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영아-교사관계

        유주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가 인식하는 영아-교사관계의 양상을 살펴보고,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가 인식하는 영아-교사관계 간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0, 1세반 교사 40명과 그들이 담당하는 영아 80명이었으며, 교사의 교육신념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Moore(1994)의 유아교사 교수평정척도(Early Childhood Teacher Style Rating Scale)를 권연희, 최목화, 나종혜(2011)가 수정한 것을 영아교사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영아-교사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Pianta(2001)의 학생-교사 관계척도(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를 정미조(2009)가 번안하고 영아용으로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기본학습‧집단중심신념에 비해 아동중심신념을 더 높게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에 따른 양상을 살펴보면, 아동중심신념은 교사의 영아반 경력, 학력, 교사 1인당 담당하는 영아의 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본학습‧집단중심신념은 교사의 근무기관유형, 담당학급연령, 교사 1인당 담당하는 영아의 수에 따라 차이나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영아-교사관계는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었다.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교사의 전체 교육 경력, 영아반 경력, 학력, 전공, 교사 1인당 담당하는 영아의 수에 따라 친밀에 대한 인식이 달랐으며, 교사의 근무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의존에 대한 인식이, 영아의 월령에 따라서는 갈등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교사의 전공은 전반적인 관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아동중심신념을 높게 가진 교사일수록 영아와 더 친밀하고, 갈등은 적으며, 전반적으로 좋은 관계에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기본학습‧집단중심신념을 높게 가진 교사일수록 그 반대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신념이나 영아-교사 관계에 대한 인식이 교사가 받은 교육, 교사의 영아 관련 경험, 영아교육이 이루어지는 환경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pects of infant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infant-teacher relationships perceived by teacher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0 and 1 year old infant classes and their 80 infants (from 11 to 26 month olds) in their classes. The instruments used were Moore’s (1994) ‘Early Childhood Style Rating Scale’ with some modification by Kwon et al. (2011) and Pianta’s (2001)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with some modification by Jung (2009).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 teachers had more child-oriented beliefs than learning/group-oriented beliefs. In terms of variables, teachers’ infant teaching career, education level, infant-to-teacher ratio were related to child-oriented belief. The type of child care center, class age, infant-to-teacher ratio were related to learning/group-oriented belief. Second, infant-teacher relationships perceived teachers were overall positive. The closeness differed according to teachers’ whole teaching career, infant teaching career, education level, major, and infant-to-teacher ratio. The dependency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child care center, and the conflict differed according to the infants’ age. The overall relationship differed according to the teachers’ major. Third, the teachers who had more child-oriented beliefs perceived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s closer, less conflicted, and positive overall. The teachers who had more learning/group-oriented beliefs perceived the opposite.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belief and perception vary according to thei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experience with infants, and child care environments.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마음 읽어내기

        유주연,한영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verall aspects of a mother’s mind-mindedness and the aspects of a mother’s mind-mindedness according to the mothers and infants’ background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 mothers with infants around 12 months of age and the mind-mindedness was measured by the Mind-Mindedness coding manual (Meins & Fernyhough, 2012).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ther often spoke Mind-Mindedness in the following order: words on the desires and preferences of the infants, words on behalf of the infants, words on the emotions of the infants, and words on the cognitions of the infants. Additionally, it appeared prominently that mothers tended to read infants’ minds about their needs and preferences when the infants were their second child. Moreover, the mothers more frequently spoke words on behalf of the infants while the age of the infants was higher, and the mothers were old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pecific role of mothers in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support of infants by considering the linguistic reflection of the mother's infant mind in a qualitative aspect and analytically approaching the various aspects of the mind. 본 연구는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마음 읽어내기의 전반적 양상과 영아 및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2개월 전후의 영아를 둔 어머니 29명을 대상으로 마음 읽어내기 코딩 매뉴얼 2.1판(Meins & Fernyhough, 2012)을 사용하여 어머니의 마음 읽어내기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는 영아의 욕구와 선호에 대한 말, 영아를 대신하여 한 말, 영아의 정서에 대한 말, 영아의 인지적 과정에 대한 말의 순으로 마음 읽어내기를 자주 하였다. 또한 영아가 둘째인 경우 영아의 욕구와 선호에 대한 마음 읽어내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영아의 월령이 높은 경우와 어머니의 연령이 높은 경우 영아를 대신하여 하는 말을 더 자주 하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영아 마음에 대한 언어적 반영을 질적 측면에서 고려하고, 마음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분석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영아의 발달과 관계 형성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어머니 역할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특이치 분해를 이용한 비가시적 워터마크 기법

        유주연,유지상,김동욱,김대경 한국통신학회 200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8 No.11C

