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태양전지 응용을 위한 PECVD 실리콘 질화막 증착 및 열처리 최적화

        柳鎭洙(Jinsu Yoo),Kumar Dhungel,李準信(Junsin Yi) 대한전기학회 2006 전기학회논문지C Vol.55 No.12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PECVD) is a well established technique for the deposition of hydrogenated film of silicon nitride (SiNx:H), which is commonly used as an antireflection coating as well as passivating layer in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PECVD-SiNx:H films were investigated by varying the deposition and annealing conditions to optimize for the application in silicon solar cells. By varying the gas ratio (ammonia to silane), the silicon nitride films of refractive indices 1.85 - 2.45 were obtained. The film deposited at 450°C showed the best carrier lifetime though the film deposition rate was not encouraging. The film deposited with the gas ratio of 0.57 showed the best carrier lifetime after annealing at a temperature of 800℃. The single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fabricated in conventional industrial production line applying the optimized film deposition and annealing conditions on large area substrate of size 125 ㎜×125 ㎜ (pseudo square) was found to have the conversion efficiencies as high as 17.05 %.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silicon solar cells fabrication sequence has also been explained in this paper.

      • KCI등재

        국가공무원법과 직위분류제(職位分類制)

        유진식(Yoo Jin-Sik) 한국비교공법학회 2007 공법학연구 Vol.8 No.2

        The Government Officials Act takes the hierarchy system in chief and the position classification in part as an classification of an official position. And in view of the principle and purpos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Act, it is desirable that we should expand the position classification by stages. But the big problem which the Government Officials Act faces is that the hierarchy system and the position classification do not stand together if both may have a supplement relationship. It is main reason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Act is difficult to read and lacks the systemicity. It is urgent to examine the problem mentioned above and revise the respective provision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Act.

      • KCI등재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강좌의 LMS 로그파일 분석 사례 연구

        유진은(Jin Eun Y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COVID-19 사태로 원격 수업은 이미 전세계적인 현상이 되며 온라인 자료를 활용한 학습분석학 연구의 중요성이 한층 더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로그파일과 같은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성공을 위한 예측모형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온라인 학습에서 특히 자기조절학습이 중시되며 총 로그인 횟수 또는 평균 접속 시간과 같은 집계 변수(aggregate variable)로 모형에 활용되어 왔는데, 실제 학습시점에서의 자기조절학습 관련 변수를 측정하고 모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으로 이루어진 대학원 ‘기초통계’ 수업에서 학습자의 강의동영상 시청 양상을 파악하고,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변수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LMS 로그파일로부터 수업 전후 동영상 시청 빈도를 추출하고 학습자 배경 변수와 병합한 후 100개 설명변수를 활용하여 학업성취도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기계학습 기법 중 벌점회귀모형으로 분류되는 Enet(elastic net)을 활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해석하기 쉬운 예측모형을 도출하였다. 기존 연구 방식으로는 중간고사 또는 적어도 쪽지시험과 같은 평가 후에야 학습자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었던 반면, 본 연구는 평가 자료 없이도 빠르게는 2~3주차부터 성취도를 예측하는 변수를 파악할 수 있었다. 사전학습 과제였던 조별 질문 생성이 학습자들의 사전학습을 효과적으로 촉진하였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단, 학습자의 배경지식이 깊지 않고 내용 자체가 어려운 강좌의 경우 무작정 강의동영상을 많이 보라고 학습자들을 독려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대학원 수준 통계와 같은 상대적으로 어려운 강좌에서 플립러닝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 및 다양한 배경변인 및 학습 관련 변인을 수집하고 모형에서 활용하는 방안 등을 후속 연구과제로 논하였다.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provides big data for analysis with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create prediction models for student success. In particular, self-regulated learning has been emphasized in online learning, and measured as login frequencies or login time. However, aggregate variables such as total login frequencies or average login time have been typically utilized, mainly due to analytical limitations of conventional techniques. More detailed indica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such as students’ watching frequencies of online lectures before and after each class need to be measured and modeled to predict students’ academic success via machine learning.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important variables for the prediction model as well as capturing students’ watching behaviors of online lectures. Students’ watching frequencies were coded using LMS log data from a graduate-level flipped classroom (FC). Combined with students’ background information, the final data for analysis consisted of 100 predictors in a course on introductory statistics. Enet (penalized regression) was employed amo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mainly due to its interpretability. Without a quiz or an exam, the frequencies of video watching wer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s early as the first 2~3 weeks of the course. However, merely watching the instructional videos repeatedly did not contribute to students’ academic succes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on designing effective FC with heavily loaded courses covering unfamiliar content as well as collecting and modeling other important study-related or background information variables relevant to students’ academic success in FC.

