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TV 트랜스포트 스트림용 만능 직·병렬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유종언,장용석,고영욱,김대진 전남대학교 전자통신기술연구소 2001 전자통신기술논문지 Vol.4 No.1

        DTV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장비의 경우 대부분 한두 가지 인터페이스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포맷을 사용하여 스트림을 전송하는 경우 기존의 장비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장비들 사이에서 주고받는 스트림의 포맷을 자유로이 연결 가능하도록 해주는 인터페이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인터페이스는 스트림 자체 내용은 변경하지 않고,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이 스트림을 적용하여 자유로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RX 와 TX 사이를 FIFO을 이용해 서로 별개의 블록으로 동작을 할수 있도록 하였다. 구현한 인터페이스 규격은 SMOTE 310M, ASI (Asynchronous Serial Inerface), SPI (Synchronous Parallel Interface)와 셋탑박스에서 사용하는 TS (Transport Stream)의 네 가지로 서로간에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매트릭스 형태를 취하고 있다. 주요 블록은 VHDL 코딩을 이용하여 설계를 하였으며, FPGA (EPF10K10T144)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최종 출력화면을 보기 위해서, 스트림 발생기를 통해 나온 신호를 셋탑박스의 복조기 다음 단인 트랜스포트 디코더에 스트림을 직접 전송함으로써 시험 데이터를 셋탑박스 출력 포트중의 하나인 모니터 출력 포트를 통해 화면을 볼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Effects of Salt Concentration on Motility and Expression of Flagellin Genes in the Fish Pathogen Edwardsiella tarda

        유종언(Jong Earn Yu),박준모(Junmo Park),강호영(Ho Young Kang)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10

        염농도에 따른 E. tarda CK41의 운동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0%와 3.5%의 염농도를 가지는 운동성 측정 배지에서 집락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3.5% 염농도 조건에서 운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과 3.5% 염농도 조건에서의 생육도를 측정해본 결과 각 염농도 조건에 따른 생균수의 차이는 매우 적은 것으로 보아, 높은 염농도에서의 운동성의 감소는 생육정체가 아닌 실질적인 운동성의 차이에 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염농도에 의한 운동성의 차이가 편모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형태학적 관찰을 해본 결과, 3.5% 염농도에서는 편모의 형성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E. tarda는 PFAD와 FDP 두개의 편모 유전자를 가지며 이들간의 아미노산 상동률은 93%로 높은 편이다. 편모의 발현양의 확인을 위하여 PFAD 특이적인 다클론성 항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PFAD를 과발현시키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BP793을 구축하여 대장균 발현시스템으로 발현시켜 정제한 후, 토끼에서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특이항체를 제작하였다. PFAD 특이적인 다클론성항체를 이용한 immunoblot assay 결과, 3.5% 염농도 조건에서 배양한 E. tarda CK41의 경우 1.0% 염농도에서 보다 반응하는 면역 활성 단백질 밴드가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염농도가 높은 해수환경에서의 운동성의 감소는 E. tarda CK41의 편모 단백질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아 기능적인 편모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예증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 어떠한 메카니즘에 의해 염농도가 flagellin의 발현을 조절하는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 E. tarda, a fish pathogen, can survive in seawater under relatively high salt conditions as well as in fish under physiological salt conditions. Bacterial growth under different salt concentrations may influence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bacterial structure and physiology. The growth rate of E. tarda culture in high salt (3.5% NaCl) was similar to that in low salt (1.0% NaCl, physiological salt concentration). Interestingly, the strain moved much faster in low salt conditions than in high salt conditions.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demonstrated that the bacterial cells grown in high salt had less or no flagellation. Obvious flagellation was observed in the parental strain E. tarda CK41 grown in low-salt condition. Two putative genes coding flagellin were identified in the E. tarda genome sequences. The amino acid sequence comparison of each gene revealed 93% identities. A flagellin gene was PCR amplified and cloned into a cloning vector. Using an E. coli protein expression system, a part of flagellin protein was overexpressed. Using the purified protein, an anti-flagellin antibody was raised in the rabbit. Immunoblot analyses with flagellin specific antibody demonstrated that E. tarda CK41 expressed falgellin in low salt condition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seen in motility assay and microscopic observation.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alt regulated flagella expression in E. tarda.

