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유탕 유과 제조를 위한 진공팽화기의 개발 및 공정변수에 따른 유과의 팽화특성

        유제혁,류기형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0 산업 식품공학 Vol.14 No.3

        기존의 재래식 유탕팽화유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공을 이용한 진공팽화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공정변수에 따른 진공팽화유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부피팽화율, 밀도, 절단강도, 색도, 미세구조를 측정하였다. 진공팽화기의 공정변수는 가열온도(100, 120, 140, 160, 180oC), 예열시간(0, 2, 4, 6, 8분), 진공팽화시간(5, 10, 15, 20분)이며, 가열온도 100oC,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0분에서 진공팽화유과의 부피팽화율은 10.04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밀도는 0.15 g/cm3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지만, 부피팽화율 9.47, 밀도 0.16 g/cm3으로 측정된 가열온도 120o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의 진공팽화유과가 유탕유과의 외관 및 조직과 가장 유사하였다. 절단강도는 가열온도 100oC,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5분에서 140 g/cm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색도는 예열시간과 진공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백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진공팽화유과의 백색도(L값)가 유탕팽화유과보다 25정도 높았으며,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는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진공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가열온도 120o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 기공이 작고 균일하였다. 유탕팽화유과와 비교 시 절단강도는 유사하였으나, 부피팽화율은 낮았고, 밀도는 높았다. 셀이 균일하게 형성된 진공팽화의 미세구조와는 달리 유탕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표면과 내부층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진공팽화기의 최적 공정조건은 진공팽화유과의 품질을 고려 할 때, 가열온도 120o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으로 판단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quality of Yukwa puffed by using a vacuum puffing machine and compare to deep-fried Yukwa. The effect of vacuum puffing condition including heating temperature(100-160oC), preheating time(0-8 min) and vacuum puffing time(5-20 min) on physical and micro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Yukwa was investigated. Vacuum puffed Yukwa at 100oC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0 min puffing time had highest value in volumetric expansion ratio(10.04) and lowest value in bulk density(0.15 g/cm3). The breaking strength showed the lowest value of 140 g/cm2 in vacuum puffing Yukwa at 100oC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5 min puffing time. The Yukwa puffed with the vacuum puffing machine at 100oC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5 min puffing time had the higher value of bulk density and the lower value of volumetric expansion ratio than those of deep-fried Yukwa. Increasing preheating time and vacuum puffing time caused an increase in white and an decrease in yellowness. The vacuum-puffed Yukwa exhibited smaller and uniform cell structure, while deep-fried Yukwa exhibited apparently in larger pores inside and smaller pores near the surface layer. The optimum condition of vacuum puff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vacuum-puffing Yukwa was 120oC heating temperature, 4 min preheating time and 5 min puffing time.

      • KCI등재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평형침 병행치료 효과의 대조군 연구

        유제혁,김경욱,김동혁,김종한,김현호,정인태,김종인,이상훈,최도영 대한침구의학회 2012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9 No.3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f Pyung-Hyung acupuncture on peripheral facial palsy. Methods : We investigated 44 cases of patients with peripheral facial paralysis, and divided patients into two groups. We treated one group by complex oriental medical treatment with Pyung-Hyung acupuncture, and the other group by complex oriental medical treatment without Pyung-Hyung acupunctur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applied for two groups, we used Yanagihara's unweighed grading system(Y system) and gross grading system of House-Brackmann(HB score) at baseline and final. Results : 1. The final Y-system in both the Pyung-Hyung acupunctur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value at baseline. 2. At final, Pyung-Hyung acupunctu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 on Y-system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s : Pyung-Hyung acupuncture can be used for relieving symptoms related with peripheral facial paralysis.

      • KCI등재

        비유탕 유과 제조를 위한 진공팽화기의 개발 및 공정변수에 따른 유과의 팽화특성

        유제혁 ( Je Hyeok Yu ),류기형 ( Gi Hyung Ryu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0 산업 식품공학 Vol.14 No.3