      • KCI등재

        수확 후 1-Methylcyclopropene 처리방법이 ‘썸머프린스’와 ‘썸머킹’ 사과의 저온저장 중 과실 품질과 세포벽 대사에 미치는 영향

        유진기(Jingi Yoo),김선향(Seon-Hyang Kim),권중근(Jung-Geun Kwon),조영제(Young-Je Cho),강인규(In-Kyu Kang) 한국원예학회 2020 원예과학기술지 Vol.38 No.5

        본 연구는 수확 후 1-MCP(SmartFresh™)를 0.5μL·L<SUP>-1</SUP>과 1μL·L<SUP>-1</SUP>의 농도로 각각 1회 및 2회 처리하였을 때 저온저장 중 ‘썸머프린스’와 ‘썸머킹’ 사과의 과실 품질과 세포벽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저온저장 중 과실 품질 변화를 보면, 두 품종 모두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1-MCP 처리구의 과실들이 경도와 산 함량이 높게 유지되었으며,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EC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1-MCP를 처리하였을 때 낮은 내생 에틸렌 발생량을 보였고, 처리 농도 및 횟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감모율은 ‘썸머프린스’ 사과의 경우 1-MCP 처리구들이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낮았으며, ‘썸머킹’ 사과는 저장기간 동안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분지수는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왁스는 두 품종 모두 저장기간 동안 관찰되지 않았다. 저온저장 동안 세포벽 중층의 구성성분인 total sugar와 uronic acid 함량은 두 품종 모두 1-MCP 처리구들에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유지되었다. 세포벽분해효소 활성을 보면 ‘썸머프린스’ 사과에서 무처리구는 저장 4개월 후에 β-Gal, α-Gal, β-Glc, α-Man, 및 α-Ara 효소들의 활성이 증가하였고, ‘썸머킹’ 사과의 무처리구는 저장 2개월 후 β-Gal, β-Glc, β-Xyl 및 α-Ara 효소들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두 품종 모두 1-MCP 처리구들에서 세포벽분해효소들의 활성이 현저히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썸머프린스’와 ‘썸머킹’ 사과에 1-MCP를 처리하는 것이 에틸렌 발생량 및 세포벽 대사 변화를 억제시켜 저장 중 과실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1-MCP 처리 농도 및 횟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아 0.5μL·L<SUP>-1</SUP>를 1회 처리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이라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0.5 and 1 μL·L<SUP>-1</SUP>) and application times (0.5, 1, 0.5+0.5 and 1+1 μL·L<SUP>-1</SUP>) of 1-methylcyclopropene (1-MCP, SmartFresh™) treatment on post-harvest quality and cell wall metabolism of ‘Summer Prince’ and ‘Summer King’ apple fruit during cold storage. Compared with control fruit, 1-MCP treatments maintained higher flesh firmness and titratable acidity in both apple cultivars. In contrast, the soluble solids content did not show differences in all treatments. The internal ethylene concentration was higher in control fruit, but fruit with 1-MCP treatments expressed lower ethylene concentration. Weight loss in ‘Summer Prince’ fruit treated with 1-MCP was lower than in control fruit during storage. The starch index did not show differences in all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greasiness or other storage disorders were not detected during storage. Both cultivars showed higher contents of total sugar and uronic acid in both 1-MCP treatments than the control. ‘Summer Prince’ apple had increased cell wall degrading enzyme activity of β-Gal, α-Gal, β-Glc, α-Man, and α-Ara enzymes after 4 months of storage in control fruit. Likewise, ‘Summer King’ apple had increased activity of β-Gal, β-Glc, β-Xyl, and α-Ara enzymes after 2 months of storage in the control fruit. Both cultivars showed lower cell wall degrading enzyme activities in 1-MCP treatments than in the control. In conclusion, 1-MCP treatment of ‘Summer Prince’ and ‘Summer King’ apple fruit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quality by inhibiting internal ethylene and cell wall metabolism. However,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repeated applications of 1-MCP treatment were not different in this study.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0.5 μL·L<SUP>-1</SUP>1-MCP treatment could be considered an economically effective concentration for this study.