      • KCI등재

        Roles of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in Edwardsiella tarda Pathogenesis

        Jong Earn Yu(유종언),Young Eun Oh(오영은),Tae Ho Lee(이태호),Ho Young Kang(강호영)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2

        Edwardsiella tarda는 그람 음성의 장내세균과의 주요 어병세균으로 어류에 edwardsiellosis를 유발하는 전신감염성 병원체이다. 최근 병원성 세균의 외막 단백질들은 세균성 감염에 있어서 숙주와 반응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여겨져 연구가 되고 있다. 일본의 연구팀은 어류에서 에드워드병의 원인체인 E. tarda의 37 kDa 단백질이 넙치에서 높은 항원성을 제시하는 것을 보고하였다. 또한 그 연구자들은 37 kDa 단백질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이 GAPDH와 대응하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세균에서 알려진 N-말단 서열을 기반으로 primer를 제작하여 이에 상응하는 E. tarda DNA를 증폭하고 클로닝하였다. 이 DNA단편의 염기서열은 예상한 바와 같이 세균의 GAPDH유전자인 gapA와 높은 상동성이 있고, E. tarda GAPDH (etGAPDH)의 아미노산 서열은 다른 장내세균의 GAPDH와 70% 이상의 상동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E. tarda의 외막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E. tarda의 GAPDH가 외막에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gapA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하여 재조합 GAPDH를 과발현 시켰다. 과발현된 재조합단백질 GAPDH는 GAPDH 특이적인 항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었고, 또한 넙치에 면역시켜 단일 단백질 백신으로서의 활용도를 모색하였다. 비록 재조합 GAPDH가 면역된 넙치에서 GAPDH에 특이적인 항체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E. tarda로 공격실험을 하였을 때 면역된 넙치의 생존율이 12.5%로 측정되어 면역된 그룹과 면역되지 않은 그룹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A research group demonstrated that the 37 kDA protein of Edwardsiella tarda, a causing causative agent of edwardsiellosis in fish, exhibited high antigenicity in Japanese flounder. The research group also showed that the N-terminus amino acid sequences of the 37 kDa protein were mapped to the N-terminus of GAPDH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Using degenerated primer sets based on the known N-terminus sequence, the corresponding E. tarda DNA was amplified and cloned.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cloned gene revealed high homology with a bacterial gene for GAPDH, as we was expected. The amino acid sequence of E. tarda GAPDH (etGAPDH) revealed a <70% similarity with GAPDH proteins in other Enterobacteriaceae. With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protein overexpression system in Escherichia coli, the recombinant etGAPDH (rGAPDH) was produced and purified. In this study, Using the purified rGAPDH, the etGAPDH specific polyclonal antibody has been was generated using the purified rGAPDHin this study. The immunoblotting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location of the GAPDH protein is located with the association of is associated with the envelops of E. tarda. The rGAPDH was administrated into Japanese flounder via IP route for evaluation of the protective ability. Although the specific antibody titer against etGAPDH was increased about 3-fold after 4 weeks post-vaccination, the survival rates of vaccinated Japanese flounder and the control group with wild type E. tarda was were 12.5% and 0%,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d that rGAPDH is immunoreactive antigen but that it will not generate protective immunity in Japanese flounder.

      • KCI등재

        가정식 대체식품용 떡 가공상품의 유통기한 설정

        승진 ( Seung Jin Yoo ),종언 ( Jong-eon Chin ),오성훈 ( Sung Hoon Oh ),류민정 ( Min Jung Ryu ),황권택 ( Kwontack Hwang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18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3 No.3

