical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