        기존의 재래식 유탕팽화유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공을 이용한 진공팽화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공정변수에 따른 진공팽화유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부피팽화율, 밀도, 절단강도, 색도, 미세구조를 측정하였다. 진공팽화기의 공정변수는 가열온도(100, 120, 140, 160, 180℃), 예열시간(0, 2, 4, 6, 8분), 진공팽화시간(5, 10, 15, 20분)이며, 가열온도 100℃,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0분에서 진공팽화 유과의 부피팽 화율은 10.04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밀도는 0.15 g/cm3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지만, 부피팽화율 9.47, 밀도 0.16 g/cm3으로 측정된 가열온도 120℃,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의 진공팽화유과가 유탕유과의 외관 및 조직과 가장 유사하였다. 절단강도는 가열온도 100℃,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5분에서 140 g/cm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색도는 예열시간과 진공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백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진공팽화유과의 백색도(L값)가 유탕팽화유과보다 25정도 높았으며,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는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진공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가열온도 120℃,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 기공이 작고 균일하였다. 유탕팽화유과와 비교 시 절단강도는 유사하였으나, 부피팽화율은 낮았고, 밀도는 높았다. 셀이 균일하게 형성된 진공팽화의 미세구조와는 달리 유탕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표면과 내부층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진공팽화기의 최적 공정조건은 진공팽화유과의 품질을 고려 할 때, 가열온도 120℃,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으로 판단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quality of Yukwa puffed by using a vacuum puffing machine and compare to deep-fried Yukwa. The effect of vacuum puffing condition including heating temperature(100-160℃), preheating time(0-8 min) and vacuum puffing time(5-20 min) on physical and micro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Yukwa was investigated. Vacuum puffed Yukwa at 100℃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0 min puffing time had highest value in volumetric expansion ratio(10.04) and lowest value in bulk density(0.15 g/cm3). The breaking strength showed the lowest value of 140 g/cm2 in vacuum puffing Yukwa at 100℃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5 min puffing time. The Yukwa puffed with the vacuum puffing machine at 100℃ heating temperature, 6 min preheating time and 15 min puffing time had the higher value of bulk density and the lower value of volumetric expansion ratio than those of deep-fried Yukwa. Increasing preheating time and vacuum puffing time caused an increase in white and an decrease in yellowness. The vacuum-puffed Yukwa exhibited smaller and uniform cell structure, while deep-fried Yukwa exhibited apparently in larger pores inside and smaller pores near the surface layer. The optimum condition of vacuum puff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vacuum-puffing Yukwa was 120℃ heating temperature, 4 min preheating time and 5 min puffing time.

      • KCI등재

        Li[Ni<sub>0.2</sub>Li<sub>0.2</sub>Mn<sub>0.6</sub>]O<sub>2</sub> 양극물질의 Ag 도핑(Doping) 효과

        유제혁,김석범,박용준,Ryu, Jea-Hyeok,Kim, Seuk-Buom,Park, Yong-Joo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1 No.3

        Ag doping effect on $Li[Ni_{0.2}Li_{0.2}Mn_{0.6}]O_2$ cathode material was studied. Specially, we focused on rate performance of Ag doped samples. The $Li[Ni_{0.2}Li_{0.2}Mn_{0.6}]O_2$ powder was prepared by simple combustion method and the Ag was doped using $AgNO_3$ during gelation process. Based on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re was no structural change by Ag doping, but the 'metallic' form of Ag was included in the doped powder. Both bare and Ag 1 wt.% doped sample showed similar discharge capacity of 242 mAh/g at 0.2C rate. However, as the increase of charge-discharge rate to 3C, Ag 1 wt.% doped sample showed higher discharge capacity (172 mAh/g) and better cyclic performance than those of bare sample. The discharge capacity of Ag 5 wt.% doped sample was relatively low at all rate condition. However it displayed better rate performance than other samples.

      • Facebook 에서의 효과적인 소셜 검색을 위한 사용자 그룹 분류 기법

        유제혁 ( Jehyeok Rew ),최영환 ( Young-hwan Choi ),황인준 ( Eenjun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 추세와 더불어 사용자 기반의 정보 공유 패러다임이 확산됨에 따라 효과적인 정보 공유를 위한 검색 방법 및 정보 분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관계도 탐색, 유사한 관심사의 사람들과 정보 공유, 추천시스템 등의 주요 서비스를 사용자 기반으로 구축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낮은 정보의 신뢰성으로 인해 지능적인 검색 및 정보 분류에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Facebook 을 기반으로, 낮은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소셜 검색 만족도를 높일수 있는 사용자 그룹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Facebook 사용자의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고 관계로 맺어진 사용자들간의 친밀도를 메타데이터 기반으로 계산하며 유사한 관심 정보에 따라 분류하고 효과적으로 사용자들을 그룹화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관계로 이루어진 사용자 친밀도와 그룹 분류가 효과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보인다.

      • 피부 나이 측정을 위한 피부 현미경 영상에서의 피부 거칠기 추출

        유제혁 ( Jehyeok Rew ),석장미 ( Jangmi Suk ),황인준 ( Eenjun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1

        영상 분석을 통한 특징 추출은 객체의 인식이나 매칭, 인덱싱 등을 위해 수반되는 준비 단계로서 분야별로 다양한 방식을 통해 수행되어 왔다. 특히, 피부 영상 분석에 있어 주목할 만한 이슈는 피부의 노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피부의 거칠기는 피부의 상태와 노화를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피부 나이를 측정하기 위해 피부 현미경 영상에서 피부 거칠기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피부 현미경으로 촬영된 이미지에 이진화 및 질감 대비 향상, 노이즈 제거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Watershed 알고리즘과 외곽선 검출을 통해, 피부를 구성하는 셀들의 영역 정보를 획득한다. 이를 바탕으로 피부 거침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거칠기를 정의 한다. 제안한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연령대의 피험자로부터 피부 현미경 영상을 확보하고 실험을 통해 피부 거칠기 특징이 피험자의 연령대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