        본 실험은 떡 가공상품을 가정식 대체식으로 이용하고자 유통기한을 설정하였다. 통팥찰떡과 녹두깨찰떡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떡은 편의용으로 하고자 증숙 후 바로 tray에 sealing하는 구조로 개발하였고, 증숙후 바로 처리에 따른 미생물 오염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냉장유통을 위하여 0, 4, 10℃에서 총균수, 대장균군, 수분함량, 관능변화검사, 물성변화, 색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최장 21일간의 시험에서, 2종의 시료에서 총균수는 5.87±0.09 log를 넘지 않았고, 대장균군은 두 시료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수분함량변화에서는 통팥찰떡과 녹두깨찰떡은 3가지 온도 모두에서 시간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색도의 변화중 특히 L값의 변화가 저장기간 중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물성의 변화가 5% 미만을 유지하여 노화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관능적 변화에서 통팥찰떡의 21일에 유의적인 저하를 보여, 최대 설정한 여러 품질지표 중「식품공전」규격에 따라 떡의 품질한계일을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떡의 품질한계일은 0℃에서 21일, 4℃에서 21일, 10℃에서18일로 산출되었다. 제품 유통 시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하고자 안전계수 0.8을 곱하여 최종 유통기한은 16일(0℃, 4℃), 14일(10℃)로 설정하였다. In this experiment, we set the expiration date to use the rice cake processing product as a substitute for hom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brown rice cake and green bean curd rice cake. The rice cake was developed to be sealed to the tray immediately after boiling for convenience, and it was tried to minimize microbial contamination due to the treatment immediately after boiling. Total bacterial counts, coliform group, moisture content, sensory evaluation, physical properties, and chromaticity were measured at 0, 4, and 10℃ for refrigerated distribution. In the test for up to 21 days,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in the two samples did not exceed 5.87 ± 0.09 log, and the two samples were not detected in the coliform group. The changes of moisture cont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 between the three kinds of tempera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 value among the changes of chromaticity during the storage period. Also,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were maintained at less than 5%, indicating no change due to aging. However, the sensory chang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21 of Korean sweet rice cakes, and the quality limit date of rice cakes was set according to the “Food Codes” standard among the maximum set quality indicators. The quality limit of rice cake was 21 days at 0℃, 21 days at 4℃ and 18 days at 10℃. The final shelf life was set to 16 days (0℃, 4℃) and 14 days (10℃) by multiplying the safety factor of 0.8 by various factors in product distribution.

      • KCI등재

        GABA 유산균 발효물에서의 항산화 활성

        승진,종언,오성훈,류민정,황권택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19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4 No.3

        In this study, antioxidant activity was investigated in yogurt fermentation using GABA lactic acid bacteria(LAB). In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e control group was 26.71%, the 0.5% GABA LAB culture added group was 50.56%, and the 1% added group was 65.44%. The 2% addition group was the highest with 73.55%,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LAB extract added. I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control group was 44.01%, and 0.5% to 58.71% of GABA LAB culture extracts, 74.19% to 1%, and 82.41% to 2%.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in proportion to the LAB culture extract addition concentration. In the reducing power by FRAP, the control group was 0.43, 0.5% at 0.52, 1% at 0.85, and 2% added group was 1.13, which was the highest in the 2% group. The FRAP value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0.5% group was not significant, and the FRAP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GABA LAB culture extract increased (P <0 .05).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the lowest at 327.54 µg/mL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was 368.06 µg/mL in 0.5% to 345.86 µg/mL, 1% to 359.03 µg/mL, and 2%. The flavonoid content was 381.16 CE µg/mL, 416.02 CE µg/mL, 440.04 CE µg/mL and 469.38 CE µg/mL in the control group and 0.5, 1, 2% added GABA LAB culture extracts,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GABA LAB culture extract increased significantly (P <0.05). As a result, GABA extract has been identified as a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yogurt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variety of functional products.

      • KCI등재

        천연항균제를 사용한 냉장떡류의 유통 안정성 평가연구

        황권택,종언,오성훈,류민정,승진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18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3 No.4