      • KCI등재

        적화제 및 적과제가 ‘감홍’ 사과의 착과와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유진기(Jingi Yoo),강봉국(Bong Kook Kang),김대현(Dae Hyun Kim),이진욱(Jinwook Lee),이동훈(Dong Hoon Lee),권헌중(Hun-Joong Kweon),최인명(In Myung Choi),정희영(Hee Young Jung),정명근(Myoung-Gun Choung),최동근(Dong Geun Choi),강인규(In-K 한국원예학회 2016 원예과학기술지 Vol.34 No.1

        본 연구는 2년에 걸쳐 ‘감홍’ 품종에 석회유황합제(Lime sulfur), MaxCel(1.9% BA), Fruitone(3.5% NAA)을 처리하여 적과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차년도 약제 처리에 의한 과총당 착과수는 석회유황합제 3회 처리구는 0.82개, MaxCel(10mm) 처리구 역시 1.15개로 무처리구 1.74개에 비해 유의하게 적어 적과 효과가 인정되었다. 과총당 과실의 착과수는 석회유황합제 또는 MaxCel(10mm) 처리 시 단일과 착과율이 각각 47.9%와 48.7%로 무처리 36.0%에 비하여 높았고, 3개 이상 과실 착과율이 각각 1.4%와 5.8%로 무처리 22.9%에 비해 낮아 좋은 적과 효과를 보였다. 액화아의 경우 석회유황합제 및 MaxCel(10mm) 처리구 0.36개와 0.50개로 무처리구 1.20개에 비하여 낮아 정화아에서와 비슷하게 우수한 적과 효과를 보였다. 2년차 적과 효과는 무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높은 적과 효과를 보였고, 약제 처리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따라서, 석회유황합제 또는M axCel 혼용처리보다 단용처리만으로도 착과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lower and fruit thinning agents on fruit set and harvested fruit quality attributes in ‘Gamhong’ apples. Lime sulfur, MaxCel (1.9% BA), and Fruitone (3.5% NAA) were applied either at post-bloom or fruitlet stages to mature ‘Gamhong/M.9’ trees. In 2011, the numbers of fruits per cluster in terminal flowers were 1.74, 0.82, and 1.15 for the control, lime sulfur, and Maxcel (applied at 10-mm fruit stage) treatments,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single fruit per cluster were 36.0, 47.9, and 48.7% for the control, lime sulfur, and Maxcel (10 mm) treatments, respectively, while the percentages of clusters with three fruits per cluster were 22.9, 1.4, and 5.8%. In lateral flowers, fruit numbers per cluster were 1.20, 0.36, and 0.50 for the control, lime sulfur, and Maxcel (10 mm) treatments, respectively. In 2012, all the thinning treatm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flower and fruit thinning, compared with the control. Moreover, the treatment with thinning agents did not affect fruit quality.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a single application of flower or fruit thinning agents would be sufficient, rather than the mixed application of thinning agents, based on the observed decrease in fruit setting.