        본 논문에서는 특이치 분해를 이용한 워터마크 기법을 제안하였다. 워터마킹의 단계는 먼저 웨이블릿 변환에 의한 저해상도 LL대역의 영상을 3${\times}$3 블록단위로 나누고, 엔트로피와 조건수를 기준으로 선택한 블록을 특이치 분해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는 워터마크 추출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저 대역 워터마크 삽입기법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워터마크를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영상에 가해진 공격을 국소적으로 모델링하여 공격연산자를 근사적으로 구하고, 워터마크 삽입 시 수행된 특이치 분해와 추정된 공격연산자를 적용하여 삽입위치에 따라 워터마크 집단을 결정한다. 각 워터마크 집단 내에서 최적의 워터마크를 구하고 T검정을 이용하여 워터마크의 유무를 검정한다. 제안된 워터마크 기법이 여러 단계 JEPG 공격에 견고하다는 것을 수치실험에서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nvisible digital watermarking scheme based on wavelet transform using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Embedding process is started by decomposing the lowest frequency band image with 3${\times}$3 block among which we define the watermark block chosen by a key set; entropy and condition number of the block. A watermark is embedded in the singular values of each watermark blocks. This provides a robust watermarking in lowest possible time-frequency domain. To detect the watermark, we are locally modeling an attack as 3${\times}$3 matrices on the watermark blocks. Combining with the SVD and the attack matrices, we estimate watermark set corresponding to the watermark blocks. In each watermark block, we determine an optimal watermark which is justified by the T-testing. A numerical experiment shows that the proposed watermarking scheme efficiently detects the watermarks from several JPEG attacks.

      • KCI등재

        자기애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유주연,박경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4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grateful disposition in the relation between narciss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50 college students(115 men, 135 women) who attend college. Each participant completed a package of measures; Experi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Gratitude Questionnaire-6(GQ-6),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cale(NPDS). The data was analyzed wit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es three times that Baron & Kenny propose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narcissism and grateful disposition. There were also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narciss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grateful disposit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narciss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grateful disposition have a informant role in the process narcism influences psychological well-being. To conclude, the study showed that finding narcissist psychological well-being requires a grateful disposition development program. 본 연구는 자기애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사성향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50명(남자 115명, 여자 135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 척도, 자기애 성격장애 척도, 감사성향 척도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상관분석 및 Baron 과 kenny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제시한 3단계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Sobel test를 통하여 매개효과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애와 감사성향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자기애와 심리적 안녕감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감사성향은 자기애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애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과정에서 감사성향이 중요한 역할을 지닌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애적 성향 자들의 심리적 안녕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으로 감사성향 함양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아동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아동병동 간호사의 인식과 지식

        유주연,방경숙,Yu, Juyoun,Bang, Kyung-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3

        목적: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들의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일개 대학병원의 어린이병원 내과계 병동과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식 관련 23문항, 지식 관련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총 1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의 하위영역 중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의사소통과 관련된 어려움을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 아닌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 경험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지식은 20점 만점에 $8.83{\pm}2.64$점으로 '통증과 증상관리', '철학과 원칙', '돌봄의 정신 사회적 측면'의 순으로 점수가 낮아졌다. 현재 근무지가 병동인 경우가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경우보다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관련된 경험에 따른 지식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아동병동 간호사의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과 지식의 향상을 위해 간호사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과 부족한 지식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하여 아동병동 간호사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diatric nurses' perception and knowledge about pediatr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32 nurses who are stationed in pediatric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The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comprising 23 items for perception and 20 items for knowledge. Data were collected after obtaining written consen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Results: Participants perceived difficulties in pediatric hospice palliative care, especially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among participants were observed according to pediatr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xperience, but not general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knowledge was $8.83{\pm}2.64$. Nurses who work in a ward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about pediatric hospice/palliative care. Conclusion: A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pediatric nurses to improve their perception and knowledge about pediatric hospice/palliative care.

      • KCI등재

        개별상황과 집단상황에서의 영아-교사 정서적 가용성 비교

        유주연,장민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49 No.1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in individual and group situations, as well as compare emotional availability in both situations among groups of different siz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according to situational context and group size. For this study, 4 4 infant-teacher dyads in 0 year classrooms were observed and assessed by Emotional Availability in each individual and group situation(Brigen,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nsitivity and non-hostility in emotional availability were much higher in individual situation than group situation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between individual or group situations when the groups had less than 6 members. However when a group had more than 7 people, the degrees of sensitivity and non-intrusiveness and overall emotional availability were shown to be higher in individual than group situ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more individual interactions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are needed and also a standard group size in infant classes needs to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