        Natural extract in liquid phase was adjusted to 0, 0.25, 0.5, 1, 2, and 4% concentration to check microbial changes and to measure 4, 8, 12 o C for refrigeration temperature. In the case of grapefruit extract, the microbial safety was maintained at all the concentrations at 4 o C storage, but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maintained at 12 o C storage and at 8 o C and 21 days storage. In the case of grape seed extract, only the 4% of the culture at 8 o C satisfied the requirement of safety of food distribution for the last 21 days, and the safety criterion was satisfied only at 4% concentration at 12 o C for 18 days. Complex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showed the total number of microbial cells treated by concentration. It was confirmed that microbial flow safety was maintained at low temperature (4 o C). However, at 8 o C and 12 o C, Exceeded the distribution limit. When polylysine was applied to brown rice cake, it showed activity in all groups except 4 o C, but these properties were not observed at 8 o C and 12 o C. At a concentration of 0.5% or more of chitosan, the growth of the microorganism is suppressed by the 21st day very stably, and a similar tendency is observed at 8 and 12 o C, so that it may be an antimicrobial material that inhibits microorganisms. At the first day, the distribution standards for general bacterial counts were exceeded.Ethyl-pyruvate showed that microorganism safety was maintained at 4 o C and 1% concentration, and food safety was stable even at 2 or 4%. Glycine showed very good and stable distribution stability at 4 o C. However, at 8 o C and 12 o C, the shelf life of 14 days could not be maintained as with the addition of other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 KCI등재

        정지기 Salmonella typhimurium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세포질 단백질의 동정 및 발현조절에 대한 연구

        아영,김영희,유종언,김삼웅,백형석,강호영,Yoo, Ah-Young,Kim, Young-Hee,Yu, Jong-Earn,Kim, Sam-Woong,Baik, Hyung-Suk,Kang, Ho-Young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2

        Salmoenella는 대표적인 intracellular pathogen으로 숙주의 면역 세포인 macrophage 내에서 살아남아 이들을 매개로 숙주의 몸 전체를 이동해 가면서 전신성 감염을 일으킨다. 살모넬라는 숙주 세포 내부의 이러한 극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어 기작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스트레스가 작용하는 정지기 Salmonella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에 주목하였다. 정지기 상태의 Salmonella에서 약 20 kDa의 단백질이 특이적으로 많이 발현되었으며, 세포질 분획을 통해 이 단백질이 세포질 부분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MALDI-TOF 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이 $\b{D}NA$ binding $\b{p}rotein$ in $\b{s}tationary$ phase (Dps)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Dps 단백질은 스트레스가 주어진 상황에서 DNA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여 DNA가 안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스트레스로부터 염색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의 연구를 위하여 과발현하여 정제한 Dps 단백질을 토끼에 주사하여 Dps 특이적인 항체를 제조하였다. dps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자 단백질을 알기 위하여 다양한 S. typhimrium 돌연변이주들 내에서의 Dps 단백질양을 조사하였다. Salmonella is facultative intracellular pathogen that can survive and replicate in macrophages even though these cells are equipped with a plethora of anti-microbial mechanisms. To survive in this hostile intracellular environment, Salmonella has evolved numerous defense mechartisms. An approximately 20 kDa protein was detected as a stationary-phase specific protein band in cytosolic fraction. It was identified as a DNA binding protein in stationary phase (Dps) by analysis of MALDI-TOF assay. It has been known that Dps, the protein produced in the stationary phase of bacteria, allows DNA to form chromatin by binding to DNA nonspecifically and protects DNA from reactive oxidative species (ROS). For further study, Dps specific polyclonal antibodies were generated by injection of purified Dps protein into rabbit. To examine the Finfluence of several regulatory proteins in the expression dps gene, Dps protein level in various S. typhimurium mutants defecting regulatory proteins were investigated by Westernblot using Dps specific polyclonal antibodies.

      • KCI등재

        Bordetella bronchiseptica의 alcaligin siderophore 생합성 유전자인 alcA에 관한 연구

        황호순,김영희,김삼웅,유종언,아영,강호영,이태호,Hwang, Ho-Soon,Kim, Young-Hee,Kim, Sam-Woong,Yu, Jong-Earn,Yoo, Ah-Young,Kang, Ho-Young,Lee, Tae-Ho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7