      • KCI등재

        아시아와 유럽 사이에서

        유진일(Jin il Yo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7 동유럽발칸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2012년도에 헝가리 국회를 통과한 ‘헝가리 민족의 가치와 훙가리쿰에 관한 법률 30조’에 따라 헝가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를 통틀어 가장 헝가리적이고 헝가리 민족만이 가지고 있으며 또 헝가리를 대표하는 것으로 지정된 훙가리쿰을 통해 현대 헝가리인들의 정체성과 자화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헝가리인들의 정체성에 많은 관심을 갖는 이유는 헝가리인들은 원래 우랄산맥 동쪽, 즉 아시아에 거주하던 민족이었으나 수백 년을 이동해 896년에 유럽에 정착했다는 점 때문이다. 정체성을 규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기본 요소는 시간과 공간인데 실재론자들은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라 정체성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입장인 반면 구성주의자들은 시간과 공간의 변화가 정체성 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이며 그 결과 정체성은 가변적이라는 입장이다. 현재까지 헝가리인들의 정체성에 관한 국내외 연구들은 주로 민속과 구비문학을 중심으로 아시아적 정체성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었다. 현대 헝가리인들의 정체성과 자화상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동시대 헝가리인들의 자신에 대한 자화상과 정체성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 된다 하겠다. 2016년을 기준으로 훙가리쿰을 분석한 결과 총 58개 항목 중 아시아에서 유래한 훙가리쿰은 총 6개 항목으로 대부분 가축, 사냥 관련 항목, 전쟁 관련 항목으로 생명을 연장하고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에 유럽 정착 후 수용한 나머지 52개 항목에는 식음료, 생활용품 등 생활에 필요한 가장 기본 요소뿐만 아니라 종교, 예술, 스포츠, 민속, 교육, 사상, 과학기술 등 무형의 문화재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 헝가리인들은 자신들이 아시아에서부터 왔으며 그들의 정체성 일부는 아시아적 요소로 채워져 있음을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럽 정착 후 약 1000여년이 지난 오늘날 그들의 정체성의 대부분은 유럽적 요소로 채워져 있으며 자신들의 자화상 역시 유럽적 자화상을 그리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집시와 같은 이민족들로부터 획득한 요소들까지도 거부하지 않고 받아들여 자신들의 유럽적 자화상을 지속적으로 수정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훙가리쿰을 통해 볼 때 민족 정체성이란 고정되고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수정되어 가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dentity and self-portrait of the contemporary Hungarian people through the Hungarikum that was defined as the most typical of Hungary and peculiar to the Hungarians only and representative of Hungary throughout the Hungarian spiritual and material culture in accordance with Article 30 of the Act on Hungarian National Values and Hungarikum approved by the Hungarian Parliament in 2012. Hungarian identity draws attention, because the Hungarians originally resided in Asia, the east of the Ural Mountains, but settled down in Europe in 896 after hundreds of years of migration. Time and space are the two basic element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in defining identity. While realists have a notion that identity does not change greatly according to time and space, constructivists are of the opinion that time and space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change of identity and thus that identity is variable. As regards Hungarian identity,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have hitherto focused on Asian identity, especially as seen in folklore and oral literature. This does not make it easy to find any study in the identity and self-portrait of the contemporary Hungarian nation. However, the present study differs from the existing ones in that it enables to identify the identity and self-portrait of the contemporary Hungarian people. As of 2016, the analysis of Hungarikum shows that a total of 58 items include the six items deriving from Asia, which are mostly related to livestock, hunting and war and consist of the fundamental matters necessary for the preservation and extension of lif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maining 52 items comprise not only the most basic elements required for life, such as food and drinks and daily supplies, but also a large number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religion, art, sport, folklore, education, thought,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temporary Hungarians do not deny that they originate in Asia and that their identity is partially filled with Asian elements. However, their identity is mostly filled with European elements and their self-portrait is also described as European today when more than 1000 years have passed since their settlement in Europe. Moreover, they continue to revise their European self-portrait by not refusing to accept the elements from non-European peoples, including Romanies. Judging from Hungarikum, national identity is not fixed and unchangeable, but is continuously chang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ime and space.

      • KCI등재

        한국에 있어서 국가주도의 사회구성

        유진식(Yoo Jin Sik)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5 법학논총 Vol.17 No.-

        It is said that the nation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formation of society in Korea. This thesis gives consideration to the point mentioned above. The provisions about local autonomy in Constitution are to carry out the function to vest authority and defense in a local self-governing body. But, as it is described in this thesis, it is not enough that the provisions about local autonomy in Constitution are to do the function. And the provisions in local autonomy law, Administrative Appeals Act and etc. do also demonstrate nation’s leading role in formation of society in Korea. In this situation, the recent trend to give more authority to a local self-governing body gives us good chance to change the construction mentioned above. And Korea Government has tried to realize it, but its performance is not so good. It is high time to examine the task broadly.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과 학생, 교사, 학교 특성들 간의 구조분석