        돼지 위축성 비염과 개의 kennel cough의 원인균인 B. bronchiseptica는 각 숙주의 상부 호흡기관의 점막에 집락을 형성하는 병원균으로서 철이 부족한 환경에서 hydroxamate type의 alcaligin이 라는 siderophore를 생산한다. Alcaligin의 생합성에 관련하는 구조유전자 중 alcA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고자 alcA 결손돌연변이주 구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alcA 유전자 결손 돌연변이를 위해 0.6 kb alcA 5' flanking DNA와 0.7 kb alcA 3' flanking DNA fragment들을 pCP1.11을 주형으로 하여 PCR법으로 증폭한 후, 5' flanking과 3' flanking DNA가 연결된 재조합 suicide vector pDMl을 구축하여 세포 접합을 통해 B. bronchiseptica로 도입시켰다. 도입된 pDM1으로부터 allelic exchange법에 의해 alcA 유전자가 결손된 돌연변이주 B. bronchiseptica H1을 얻을 수 있었다. B. bronchiseptica H1은 야생형인 B. bronchiseptica에 비하여 alcaligin siderophore를 거의 생성하지 못하였다. alc 오페론 중 promoter와 alcA 유전자만을 가지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B. bronchiseptica Hl에 도입하였을 때 alcaligin siderophore의 생산이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cA 유전자가 alcaligin 생합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ordetella bronchiseptica, the agent of swine atrophic rhinitis and kennel cough in dogs, is a mucosal pathogen and produces the hydroxamate type alcaligin siderophore under iron-limited conditions. Genes involved in alcaligin siderophore biosynthesis are contained in an alcABCDE operon. In order to provide direct evidence for the role of AlcA in alcaligin biosynthesis, we needed a B. bronchiseptica mutant carrying alcA gene deletion. A 0.6 kb alcA 5'-flanking and 0.7kb 3'-flanking DNA fragments were PCR amplified with the use of pCP1.11 as a template DNA. The 5'-and 3'-flanking DNA fragments were joined in a suicide plasmid, resulting in a recombinant suicide plasmid pDM1. After introduction of pDM1 into B. bronchiseptica by conjugation, the allelic exchange technique was performed and a B. bronchiseptica alcA deletion mutant, named B. bronchiseptica H1, was obtained. The mutant strain produced reduced amount of siderophore as expected. When a plasmid containing complete alcA gene was transformed back into the mutant, the complemented mutant recovered ability of siderophore produc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lcA is one of essential components for the alcaligin siderophore biosynthesis. The mutant strains obtain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further studies for the biochemical function of AlcA.

      • KCI등재

        Salmonella typhimurium 외막 단백질 OmpW의 발현조절 및 기능에 관한 연구

        아영(Ah Young Yoo),유종언(Jong Earn Yu),양지선(Jiseon Yang),김영희(Young Hee Kim),백창호(Chang Ho Baek),오정일(Jeong-Il Oh),강호영(Ho Young Ka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1

        Salmoenella를 포함한 그람 음성 세균의 외막 단백질들은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그 발현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이렇게 발현된 외막 단백질들은 수송에 관여하는 통로, 외부 물질의 인지, 병원체의 부착인자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외막 단백질 중 소수성 porin으로 알려진 OmpW 단백질에 주목하였다. ompW 유전자가 결손된 돌연변이주를 구축하여 CK10으로 명명하였으며, 야생주와 그 표현형적 특징을 비교한 결과 SDS에 대한 내성이 다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mpW 특이적인 다클론성 항체를 조제하여 OmpW 단백질의 발현연구에 사용하였다. NaCl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OmpW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OmpW의 발현이 최대인 조건은 NaCl이 배지에 첨가되지 않았을 경우이다. 따라서 OmpW는 Salmonella 균이 삼투환경에 대응하는데 관여할 것으로 예상되어 일차적으로 균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삼투환경 하에서 Salmonella의 생육에는 OmpW 단백질의 결손이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삼투환경 변화에 따른 OmpW 발현의 변화가 지니는 생물학적 의미는 앞으로 연구해야 할 숙제로 남는다. Outer membrane proteins (OMPs) expressed in the Gram negative bacteria such as Salmonella play multiple functions including material transports, adhesive factors and reception of external signals.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an OmpW protein known as a protein required to form a hydrophobic porin in outer membrane. We have constructed a S. typhimurium CK10 mutant deleting an ompW gene on chromosome. The CK10 strain was more tolerant to SDS than the wild-type strain did. As increase of salt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a, significantly decreased amount of OmpW protein in cells were detected. The maximum OmpW protein was expressed in the absence of salt supplement. However, the growth of CK10 strain was indistinguishable compared to that of the wild-type strain at the variable osmotic conditions. The biological role of differential OmpW expression in response to osmotic conditions remains to be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