        유진수(Yoo Jin-su),정동영(Chung Dong-yo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과 학생 특성, 교사 특성, 학교 특성 간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교육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적장애학생의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교사 특성, 학교 특성의 변인을 선정하여 이 변인들 간의 구조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변인과 지적장애학생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의 구조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학생의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은 학생의 ‘인지·학습’, ‘사회·정서’, ‘의사소통’, ‘신체·운동’ 특성,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통합교육 이해’, ‘학급운영’ 특성과 학교의 ‘행정적 여건’, ‘긍정적 문화’, ‘통합지향 노력’ 특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학생 특성과 교사 특성은 지적장애학생의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학교 특성은 지적장애학생의 학생 특성에만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 특성과 교사 특성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학생 특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생 특성을 매개로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의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은 학생 특성, 교사 특성을 중요 변인으로 하나 학생 특성이 더 중요한 변인이 되며, 이런 학생 특성과 교사 특성은 학교 특성보다 지적장애학생의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pproach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student characteristics, teacher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 structural model was established among these variables by selecting variables of student characteristics, teacher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teachers in general educ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 s approache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tudent characteristics, teacher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eachers directly affect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school characteristics directly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indirectly influence acces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t has been shown that school characteristics and teacher characteristics influence each other directly and have a static effect o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indirectly influence acces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student characteristics as medium. Therefore, acces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s important for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 characteristic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have the most important impac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eachers are more influential factors in the acces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an those of school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파산방지를 위한 법제정비방안 - 일본의 경험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유진식(Yoo, Jin Sik)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1 No.1

        This paper deals with the way how we can secure the local government’s fiscal health through the process of Yubari city’s bankruptcy and the new local fiscal health law in Japan and the corresponding legal system in Korea. To secure the local government’s fiscal health, this research leads to those suggestions as follows; At first we should mention the construction of governance, which is most important thing to secure the local government’s fiscal health. It means we should acknowledge who will watch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 fiance efficiently. The first answer is a local assembly. A local assembly’s proper control to it leads to an agreeable consequence. But with this respect, unfortunately, we can’t expect our local assembly to do such a role because it is far inferior to the governor in power. It is the reason why we should describe the distinctive role of a local assembly in the local government law. And,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governance, we can’t but speak of the role of residents. Our local government law has employed the wonderful residents participation clauses but its rigid requisites to be applied is largely criticized. And so it will soon be revised. Secondly we should discuss the heavy centralism in the system of securing the local government’s fiscal health. It is possible that the system will not work well because we can often see many Keynesians in the central government. Consequently it should be said it is urgent mission to modify the system to secure the local government’s fiscal health. As it is mentioned above, the local government doesn’t make a role in securing the local government’s fiscal health and those clauses of our local finance law related is excessively owing to the discretion the minister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We will soon secure the more distinctive and systematic law to secure the local government’s fiscal health. 본고는 지방재정의 건전성확보와 관련하여 일본의 유바리시가 재정파탄에 이르게 된 과정과 이를 계기로 새로이 제정된 지방재정건전화법 그리고 우리나라에서의 관련제도를 고찰의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지방재정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제개선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언급할 수 있다. 먼저 유바리시의 예에서도 보았듯이 지방재정의 건전성확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거버넌스의 구축이다. 즉, 지방재정의 운용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는 주체를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이 점과 관련해서 제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주체는 지방의회이다. 지방의회가 지방자치단체의 집행기관에 대하여 긴장감을 가지고 재정운 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면 지방재정의 건전성확보 문제는 상당부분 해소되리라고 본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와의 세력균형은 심히 불균형한 상태로 일방적으로 집행기관의 장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상태에서는 지방의회와 집행기관의 장과의 세력의 균형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지방재정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입법을 함과 동시에 거기에 감시자로서의 지방의 회의 구체적인 역할을 명시해야 할 것이다. 거버넌스와 관련하여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주민의 역할이다. 현행 지방자치법은 어느 선진국의 예에도 뒤지지 않는 훌륭한 주민참여제도를 두고 있다. 다만, 활용요건 등이 까다로워 실제로 이용되는 일이 드물다는 점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용요건을 완화하는 등의 지방자치법개정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둘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지방재정의 건전성확보제도에 있어서 지나치게 중앙집권적 이라는 점이다. 지방재정법상의 지방재정분석 및 진단제도의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현행 법상에서는 행정안전부장관이 주체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지만 무엇보다도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보다도 지방재정의 건전성 확보에 엄격한 자세를 지니고 있다고 단언할 수 없다는 점이다. 정치적 이유 등에 의하여 중앙정부가 지방자 치단체에 불필요한 예산의 지출을 종용하는 경우도 얼마든지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방재정의 건전성확보를 위한 제도의 미비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지방 의회의 역할이 지방재정의 건전성확보와 관련하여 일반론의 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음은 물론 지방재정법상의 제도도 제도의 대강만을 정하고 있을 뿐 행정안전부장관의 재량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내용의 법률의 제정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